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무인 셀프체크인 시스템 탑승수속 채택에 대한 저항을 유보, 거부, 만류의 세 종류로 분류해서 분석했다. 각 저항을 발생시키는 요인들을 네 가지 독립적인 변인군(인지된 위험, 인지된 혜택, 소비자 속성 및 확산 메커니즘)을 사용하였으며, 동 변인군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지된 위험 변인군과 인지된 혜택 변인군이 각각의 유형의 저항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인 셀프체크인 시스템을 통한 탑승수속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에 대한 우려 등 신체적인 위험, 온라인 홍보, 시도 가능성은 모든 저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새로움 추구와 독립적인 의사결정 등 소비자의 성향은 어떤 저항에도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제공은 가장 적극적 저항인 거부, 만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divided the resistance to the adoption of the self check-in boarding procedure into three types: postponement, rejection, and opposition. Four independent variables were factored into to generate each resistance: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s, user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chanis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risk variable and the perceived benefit variable mostly affected the three types of resistance, especially physical risk, such as concerns about possible injuries when using self check-in procedures, on-line propagation, trialability was found to affect all resistance. In addition, consumers’ tendency such as newness seeking and independent decision - making does not affect any resistance. The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online and offline was analyzed to influence on the resistance and opposition, the most active resistance.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연구가설
Ⅲ.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3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04-000850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