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의 비정규직 고용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Employment and Health in South Korea

보건사회연구
약어 : -
2016 vol.36, no.3, pp.119 - 157
DOI : 10.15709/hswr.2016.36.3.119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55 회 열람

본 연구는 한국의 비정규직 고용과 건강의 연관성을 다룬 기존 논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웹 기반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비정규직 고용과 건강의 연관성을 검토한 문헌을 검색하여 2014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학술논문 37편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하여 총 37편의 논문이 출판되었으며 모두 양적 연구였고, 가장 많이 이용된 데이터는 한국노동패널(N=9)이었다. 둘째, 건강변수는 정신건강(N=17)과 자가평가건강수준(N=13)에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전체 37편 중 31편의 연구에서 인구학적 혹은 사회경제적 정보를 잠재적 교란인자로 통제하여 다변량분석을 진행했다. 넷째, 전체 37편 중 35편의 연구결과에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건강이 유의미하게 나빴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기반하여, 향후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고려가 필요하다. 비정규직을 정의하고 범주화하는 구체적, 현실적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행정데이터나 의료기록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건강관련 변수를 고려하고, 고용형태와 건강과의 연관성 분석에서 교란인자와 매개인자를 구분해서 분석해야 한다. 나아가, 고용형태와 건강에 대한 질적 연구나 정책적 개입 연구, 성별, 종사산업별, 연령별 차이에 주목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cademic literature on the association between non-standard employment and health in South Korea. We searched online academic databases to find relevant paper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by 31 December 2014 and this study reviewed a total of 37 articles.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ll 37 studies have adopted quantitative method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set was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N=9). Second, the studies focused mainly on mental health (N=17) or self-rated health (N=13). Third, 31 studies controlled demographic or socio-economic indicators as potential confounders. Fourth, 35 studies reported that non-standard workers had poorer health compared to standard workers. This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non-standard employment with concrete criteria, reflecting labor market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Second, various health outcome should be examined using administrative data and medical records. Third, it is important to take account of relevant confounders in the data analysis. Finally,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how the health effect of non-standard employment could differ by worker’s gender, age, and industry division.

비정규직 고용, 건강,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
Non-standard Employment, Health, Systematic Review, South Korea

  • 1. [학술지] 강영호 / 2006 / 우리 나라의 사회경제적 사망률 불평등: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사망추적 결과 / 예방의학회지 / 39 (2) : 115 ~ 2 kci
  • 2. [단행본]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 2013 / 노사원위원회 합의문 모음집: 1998년~2013년 7월 / 대통령소속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 3. [학술지] 고상백 / 2002 / 노동시장 불안정시기의 채용시 건강진단에 대한 실태조사 ;난청을 중심으로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14 (1) : 57 ~ 1 kci
  • 4. [학술지] 고상백 / 2004 /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16 (1) : 103 ~ 1 kci
  • 5. [학술지] 김근희 / 2010 / 상이한 분류 기준에 따른 근로형태별 자가평가건강수준: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패널회귀분석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2 (3) : 240 ~ 3 kci
  • 6. [학술지] 김덕주 / 2013 / 부산지역 작업치료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한양고령사회논집 / 4 : 23 ~
  • 7. [학술지] 김복순 / 2016 / 최근 비정규직 노동시장의 변화-2015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이용하여- / 월간 노동리뷰 : 91 ~
  • 8. [단행본] 김수영 / 2011 /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 1 ~
  • 9. [학술지] 김아진 / 2014 / 근로자의 구강자각증상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 치위생과학회지 / 14 (1) : 51 ~ 1 kci
  • 10. [학술지] 김영선 / 2014 / 고용 유연성이 근로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과 사회과학 (36) : 201 ~ 36 kci
  • 11. [학술지] 김유선 / 2003 / 연구노트 : 1980년대 이래 비정규직 증가 원인 / 노동사회 / 78 : 99 ~
  • 12. [학술지] 김유선 / 2015 / 쟁점과 대안 :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5. 8)결과 / 노동사회 / 186 : 72 ~
  • 13. [보고서] 김유선 / 2016 /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6.3)결과- : 1 ~
  • 14. [학술지] 김진영 / 2012 / 고용형태와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대인갈등의 차이와 심리적 안녕 / 한국사회학 / 46 (1) : 101 ~ 1 kci
  • 15. [학술지] 김진영 / 2012 /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에서의 격차: 건강자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구학 / 35 (1) : 181 ~ 1 kci
  • 16. [학술지] 김일호 / 2005 / 비정규직 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예방의학회지 / 38 (3) : 337 ~ 3 kci
  • 17. [학술지] 김일호 / 2011 / 산업군별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자 흡연율 변화 추이: 1992-2006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28 (4) : 15 ~ 4 kci
  • 18. [보고서] 김철 / 2016 / 공공부문 안전·위험의 외주화, 실태와 개선방향
  • 19. [단행본] 김혜진 / 2015 / 비정규사회-불안정한 우리의 삶과 노동을 넘어 / 후마니타스
  • 20. [학술지] 남용옥 / 2013 / 전주시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의식 및 행동 / 한국치위생학회지 / 13 (6) : 1005 ~ 6 kci
  • 21. [학술지] 노병일 / 2011 /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건설직 일용근로자의 우울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학 / 63 (1) : 113 ~ 1 kci
  • 22. [학술지] 노연희 / 2004 / 고용상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성취프로그램 수료자들을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17 (1) : 19 ~ 1 kci
  • 23. [학술지] 박세홍 / 2009 / 고용상태 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비판사회정책 / 27 : 79 ~
  • 24. [학술지] 박수미 / 2004 /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 한국인구학 / 27 (2) : 155 ~ 2 kci
  • 25. [학술지] 박우진 / 2009 / 일부 여성 특수고용 근로자의 업무상 손상 및 건강문제의 관련 요인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1 (4) : 301 ~ 4 kci
  • 26. [학술지] 박종식 / 2012 / 가구조사를 통해 본 고용형태와 작업관련 손상 경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14 (4) : 137 ~ 4 kci
  • 27. [학술지] 박진욱 / 2007 / 고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건강불평등 / 예방의학회지 / 40 (5) : 388 ~ 5 kci
  • 28. [학술지] 박진욱 / 2008 /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적용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형태 변동과 건강수준 차이 연구 / 사회연구 / 9 (2) : 77 ~ 2 kci
  • 29. [학술지] 손신영 / 2011 /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 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20 (3) : 346 ~ 3 kci
  • 30. [학술지] 송이은 / 2012 /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 소득과 사회심리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보건사회연구 / 32 (1) : 228 ~ 1 kci
  • 31. [학술지] 신순철 / 2007 /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과 사회과학 (22) : 205 ~ 22 kci
  • 32. [학술지] 우혜경 / 2009 /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차이 / 보건행정학회지 / 19 (2) : 85 ~ 2 kci
  • 33. [학술지] 이원철 / 2011 / 비정규직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제 1-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토대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3 (1) : 89 ~ 1 kci
  • 34. [학술지] 장세진 / 2005 / 우리나라 직장인 피로의 역학적 특성 / 예방의학회지 / 38 (1) : 71 ~ 1 kci
  • 35. [학술지] 장신철 / 2012 / 비정규직 범위와 규모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산업관계연구 / 22 (1) : 55 ~ 1 kci
  • 36. [학술지] 전은숙 / 2009 / 병원 근로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1 (1) : 28 ~ 1 kci
  • 37. [학술지] 정이환 / 2003 / 비정규노동의 개념정의 및 규모추정에 대한 하나의 접근 / 산업노동연구 / 9 (1) : 71 ~ 1 kci
  • 38. [학술지] 정재훈 / 2011 / 특수고용형태업무종사자 산재보험 적용방안: 퀵서비스, 택배, 간병을 중심으로 / 산업관계연구 / 21 (3) : 153 ~ 3 kci
  • 39. [학술지] 최문희 / 2015 / 연구윤리포럼을 다녀와서: 중복게재 관련 연구윤리의 문제 / 보건과 사회과학 (40) : 129 ~ 40 kci
  • 40. [학술대회] 최선희 / 2007 / 고용안정성이 임금노동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311 ~
  • 41. [학술지] 최은숙 / 2009 /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9 (4) : 549 ~ 4 kci
  • 42. [학술지] 최홍열 / 2001 /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평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 13 (1) : 18 ~ 1
  • 43. [보고서] 통계청 / 2015 / 201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
  • 44. [기타]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 2006 / 제1차 근로환경조사 국문 설문지 /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 45. [기타]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 2010 / 제2차 근로환경조사 국문 설문지 /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 46. [인터넷자료] 홍정규 / 與 ‘스크린도어 사고’ 현장방문…“불평등한 죽음 막아야” / 연합뉴스
  • 47. [학술지] Aronsson, G. / 1999 / Contingent workers and health and safety / Work, Employment &Society / 13 (3) : 439 ~ 3
  • 48. [학술지] Benach, J. / 2004 / Types of employment and health in the European Union /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 14 (3) : 314 ~ 3
  • 49. [학술지] Benach, J. / 2007 /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 61 (4) : 276 ~ 4
  • 50. [보고서] Benach, J. / 2007 / Employment conditions knowledge network (EMCONET)
  • 51. [학술지] Benach, J. / 2014 / Precarious employment : understanding an emerging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 35 : 229 ~
  • 52. [학술지] Benach, J. / 2016 / What should we know about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in 2025? framing the agenda for the next decade of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 45 (1) : 232 ~ 1
  • 53. [학술지] Benavides, F. G. / 2000 / How do types of employment relate to health indicators? Findings from the Second European Survey on Working Conditions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 54 (7) : 494 ~ 7
  • 54. [학술지] Blank, V. L. G. / 1995 / Hidden accident rates and patterns in the Swedish mining industry due to involvement of contractor workers / Safety Science / 21 (1) : 23 ~ 1
  • 55. [학술지] Ferrie, J. E. P. / 2008 / Flexible labor markets and employee health.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 Environment & Health / 34 (6) : 98 ~ 6
  • 56. [학술지] Im, H. J. / 2012 / The association between nonstandard work and occupational injury in Korea /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 55 (10) : 876 ~ 10
  • 57. [학술지] Joyce, K. / 2010 / Flexible working conditions and their effects on employee health and wellbeing / Cochrane Database Syst Rev / 2 : CD008009
  • 58. [학술지] Jung, M. / 2013 / Health Disparities among Wage Workers Driven by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 43 (3) : 483 ~ 3
  • 59. [학술지] Jung, Y. / 2013 / The Effects of Employment Conditions on Smoking Status and Smoking Intensity: The Analysis of Korean Labor & Income Panel 8 th-10 th Wave / PloS one / 8 (2) : e57109
  • 60. [학술지] Karasek, R. A. / 1979 /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 24 (2) : 285 ~ 2
  • 61. [학술지] Ki, M. / 2011 / Health selection operating between classes and across employment statuses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 65 (12) : 1132 ~ 12
  • 62. [학술지] Kim, I. H. / 2006 /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working and mental health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 Social science &medicine / 63 (3) : 566 ~ 3
  • 63. [학술지] Kim, I. H. / 2008 / Gender, precarious work, and chronic diseases in South Korea / Am J Ind Med / 51 (10) : 748 ~ 10
  • 64. [학술지] 김일호 / 2011 /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 예방의학회지 / 44 (1) : 22 ~ 1 kci
  • 65. [학술지] Kim, J. / 2016 / Who is working while sick? Nonstandard employ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in South Korea /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 89 (7) : 1095 ~ 7
  • 66. [학술지] Kim, M. H. / 2008 / Is precarious employment damaging to self-rated health?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using longitudinal data in South Korea / Social Science & Medicine / 67 (12) : 1982 ~ 12
  • 67. [학술지] Kim, M. H / 2007 / An untold story in labor health: Korean women workers / New Solutions / 17 (4) : 325 ~ 4
  • 68. [학술지] Kim, S. S. / 2012 / Association between change in employment status and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in South Korea-a gender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 environment & health / 38 (6) : 537 ~ 6
  • 69. [학술지] Kim, S. S. / 2013 / Gain of employ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previously unemployed workers : a longitudinal cohort study in South Korea /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 56 (10) : 1245 ~ 10
  • 70. [학술지] Kivimäki, M. / 2003 / Temporary employment and risk of overal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 158 (7) : 663 ~ 7
  • 71. [학술지] Kuper, H. / 2003 / Job strain, job demands, decision latitud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within the Whitehall II study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 57 (2) : 147 ~ 2
  • 72. [학술지] Lewchuk, W. / 2008 / Working without commitments :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Work / Employment & Society / 22 (3) : 387 ~ 3
  • 73. [학술지] Mayhew, C. / 1999 / The effects of outsourcing 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 a comparative study of factory-based workers and outworkers in the Australian clothing industry /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 29 (1) : 83 ~ 1
  • 74. [학술지] Messing, K. / 2003 / Be the fairest of them all :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gender in occupational health research /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 43 (6) : 618 ~ 6
  • 75. [학술지] Min, K. B. / 2013 / Subcontractors and increased risk for work-related diseases and absenteeism / American Journal of Industiral Medicine / 56 (11) : 1296 ~ 11
  • 76. [학술지] Moher, D. / 2009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the PRISMA statement / Annals of internal medicine / 151 (4) : 264 ~ 4
  • 77. [단행본] OECD / 2015 / OECD Employment Outlook 2015 / OECD Publishing
  • 78. [학술지] Quinlan, M. / 1999 / The implications of labour market restructuring in industrialized societies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 20 (3) : 427 ~ 3
  • 79. [학술지] Quinlan, M. / 2001 / The global expansion of precarious employment, work disorganization, and consequences for occupational health : a review of recent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 31 (2) : 335 ~ 2
  • 80. [학술지] Pearce, N / 2007 / Bias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studies /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64 : 562 ~
  • 81. [학술지] Rosenman, K. D. / 2000 / Why most workers with occupational repetitive trauma do not file for workers’ compensation /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42 (1) : 25 ~ 1
  • 82. [단행본] Rothman, K. J. / 2012 / Epidemiology: an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83. [학술지] Sverke, M. / 2002 / No security :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job insecurity and its consequences /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 7 (3) : 242 ~ 3
  • 84. [학술지] Virtanen, M. / 2005 / Temporary employment and health : a review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 34 (3) : 610 ~ 3
  • 85. [학술지] Virtanen, M. / 2013 / Perceived job insecurity as a risk factor for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British Medical Journal / 347 : 4746
  • 86. [학술지] Yoo, S. / 2010 /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South Korea, 1998-2007 : gender and socioeconomic differences / Preventive medicine / 51 (6) : 460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