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상담학연구
약어 : -
2013 vol.14, no.2, pp.1125 - 1144
DOI : 10.15703/kjc.14.2.201304.1125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738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인근에 있는 4개 대학 5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생활 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총효과 값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에서의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에서 회복탄력성으로 가는 경로만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보다는 회복탄력성이 더 큰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평가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낙관성,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 충동통제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life stress. The data from the total number of 537 college students in 4 universities of Seoul a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bout life stress,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fe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total effect shows that the influence on resilience is the most effective. Second, the only the path from social support to resilience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 the results that analyzed the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sub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that resilience is more influencial than social support. Among 4 social support sub factors, only evaluative support is valid. Among 6 resilience sub factors, optimism, self-efficacy, reaching out and impulse control are vali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ollege students.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life str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 1. [학위논문] 공영길 / 2009 /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2. [학위논문] 곽윤영 / 2009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3. [학위논문] 구경호 / 2008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4. [학위논문] 권수현 / 2010 /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분석
  • 5. [학위논문] 권지혜 / 2006 /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 6. [학위논문] 기현정 / 2011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7. [학술지] 김경민 / 2012 /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50 (1) : 89 ~ 1 kci
  • 8. [학위논문] 김경순 / 2006 /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9. [학술지] 김동일 / 2011 / 다시 생각해 본 리질리언스:외상성 손상 후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적응 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상담학연구 / 12 (4) : 1371 ~ 4 kci
  • 10. [학술지] 김명소 / 2001 /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 한국 성인 남녀 대상으로 / 한국심리 학회지 : 사회 및 성격 / 15 (2) : 19 ~ 2
  • 11. [학위논문] 김미숙 / 2012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 생활스트레스 및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12. [학술지] 김민경 / 2011 / 대학생의 우울, 감사 및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 / 청소년문화포럼 (28) : 7 ~ 28 kci
  • 13. [단행본] 김봉환 / 2004 / 학교진로상담 / 학지사
  • 14. [학위논문] 김신연 / 2010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 15. [학술지] 김인숙 / 2003 / 서원대생의 생활사건 경험에 관한 연구 / 서원대 학생생활 연구 / 21
  • 16. [학술지] 김의철 / 2005 / 건강과 삶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신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1 (2) : 143 ~ 2 kci
  • 17. [학위논문] 김지영 / 2008 /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 18. [학술지] 김진주 / 2010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귀인성향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상담학연구 / 11 (2) : 891 ~ 2 kci
  • 19. [학위논문] 김현옥 / 2010 /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0. [학술지] 박선영 / 2005 / 대학생들의 자기관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서울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 청소년학연구 / 12 (3) : 71 kci
  • 21. [학위논문] 박지원 / 1985 /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 22. [학위논문] 박지현 / 2006 /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 23. [학술지] 박영주 / 2002 /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건강행위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2 (7) : 792 ~ 7 kci
  • 24. [학술지] 신미진 / 2011 /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 자아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한국체육학회지 / 50 (4) : 333 ~ 4 kci
  • 25. [학술지] 신우열 / 2009 /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한국청소년연구 / 20 (4) : 105 ~ 4 kci
  • 26. [학술지] 유안진 / 2005 /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23 (5) : 123 ~ 5 kci
  • 27. [단행본] 이옥형 / 2006 / 청년심리학 / 집문당
  • 28. [학술지] 이옥형 / 2012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학연구 / 19 (1) : 29 ~ 1 kci
  • 29. [학술지] 이자영 / 2012 /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 상담학연구 / 13 (3) : 1481 ~ 3 kci
  • 30. [학위논문] 이지현 / 2012 / 만 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 31. [학술지] 이지희 / 2011 / 탄력성 집단의 선택-최적화-보상 전략 유형 탐색 / 교육방법연구 / 23 (4) : 781 ~ 4 kci
  • 32. [학술지] 이진환 / 2001 /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원천과 안녕감 / 부산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연구보 / 33 (2) : 31 ~ 2
  • 33. [학술지] 이해리 / 2005 /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 한국청소년연구 / 16 (2) : 161 ~ 2 kci
  • 34. [학위논문] 이후승 / 2004 /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 35. [학술지] 차경호 / 1999 /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사회과학연구 / 18 : 575 ~
  • 36. [학술지] 차경호 / 2004 /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청소년학연구 / 11 (3) : 321 ~ 3 kci
  • 37. [학술지] 천숙희 / 2012 /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속박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18 (3) : 223 ~ 3 kci
  • 38. [학위논문] 하유진 / 2007 / 자아 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 39. [학술지] 홍은숙 / 2006 /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 특수교육학연구 / 41 (2) : 45 ~ 2 kci
  • 40. [기타] 보건복지가족부 / 2011 / 2009 보건복지 가족통계 연보, 제55호
  • 41. [단행본] Anthony, E. J. / 1974 / The child in his family: Children at psychiatric risk / Wiley
  • 42. [단행본] Anthony, E. J. / 1987 / The invulnerable child / Guilford Press
  • 43. [학술지] Bandura, A. / 2003 / Role of affective self-regulatory efficacy in diverse spheres of psychosocial functioning / Child Development / 74 : 769 ~
  • 44. [학술지] Barlow, J. / 2002 / A jobseeking self-efficacy sale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Preliminar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 30 (1) : 37 ~ 1
  • 45. [학술지] Bernard, B. / 1993 / Fostering resilience in kids / Educational Leadership / 51 : 444 ~
  • 46. [학술지] Block, J. H. / 1980 /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 13 : 39 ~
  • 47. [학술지] Block, J. / 1996 /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70 (2) : 349 ~ 2
  • 48. [단행본] Cohen, S. / 1985 / Social support and health / Academic Press
  • 49. [학술지] Cohen, S. / 1985 /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 Psychological Bulletin / 98 : 301 ~
  • 50. [학술지] Diener / 1984 / Subjective well-being / Psychological Bulletin / 95 : 542 ~
  • 51. [학술지] Dugall, A. L. / 2001 / Optimism and traumatic stress : The importance of stress and coping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31 : 223 ~
  • 52. [학술지] Egeland, B. / 1993 / Resilience as process /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 5 : 517 ~
  • 53. [학술지] Gardner, D. H. / 2011 / Optimism, self-resilience, and social, or is it support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load, stress and wellbeing in Veterinary students /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 38 (1) : 60 ~ 1
  • 54. [학술지] Garmezy, N. / 1993 / Children at poverty : Resilience despite risk / Psychiatry / 56 : 127 ~
  • 55. [기타] Gillham, J. E. / 1991 / The APEX Project: Manual for group leaders /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 56. [기타] Gillham, J. E. / 2008 / The Penn Resiliency Program (also known as the Penn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and the Penn Optimism Program) /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 57. [학술지] Kuijer, R. G. / 2003 / Discrepancy in illness-related goals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ally ill patient : the role of self-efficacy / Psychology and Health / 18 : 313 ~
  • 58. [학술지] Lam, J. G. / 2010 /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terns in Hong Kong; What causes them stress and what helps them / Medical Teacher / 32 (3) : 120 ~ 3
  • 59. [단행본] Masten, A. S. / 2002 / Resilience in development,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74 ~
  • 60. [학술지] Masten, A. S. / 2001 /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 American Psychologist / 56 : 227 ~
  • 61. [학술지] Polk, L. V. / 1997 /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 Advances in Nursing Science / 19 (3) : 1 ~ 3
  • 62. [학술지] Reivich, K. / 2011 / Master resilience training in the U. S. Army / American Psychologist / 66 (1) : 25 ~ 1
  • 63. [기타] Reivich, K. / 2003 / Penn resilience training for college students: Leader’s guide and participant’s guide /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ennsylvania
  • 64. [학술지] Rutter, M. / 1985 /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147 (26) : 1 ~ 26
  • 65. [학술지] Rutter, M. / 1987 /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 147 : 598 ~
  • 66. [학술지] Rutter, M. / 1989 / Isle of Wight revisited : Twenty-five years of child psychiatric epidemiology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28 : 633 ~
  • 67. [학술지] Ryff, C. D. / 1989 /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the mea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7 : 1069 ~
  • 68. [학술지] Schmute, P. S. / 1997 / Personality and well-being: What is the connection?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73 : 549 ~
  • 69. [학술지] Schuh, J. H. / 2007 / Build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y fund program among first-and second-generation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 48 (5) : 574 ~ 5
  • 70. [학술지] Segrin, C. / 2007 / Perceived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kills / Anxiety, Stress and Coping / 20 (3) : 321 ~ 3
  • 71. [학술지] Steinhardt, M. / 2008 / Evaluation of a resilience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strategies and protective factors and decrease symptomatology /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 56 (4) : 445 ~ 4
  • 72. [학술지] Waters, E. / 1983 / Social competence as developmental construct / Developmental Review / 3 : 79 ~
  • 73. [단행본] Werner, E. E. / 1982 /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 McGraw Hill
  • 74. [학술지] Werner, E. E. / 1989 / High risk children in young adulthood : A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age 32 /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 59 : 72 ~
  • 75. [학술지] Werner, E. E. / 1993 /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 Perspectives from the Kauai longitudinal study /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 5 : 503 ~
  • 76. [학술지] Yi, J. P. / 2005 / Stress-resilience, illness, and coping : a person focused investigation of young women athletes /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 28 : 2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