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교과 어휘의 기능 분류에 따른 교과 학습 어휘의 개념 설정 - 국어·사회과 교과서 어휘 구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ing Concept and Sorting Function of Subject Learning Vocabulary - From the Textbook of Korea Grammar and Social Studies -

새국어교육
약어 : KOED
2015 no.104, pp.261 - 293
DOI : 10.15734/koed..104.201509.261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국어교육학회
212 회 열람

본 연구는 내용 영역 교과의 학습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어휘의 특징을 실제 문법 영역과 사회 교과서 텍스트의 어휘 분류를 통해 확인하고, 교과 학습 어휘의 개념 및 그 특성과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국어과의 문법 영역과 사회과의 학습 과정의 맥락에 따라 어휘를 교과 학습 어휘, 사고 수행 어휘, 매개 어휘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 학습 어휘의 특성과 어휘 교육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that take important roles in the learning contexts from the textbooks of Korean grammar and social studies and investigates the concept, the fun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learning vocabulary. The study sorts the vocabulary into three categories:subject learning vocabulary, cognitive processing vocabulary, and intermediating vocabulary, then analyzes them using quantitative methods. As results, the study confirms that subject learning vocabula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 as well as subject-specific traits. The learning process shows gradual development and the concepts are elaborate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everyday vocabulary.

교과 학습 어휘, 학습 문식성 내용, 내용 교과, 어휘 교육, 어휘 빈도
Subject learning vocabulary, Learning literacy, Content subject, Vocabulary teaching, Lexical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