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상담학연구
약어 : -
2014 vol.15, no.6, pp.2535 - 2555
DOI : 10.15703/kjc.15.6.201412.2535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338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둘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학업탄력성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열망, 문제해결력, 동료관계, 가족지지, 학업적 환경)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다.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업탄력성 개발모형을 구안하였다.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으로 무선할당하였으며, 매회기 50분간 11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타당한 개발모형에 따라 체계적이고 순환성을 보완하여 개발되었기에 그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은 청소년 학업탄력성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열망, 문제해결력, 동료관계, 가족지지, 학업적 환경)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청소년들의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and to examin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First, Will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be constructed in a valid manner? Second, Will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effectively increase the total scores and the sub-factors(aspiration, problem solving, peer relation, family support, academic enviromen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develop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Development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c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hich w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to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as made up of 11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was constructed in a valid manner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resilience of Youth. Second, The Academic Resilience Program for Youth effectively increase the total scores and the sub-factors(aspiration, problem solving, peer relation, family support, academic enviromen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uggestions and limita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학업탄력성,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academic resilience, youth, academic resilience program

  • 1. [보고서] 강석영 / 2009 /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 2. [학위논문] 김누리 / 2009 / 학업탄력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 3. [학위논문] 김동원 / 2008 /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 4. [단행본] 김동일 / 2011 / 학습상담 / 학지사 : 17 ~
  • 5. [단행본] 김성회 / 2007 / 자기계발을 위한 주장훈련의 이론과 실제 / 학지사
  • 6. [학위논문] 김재한 / 2003 / 알코올 중독자 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7. [학위논문] 김지혜 / 1998 /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 8. [단행본] 김진화 / 2009 /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 교육과학사
  • 9. [단행본] 김진화 / 2011 /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 / 교육과학사 : 113 ~
  • 10. [단행본] 김창대 / 2002 / 청소년집단상담의 운영 / 한국청소년상담원 : 75 ~
  • 11. [단행본] 김창대 / 2002 / 청소년집단상담의 운영 / 한국청소년상담원 : 111 ~
  • 12. [학술지] 박분희 / 2010 /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아동교육 / 19 (4) : 19 ~ 4 kci
  • 13. [학위논문] 朴炫宣 / 1998 / 貧困靑少年의 學校 適應柔軟性
  • 14. [학술지] 박현선 / 1999 / 실직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 한국아동복지학 / 8 : 35 ~
  • 15. [단행본] 배호순 / 2008 /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 원미사
  • 16. [단행본] 변창진 / 1994 / 프로그램 개발 / 홍익출판사
  • 17. [학위논문] 신을진 / 2005 / 학습목표 실천과정의 방해요소 분석 : 고등학생의 공부계획 실천과정을 중심으로
  • 18. [학술지] 양국선 / 2001 /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 대상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13 : 127 ~
  • 19. [단행본] 여성가족부 / 2012 / 청소년 백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20. [학술지] 오정희 / 2013 /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및 학교급,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 상담학연구 / 14 (3) : 1981 ~ 3 kci
  • 21. [학위논문] 오현경 / 2013 /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 22. [학술지] 오현경 / 2012 / 청소년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9 (1) : 47 ~ 1 kci
  • 23. [학술지] 이경탁 / 2010 / 기능적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중등교육연구 / 58 (1) : 145 ~ 1 kci
  • 24. [학술지] 이숙영 / 2003 / 국내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요인 / 상담학연구 / 4 (1) : 53 ~ 1 kci
  • 25. [학술지] 황매향 / 2009 / 학업문제 유형분류의 탐색 / 상담학연구 / 10 (1) : 561 ~ 1 kci
  • 26. [학술지] Alva, S. A. / 1991 / Academic invulnerability among Mexican-American students : the importance of protective resources and appraisals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13 : 18 ~
  • 27. [학술지] Borman, G. D. / 2004 / Academic resilience in mathematics among poor and minority students /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 104 : 177 ~
  • 28. [학술지] Catterall, J. S. / 1998 / Risk and resilience in student transitions to high school /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 106 : 302 ~
  • 29. [단행본] Chao, R. K. / 2000 / Resilience across contexts: Family, work, culture, and community / Lawrance Erlbaum Associates : 333 ~
  • 30. [학위논문] Ellis, W. T. / 2010 / Against the odds: Academic resilience among high-ability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living in rural poverty
  • 31. [학술지] Finn, J. D. / 1997 /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28 : 221 ~
  • 32. [학위논문] Gizir, C. A. / 2004 / Academic resilience: An investigation of protec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ighth grade students in poverty
  • 33. [학술지] Gizir, C. A. / 2009 / Protec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resilience of students living in poverty in Turkey /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 13 : 38 ~
  • 34. [학술지] Gonzalez, R. / 1997 / The academic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19 : 301 ~
  • 35. [학술대회] Martin, A. J. / 2003 / Academic resilience and the four Cs: confidence, control, composure, and commitment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Australia Paper presented at NZARE AARE
  • 36. [학술지] Martin, A. J. / 2009 /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buoyancy :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conceptual framing of causes, correlates and cognate constructs / Oxford Review of Education / 35 : 353 ~
  • 37. [학술지] Masten, A. S. / 1998 /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 The American Psychologist / 53 : 205 ~
  • 38. [학술지] McTigue, E. / 2009 / Academic resilience and reading : Building successful readers / The Reading Teacher / 62 : 422 ~
  • 39. [학술지] Perez, W. / 2009 / Academic resilience among undocumented Latino students /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31 : 149 ~
  • 40. [학술대회] Rouse, K. A. / 2001 / Educationally resilient adolescents' Implicit knowledge of the resilience phenomenon /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41. [학술지] Waxman, H. C. / 1997 / Motiv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s between resilient and non-resilient Latino middle school students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19 : 137 ~
  • 42. [학술지] Wayman, J. C. / 2002 / The utility of educational resilience for studying degree attainment in school dropouts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95 : 167 ~
  • 43. [학술지] Wilks, S. E. / 2010 / Resilience in undergraduate social work students :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academic stress / Social Work Education / 29 : 2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