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 근로자의 은퇴 준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은퇴 준비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Noone, Stephens, 그리고 Alpass(2010)의 PRePS를 기초로 한국판 은퇴 준비 척도(K-PRePS)를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근로자 246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K-PRePS의 문항과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 한국 근로자 6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K-PRePS의 구조와 이론적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K-PRePS는 총 29문항으로, 심리사회, 재정, 생활양식, 미래시간조망, 건강 등 5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K-PRePS는 미래시간조망, 신체건강, 정신건강, 삶의 만족도 등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내외통제성과는 상관이 낮았다. 본 연구는 K-PRePS가 한국 근로자의 은퇴 준비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은퇴, 은퇴 준비, 한국판 은퇴 준비 척도, 요인분석

참고문헌(57)open

  1. [학위논문] 강지숙 / 2008 /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

  2. [학위논문] 權汶一 / 1996 / 老人의 退職決定要因에 關한 硏究

  3. [학술지] 권승 / 2004 / 노년층의 은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거주지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 24 (3) : 69 ~ 90

  4. [학술지] 김나연 / 2007 / 남성노인의 은퇴 후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 한국가족복지학 (21) : 253 ~ 288

  5. [학술지] 김미혜 / 1993 / 노년을 위한 퇴직 준비교육 모형 개발 / 한국 노년사회학 13 : 15 ~ 129

  6. [학위논문] 김연수 / 2004 /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건강과 스포츠활동의 관계

  7. [학술지] 김연옥 / 1992 / 퇴직준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퇴직예정자의 욕구조사 / 한국사회복지학 20 : 81 ~ 103

  8. [학위논문] 김연희 / 2005 / 중년기 남녀 직장인의 은퇴에 대한 태도와 노화수용 : 자기애성향과 개방성향을 중심으로

  9. [학술지] 김윤정 / 2004 /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복지연구 (24) : 197 ~ 213

  10. [학위논문] 金垠廷 / 1993 / 노후를 대비한 재정계획 및 재정계획 수행 : 서울시 중년기 가계를 중심으로

  11. [학술지] 김정호 / 2007 /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2) : 325 ~ 345

  12. [보고서] 김종서 / 1982 / 평생교육의 체계와 사회교육의 실태

  13. [학술지] 박창제 / 2008 /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 한국사회복지학 60 (3) : 275 ~ 297

  14. [학위논문] 배문조 / 2005 / 개인적 심리적 직업관련 변인이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15. [학술지] 배문조 / 2004 /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 (7) : 89 ~ 102

  16. [학술지] 백은영 / 2008 /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보장연구 24 (2) : 27 ~ 51

  17. [학술지] 백은영 / 2009 / 은퇴자의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노인복지연구 (44) : 345 ~ 372

  18. [학술지] 서석희 / 2008 / 노년기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상담학연구 9 (1) : 85 ~ 102

  19. [학위논문] 신하연 / 1998 / 중년기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20. [학술지] 여윤경 / 2002 / 목표 소득대체율을 통한 은퇴소비의 추정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 (3) : 83 ~ 97

  21. [학술지] 여윤경 / 2007 /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 소비문화연구 10 (3) : 129 ~ 155

  22. [학술지] 이가옥 / 2005 /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57 (1) : 93 ~ 120

  23. [학술지] 이기양 / 2004 / 노인과 은퇴 / 개혁신학 1 (6) : 257 ~ 283

  24. [학위논문] 이승아 / 1998 / 중년기 직장 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후 생활계획

  25. [학위논문] 이지은 / 2000 /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 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26. [학위논문] 이영웅 / 2010 / 장중년층의 미래시간 전망과 진로경로 개척의지 분석

  27. [학위논문] 이은영 / 1996 / 은퇴 남자 노인들의 가족관계와 신체적, 심리적 건강

  28. [학위논문] 이종길 / 1992 /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29. [학술지] 이현림 / 2005 / 노인을 위한 집단여가상담 프로그램이 여가활동 참여도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상담학연구 6 (3) : 745 ~ 759

  30. [학술지] 정운영 / 2009 / 은퇴에 대한 인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분석 / 사회보장연구 25 (2) : 115 ~ 139

  31. [단행본] 조명환 / 1998 /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 집문당

  32. [학술지] 주용국 / 2009 / ‘노인다움’ 노화 지원을 위한 상담․교육 모형의 개발 / 상담학연구 10 (1) : 17 ~ 42

  33. [학술지] 지연경 / 1991 / 내외 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 대한 가정학회지 29 (2) : 217 ~ 240

  34. [학술지] 차재호 / 1973 / 내외통제성 측정척도 작성 2 (19) : 263 ~ 271

  35. [학술지] 최보아 / 2004 /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 (6) : 47 ~ 61

  36. [학술지] 최성재 / 1989 / 퇴직 예정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 후 생활 전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연구 1 (1) : 47 ~ 65

  37. [학술지] 한형수 / 2008 /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39) : 345 ~ 370

  38. [학술지] 홍석태 / 2008 /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8 (5) : 287 ~ 299

  39. [학술지] 홍성희 / 2006 /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 (1) : 193 ~ 207

  40. [학술지] 홍성희 / 2007 /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 (3) : 89 ~ 104

  41. [학술지] Beard, J. B. / 1980 /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 (12) : 20 ~ 33

  42. [학술지] Cronbach, L. / 1955 /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 Psychological Bulletin 52 (4) : 281 ~ 302

  43. [학술지] Diener, E. / 1985 /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 71 ~ 76

  44. [학술지] Elder, H. W. / 1999 / Does retirement planning affect the level of retirement satisfaction? / Financial Services Review 8 : 117 ~ 127

  45. [단행본] Friedman, S. L. / 1997 / An evolving “Blueprint” for planning. Psychological retirements, task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In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planning: Why, how, and when do we plan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6. [학술지] Glamser, F. D. / 1976 / Determinants of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 Journal of Gerontology 31 : 104 ~ 107

  47. [학술지] Glamser, F. / 1981 / Predictors of a positive attitudes / Aging and Work 4 : 23 ~ 29

  48. [학술지] Goudy, W. J. / 1980 / Changes in attitude toward retirement : Evidence from a panel study of older males / Journal of Gerontology 35 (6) : 942 ~ 948

  49. [학술지] Joo, S-H. / 2002 / Factors affecting workers' retirement confidence : A gender perspective /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3 (2) : 1 ~ 10

  50. [학술지] Kilty, K. M. / 1985 / Predicting the retirement intentions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workers / Journal of Gerontology 49 (2) : 219 ~ 227

  51. [학위논문] Kim, M. H. / 1992 / Retirement attitudes, preparations, conceptualiz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retirement among first-generative Korean American in midlife

  52. [학술지] Lachman, M. E. / 1993 / Planning and control processes across the life span : An overview /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6 (2) : 131 ~ 143

  53. [학술지] Lemon, B. W. / 1972 /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 Journal of Gerontology 27 (4) : 511 ~ 523

  54. [학술지] Noone, J. H. / 2010 / 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scale(PReP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 Psychological Assesment 22 (3) : 520 ~ 531

  55. [학술지] Quick, H. E. / 1998 / Gender, employment, and retirement quality : A life course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experiences of men and women /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3 (1) : 44 ~ 64

  56. [학술지] Rotter, J. B. / 1966 /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s / Psychological Monographs 80 : 1 ~ 28

  57. [단행본] Super, D. E. / 1990 /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 Jossey-Bass : 197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