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해외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산림탄소크레딧의 거래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국내에서도 2013년부터 산림탄소상쇄제도가 시행되었으나, 국내에서 시행 가능한 사업규모의 한계, 낮은 기대수익 등으로 사업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개발된 산림탄소사업들 중 탄소크레딧이 시장거래 후 소각된 72개 사업들과 국내에서 개발된 거래형 산림탄소상쇄사업들의 사업 투자 및 수익배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산림탄소사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외 자발적 탄소시장의 산림탄소사업 개발에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산림탄소사업의 유형에 따라 사업개발 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산림탄소상쇄제도 참여와 산림탄소사업개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산림탄소사업의 다양한 특성과 이해당사자들을 고려한 산림탄소상쇄제도 운영이 필요하다.

The amount of forest carbon credits transacted in the international voluntary carbon marke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th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cheme was adopted in 2013, development of projects has been hindered by issues such as a lack of available land and low expected return.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forest carbon project in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investment and benefit sharing characteristics of 72 forest carbon projects, whose offset credits were transacted and retired in the international voluntary carbon market, and five forest carbon projects, which were developed in domestic. Diverse stakeholders from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and the projec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iated by project types in the international voluntary carbon market.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for domestic project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both forest carbon projects and participa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chem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00-002225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