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를 분석하여 기후변화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6월에서 2018년 5월(12개월) 동안 트위터와 네이버 블로그의 ‘기후변화’를 포함한 모든 게시글 (33,185건)을 대상으로 패러그래프 임베딩(Paragraph embedding),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통한 정서 및 정책 수요분석,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민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과 근심을 포함한 부정적인 감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 · 겨울철에는 폭염, 한파 등의 이상기후에, 봄 · 가을에는 미세먼지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분석과 주제 분석 결과를 종합해 53개의 주요 결과로 정리하고 이를 33개의 정책수요로 재정리하였다. 시민들은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할 수 있는 법, 제도적 기반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부문별로 기존의 주요 정책에 대한 시행과 함께 재생에너지,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기술, 재해보험, 재해 회복력 제고 방안, 취약계층 고려 정책, 안전 도시공간 구축, 국제협력, 교육홍보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climate change policy demands by analyzing how people perceive and react to climate change through social media data and big data analyses. The emotions, policy demands, and topics were analyzed through paragraph embedding and topic modeling for all posts (33,185) that contain a term, “climate change” on Twitter and Naver blogs for 12 months from June 2017 to May 2018.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ople expressed negative emotions to climate change in general, and responded instantly to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 wave and cold wave in summer and winter, and to fine dusts in spring and autumn. The keyword and topic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53 major results, which were then reorganized into 33 policy demands. Citizens were demand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to show the nation"s strong commitment to climate change issues.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existing major policies in each sector, there were high policy demands for renewable energy, disaster insurance, disaster resilience enhancement measures, consideration of vulnerable groups, the construction of safe urban spaces, international cooperation, education and publicity.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빅데이터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9-000268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