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준전문상담자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에게 상담교육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지만, 현재 그 내용, 방법, 교육과정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을 규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범대, 교육대, 일반대학 교직과정 및 교육대학원 수업 중 상담관련 교육의 비중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직 상담교수들을 대상으로 상담자 교육의 관점에서 현재의 예비교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상담 교과목 개설 및 수업 시수, 교육내용 및 수업 방식, 교사 선발 방식, 상담 교육 전문가의 자질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더하여 준전문상담자 양성교육을 위한 필수항목을 살펴본 결과 전문상담자 양성교육에서 제안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상담 이론, 상담 기법, 심리 검사, 집단상담이론, 상담 윤리-도 있었지만 학부수준에서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학습되어야 할 다양한 교육내용-학업 및 진로상담, 청소년 이해 및 문제행동, 위기문제, 다문화교육, 진단 및 평가, 다문화 교육, 자문 등-도 제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교육정책, 상담 교육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키워드

준전문상담자 양성, 상담자 교육, 예비교사 교육, 상담 교육과정, 상담교육 필수항목

참고문헌(40)open

  1. [학술지] 강진령 / 2005 /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 청소년상담연구 13 (2) : 61 ~ 74

  2. [학술지] 강진령 / 2005 /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 청소년상담연구 13 (2) : 61 ~ 74

  3. [학술지] 강혜영 / 1996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효율적 아동지도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학생지도연구 22 : 73 ~ 101

  4. [학술지] 구본용 / 1999 /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 / 사학 (여름)

  5. [학술대회] 금명자 / 2007 /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학교 상담자의 역할 / 2007년 전국 전문 상담교사 워크숍 자료집 : 3 ~ 14

  6. [단행본] 김계현 / 2001 / 상담심리학 연구 2. in: 집단·진로·학업·가족상담 / 학지사

  7. [단행본] 김봉환 / 2006 / 학교진로상담 / 학지사

  8. [학술대회] 김운종 / 2005 / 정책해석-전문상담순회교사선발 / 교육마당

  9. [학술지] 김인규 / 2008 / 학교상담의 현황과 과제 / 교육비평 24 : 165 ~ 184

  10. [학술지] 김인수 / 1998 / 예비교사를 위한 자아성장 프로그램의 실천사례(7년간의 집단상담 활동을 중심으로) / 학생생활연구 18 (1) : 35 ~ 82

  11. [보고서] 김진희 / 1995 / 학교상담체제발전연구

  12. [학술대회] 김창대 / 2002 / 상담자 교육과정 인증제도 / 2002년도 상담학회 연차대회 자료집 : 17 ~ 35

  13. [학술지] 김혜숙 / 2000 / 교대학생 또래상담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청소년상담연구 8 : 100 ~ 121

  14. [학술지] 나동진 / 1998 / 교직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 -한미양국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 한국교사교육 15 (1) : 189 ~ 207

  15. [학술지] 박고훈 / 2002 / 교사교육의 반성과 대안 탐색- 중등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19 (1) : 273 ~ 300

  16. [학술지] 박창언 / 2002 / 초등 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 분석 연구 / 초등교육연구 15 (1) : 263 ~ 288

  17. [학술대회] 손은령 / 2004 /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기능의 효용성 / 영남대·조선대·충남대 교육대학원 제 6회 공동학술회의 자료집 : 53 ~ 68

  18. [학술지] 손은령 / 2005 / 예비교사를 위한 상담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 학생생활연구 31 : 53 ~ 72

  19. [학술지] 송현종 / 1999 / 학교상담의 특징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여수대학교 논문집 14 : 221 ~ 237

  20. [학술지] 안창일 / 1999 / 학교상담의 발전방안 / 교육마당 21

  21. [단행본] 연문희 / 2002 / 학교상담: 21세기 학생생활지도 / 양서원

  22. [학술대회] 연문희 / 2003 / 한국학교상담의 현재와 미래 / 한국학교상담학회 2003 학술대회자료집

  23. [단행본] 오익수 / 1994 / 청소년 상담인력개발 정책연구 / 청소년 대화의 광장

  24. [학위논문] 유정근 / 2003 /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25. [학술지] 이기학 / 2008 / 전문상담교사 위원회-학교상담 분야에서의 심리학자의 역할 및 과제 / 심리학회보 (129)

  26. [학술지] 이숙영 / 2002 /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교육학연구 40 (2) : 11 ~ 250

  27. [단행본] 이재창 / 1988 / 생활지도 / 문음사

  28. [학술지] 이재창 / 1994 / 전문상담자 양성을 위한 교육, 제도 활용의 문제점 / 대학생활연구 12 : 33 ~ 68

  29. [학술지] 이재창 / 1996 / 전문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8 : 1 ~ 26

  30. [학술지] 정진환 / 2006 / 21세기 국가발전을 위한 교원양성 및 연수체제 개편의 방향과 과제 / 미래교육연구 12 (1) : 17 ~ 38

  31. [학술지] 조경원 / 2004 /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 교육과학연구 35 (1) : 1 ~ 19

  32. [학술지] 허승희 / 2004 /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 모형 구안 / 상담학연구 5 (4) : 1203 ~ 1215

  33. [보고서] 황순길 / 2005 / 학교청소년상담사 학교상담 활동모형 연구

  34. [단행본]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 2004 / The ASCA National Model workbook: A companion guide to implementing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 Authur

  35. [단행본] Clark, M. / 2000 / Evolving our image: School counselors as educational leaders / Counseling Today : 21 ~ 46

  36. [단행본] Erford, B. T. / 2007 / Transforming the school counseling profession (2nd ed.) / Merrill Prentice Hall

  37. [학술지] Gatta, R. / 1997 / A student advocacy program: A means of expanding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teachers / The High School Journal 80 : 273 ~ 278

  38. [단행본] Henderson, P. / 1998 / Leading and managing your school guidance staff: A manual for school administrators and directors for guidance /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39. [학술지] House, R. M. / 1998 / Advocating for better futures for all student: A new vision for school counselors / Education 119 : 284 ~ 291

  40. [단행본]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 / 2007 / Wisconsin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Model: Madison / Auth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