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 소득과 사회심리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through Income and Psychosocial Factors

보건사회연구
약어 : -
2012 vol.32, no.1, pp.228 - 259
DOI : 10.15709/hswr.2012.32.1.228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86 회 열람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가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고용지위별 우울수준에 차이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과 사회심리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일반적인 인구 집단의 우울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CES-D척도의 11개 항목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존중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고용지위는 상용직, 임시․일용직, 자영업자, 실업자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집단에 있어서 고용지위에 따라 우울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구소득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그 차이를 상당부분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용직보다 임시․일용직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자기존중감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며 이와 함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낮은 것도 추가적인 이유이다. 상용직보다 자영업자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소득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며 자기존중감에 의해 일정하게 설명되고, 사회적 지지는 설명력이 없다. 상용직보다 실업자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자기존중감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고, 소득으로 일정하게 설명되며, 사회적 지지는 설명력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고용지위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단순히 확인하는 차원을 넘어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몇 개의 매개변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밝혀냈다는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among the labor force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income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We used data from the first year (2006)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The survey includes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s and the items which measur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 classified employment status into four categories: permanent workers, temporary workers, the self-employed and the unemplo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and showed that the lower levels of self-esteem and income among temporary workers were the two main factors which accounted for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m,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The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among temporary workers also con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self-employed,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was substantially explained by income and self-esteem.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unemployed,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was substantially explained by self-esteem and income. This study elucidated the mechanism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고용지위, 우울, 소득, 자기존중감, 사회적 지지
Employment Status, Depression, Income, Self-esteem, Social Support

  • 1. [학술지] 고상백 / 2004 /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16 (1) : 103 ~ 1 kci
  • 2. [학술지] 김명언 / 1998 / 실직자의 정서적, 인지적, 신체화 반응 및 대처반응 / 한국심리학회지 / 17 (1) : 115 ~ 1
  • 3. [학술지] 김승연 / 2007 /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26 (3) : 573 ~ 3 kci
  • 4. [단행본] 김유선 / 2005 / 한국노동자의 임금실태와 임금정책 / 후마니타스
  • 5. [학술지] 김의철 / 2001 / IMF시대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6 (1) : 77 ~ 1
  • 6. [학술지] 김진영 / 2009 / 한국 성인 집단에서 연령과 우울의 관계 / 보건과 사회과학 (26) : 87 ~ 26 kci
  • 7. [학술지] 김진영 / 2012 / 고용형태와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대인갈등의 차이와 심리적 안녕 / 한국사회학 / 46 (1) : 101 ~ 1 kci
  • 8. [학술지] 남찬섭 / 1999 / 1998년 전국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결과 요약 / 월간복지동향 / 7 : 48 ~
  • 9. [학술지] 노병일 / 2005 / 동네의 맥락적특 특성이 주민의 정신보건에 미치는 영향;동네빈곤, 무질서, 네트웨크형성을 중심으로 / 보건과 사회과학 / 17 : 5 ~ kci
  • 10. [학술지] 노연희 / 2004 / 고용상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성취프로그램 수료자들을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17 (1) : 19 ~ 1 kci
  • 11. [학술지] 박상규 / 2004 /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6 (4) : 813 ~ 4 kci
  • 12. [학술지] 박세홍 / 2009 / 고용상태 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한 우울증세를 중심으로 / 상황과복지 / 27 : 79 ~
  • 13. [학술지] 박찬임 / 2005 / 복지국가의 고민: 자영업자에 대한 사회보장 / 국제노동브리프 / 3 (4) : 1 ~ 4
  • 14. [보고서] 배상철 / 2005 / 한국인의 질병부담 보고서
  • 15.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04 / 자살예방대책 5개년계획
  • 16.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11 / OECD Health Data
  • 17. [학술지] 안이수 / 2009 / 2004-2008 우울증 환자 의료이용 추이 분석 / HIRA(건강보험심사평가원)정책동향 / 3 (4) : 56 ~ 4
  • 18. [학술지] 양재진 / 2005 / 빈곤과 소득격차의 고착화 방지를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 연세행정논총 / 28 : 79 ~
  • 19. [학술지] 엄태완 / 2006 /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 한국사회복지학 / 58 (1) : 59 ~ 1 kci
  • 20. [학술지] 오수성 / 2001 /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스트레스 대처양식, 자기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 20 (2) : 481 ~ 2
  • 21. [학술지] 이상호 / 2005 / 교육훈련 기회와 노동시장 성과 / 노동리뷰 / 8 : 61 ~
  • 22. [학술지] 이수인 / 2007 / 한부모의 과거 부부관계의 질, 자녀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 차이 / 한국사회학 / 41 (4) : 128 ~ 4 kci
  • 23. [학술지] 이은주 / 2004 / 실직자들의 인지된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만족감 / 사회이론 / 24 (24) : 301 ~ 24 kci
  • 24. [단행본] 장귀연 / 2010 / 권리를 상실한 노동자 비정규직 / 책세상
  • 25. [학술지] 정최경희 / 2005 / 노동의 불안정은 건강을 잠식한다: 영세기업 ․ 비정규노동자들의 위태로운 건강실태 / 노동사회 / 97 : 89 ~
  • 26. [학술지] 최수찬 / 2005 /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7 (4) : 177 ~ 4 kci
  • 27. [보고서] 통계청 / 2010 /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 자산 및 부채현황 결과
  • 28. [기타] 한국복지패널 / 2006 /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 보건복지부
  • 29. [학술지] 홍경준 / 2005 / 근로빈곤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와 실태파악 / 한국사회복지학 / 57 (2) : 119 ~ 2 kci
  • 30. [학술지] 홍대균 / 2009 / 구조적 실업이 건강관련행태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1 (4) : 346 ~ 4 kci
  • 31. [학술지] Atkinson, T. / 1986 / The Social Costs of Unemployment: Implications for Social Support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27 (4) : 317 ~ 4
  • 32. [학술지] Barrera, M. / 1986 /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s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14 (4) : 413 ~ 4
  • 33. [단행본] Baumeister, R. F. / 1998 / The Self,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 McGraw-Hill : 680 ~
  • 34. [단행본] Beck, A. T. / 1979 /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 The Guilford Press
  • 35. [학술지] Catalano, R. / 1977 / Economic Predictors of Depressed Mood and Stressful Life Events in a Metropolitan Community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18 (3) : 292 ~ 3
  • 36. [학술지] Catalano, R. / 1981 / Economic Predictors of Admissions to Mental Health Facilities in a Nonmetropolitan Community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22 (3) : 284 ~ 3
  • 37. [단행본] Cohen, S. / 1985 / Social Support and Health / Academic Press
  • 38. [단행본] Coopersmith, S. / 1967 /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 Freeman & Co
  • 39. [학술지] Dooley, D. / 2000 / Underemployment and Depression: Longitudinal Relationship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41 (4) : 421 ~ 4
  • 40. [학술지] Dooley, D. / 2002 / Mental Health and Welfare Transitions: Depression and Alcohol Abuse and AFDC Women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30 (6) : 787 ~ 6
  • 41. [단행본] Gustafsson, S. / 2003 / Employment Choices and Pay Differentials between Nonstandard and Standard Work in Britain, Germany, the Netherlands, and Sweden, In Nonstandard Work in Developed Economies. Kalamazoo / W. E.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 215 ~
  • 42. [학술지] House, J. S. / 2001 / Understanding Social Factors and Inequalities in Health: 20th Century Progress and 21st Century Prospect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43 (2) : 125 ~ 2
  • 43. [학술지] Kokko, K. / 1998 / Unemploy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Mediator Effects /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 5 (4) : 205 ~ 4
  • 44. [학술지] Lin, N. / 1999 /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40 (4) : 344 ~ 4
  • 45. [학술지] Link, B. G. / 1993 /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The Role of Occupations Involving Direction, Control, and Planning /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98 (6) : 1351 ~ 6
  • 46. [학술지] Matthews, S. / 1999 / Social Support at Age 33: the Influence of Gender,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Class / Social Science & Medicine / 49 (1) : 133 ~ 1
  • 47. [학술지] Miech, R. A. / 2000 /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se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41 (2) : 162 ~ 2
  • 48. [단행본] Mirowsky, J. / 1999 / Analyzing Associ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Circumstances, In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 /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 105 ~
  • 49. [학술지] Mirowsky, J. / 2001 / Age and the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Depression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42 (2) : 132 ~ 2
  • 50. [단행본] Pearlin, L. I. / 1983 / Role Strains and Personal Stress, In Psychosocial stress: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 Academic Press
  • 51. [단행본] Pearlin, L. I. / 1985 / Social Structure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In Social Support and Health / Academic Press : 43 ~
  • 52. [학술지] Quesnel-Vallée, A. / 2010 / Temporary Work and Depressive Symptoms: A Propensity Score Analysis / Social Science & Medicine / 70 (12) : 1982 ~ 12
  • 53. [학술지] Radloff, L. / 1977 /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 1 (3) : 385 ~ 3
  • 54. [학술지] Santana, V. / 1997 / Informal Jobs : Another Occupational Hazard for Women's Mental Health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 26 (6) : 1236 ~ 6
  • 55. [단행본] Steele, C. M. / 1988 / The Psychology of Self-Affirmation: Sustaining the Integrity of the Self,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 Academic Press
  • 56. [학술지] Thoits, P. A. / 1982 /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23 (2) : 145 ~ 2
  • 57. [학술지] Virtanen, P. / 2002 / Employment Security and Health /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 58 (8) : 569 ~ 8
  • 58. [학술지] Waite, L. / 1995 / Does Marriage Matter? / Demography / 32 (4) : 483 ~ 4
  • 59. [학술지] Winkelmann, L. / 1998 / Why are the Unemployed So Unhappy? Evidence from Panel Data / Economica / 65 (257) : 1 ~ 257
  • 60. [학술지] 김우영 / 2001 /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분석 / 중소기업연구 / 23 (3) : 29 ~ 3 kci
  • 61. [단행본] OECD / 2009 / Labour Force Statistics / OECD
  • 62. [학술지] Pearlin, L. I. / 1981 / The Stress Proces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22 (4) : 337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