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일본 대학생 358명과 한국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뢰담화의 한일 차에 관한 조사결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표는 동시결절모델에 입각하여 의뢰담화를 산출하는 사회문화, 의식태도, 담화내용, 담화표현과 이들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내성관찰법(內省觀察法)을 통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검증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의 범위는 한일 간에 큰 차이가 없으며, 양 국민 모두 90% 이상이 곤란한 일을 상담할 수 있는 친한 친구(이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친구와의 교제 실태는 크게 달라서 일본에서는 용건이 있을 때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60% 정도인데 반해, 한국에서는 특별한 용건이 없어도 빈번하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80%를 넘었다. 이러한 사회문화로서의 교류실태가 친구에 대한 의뢰의식, 담화내용과 표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담화태도에서는 전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정중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일본에서는 5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에 한국에서는 90%를 넘기고 있다. 이는 폴라이트네스 의식에 각 언어문화만의 개별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친구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려달라고 의뢰할 수 있다는 점은 한일 양국이 공통되지만 담화내용과 담화표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리는 일에도 70%를 넘는 사람이 사정이나 이유를 언급하며 부탁하는 것에 반해, 한국에서는 55%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일일이 설명하지 않고 빌린다는 사람의 비율도 45%나 되었다. 영화를 보러 가자는 권유를 거절하는 경우에도 “미안, 그건 조금...”을 끝으로 그 이상의 표현을 요구하지 않는 일본에 반해, 한국에서는 가지 못하는 이유나 사정을 설명해주었으면 하는 사람이 70%를 넘었다는 점에서 양국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한일 대학생의 의뢰담화의식의 유사점과 차이점 이외에 선행연구의 정성(定性)적인 분석결과를 정량(定量)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조담화론적 내성관찰법”이라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의미가 매우 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quest discourses. Between November 2018 and January 2019,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358 and 377 individuals, respectivel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e questionnaire employed was designed to verify the findings of a
previou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using an introspective method, in which the authors examined their own discursive practices and drew on thei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ir respective native cultures. The research is based on synchronous discourse theory, which focuses on social culture, attitudes, the contents and the expressions of language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four aspec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ircles of acquaintance. 95% or more of both the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had close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contact frequency were clearly significant. While more than 6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tacted close friends only when they had a reason to do so, more than 80% of the Koreans contacted close friends frequently even when they had nothing in particular that they needed to convey. Such socio-cultural differences also influenced the way the respondents thought as well a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their discourse. Fewer than 50% of the Japanese students agreed that ‘expressing oneself clearly is polite’, whereas more than 90% of the Koreans agreed with this stat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oliteness is not universal. More than 7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when asking to borrow something of little value from a close friend, they would explain why they needed to make the request. 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of the Koreans thought no explanation was necessary in this situation, and more than 40% answered that a detailed explanation was unnecessary. The Japanese students indicated that, when an invitation to the movies was declined with the expression “I’m sorry”, they would feel satisfied that they had understood the reasons for the refusal. More than 70% of the Koreans, however, stated that while they would feel that they had understood, they would still prefer some explan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o the invitation being declined. These results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undertaken by the authors.

목차

Abstract
1. 本論の目的
2. 調査の概要
3. 調査結果総覧
4. 人間関係
5. 親友との交流実態
6. 依頼様態と依頼意識
7. 依頼内容と依頼表現に関する意識
8. 依頼をめぐる価値意識
9. 内省法による談話分析結果の計量的検証について
10. おわりに
引用文献
요지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30-000126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