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과정의 텍스트성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글이다. 이러한 고찰을 위하여 이 글에서는 교육과정 현상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 해석의 상호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해석학은 담론의 이해를 위한 실천적 기술이며, 인문 ·사회과학의 방법론으로서, 인간 정신에 대한 이해의 조건들을 규명해주는 이론틀이다. 해석학적 접근법은 재개념주의 교육과정 연구에서 교육적 성장과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교육과정 현상을 재개념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해석학적 패러다임은 현대의 교육과정 담론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방법론적 시각이다. 요컨대, 해석학적 접근법에 의거해 볼 때 교육과정은 세계-내-지식 체험의 표현을 담은 역사·사회적 텍스트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교수-학습 과정은 텍스트적 체험에 대한 이해의 과정으로서 대화 내지 물음과 답변이라는 해석학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교육의 과정의 해석학적 재개념화는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 실천의 인간화를 위한 교육 본위적 이해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교육과정학적 함의를 지닌다.

키워드

재생산 이론, 재개념주의자, 교육과정,교육의 과정, 해석학, 추체험,전이해, 텍스트성, 해체적 재구성

참고문헌(12)open

  1. [학술지] / 1994 /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서울

  2. [학술지] / 1985 / 사회과학 방법론과 해석학 : 107 ~ 30

  3. [학술지] / 1993 / . 현대와 탈현대의 사회사상. 서울

  4. [학술지] / 1993 / . 중학교 교육과정의 전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5. [학술지] / 2005 / 해석학과 교육: 교육과정사회학 탐구

  6. [학술지] / 1992 / 문학과 지성사.

  7. [학술지] / 19851988 / . 교육과 권력. 서울

  8. [학술지] / 1977 / Towards a theory of educational transmissions. 3

  9. [학술지] / 1977 / . Reproduction in education

  10. [학술지] / 1992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

  11. [학술지] / 1969 / Interpretation theory in Schleiermacher

  12. [학술지] / 1981 / . Learning to lab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