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natology. 2022 Jun;33(2):89-95. Korean.
Published online Jun 30, 2022.
Copyright © 2022 The Korean Society of Perinatology
Original Article

Hearing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Yoo Jinie Kim, MD, Seung Han Shin, MD, PhD, Ee-Kyung Kim, MD, PhD and Han-Suk Kim, MD, PhD
    •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Received January 19, 2021; Revised October 28, 2021; Accepted January 13,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j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preterm infant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CMV) infection have unfavorable hearing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We also tried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group of preterm infants with CMV infection.

Methods

Preterm infants born before 32 weeks’ gestation between January, 2014 and October, 2020 with urine CMV polymerase chain reaction-positive 2 weeks after birth were enrolled. Those who presented more than one of symptoms including thrombocytopenia, neutropenia, hepatitis, cholestasis, and pneumonitis were classified as a symptomatic group. Hearing status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groups by using results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 and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Bayley-III) performed at 8 to 12 and 18 to 24-months corrected age, respectively.

Results

Among 553 live births, 32 patients (5.8%) were diagnosed as postnatal CMV infection. Of 32 patients, 20 (62.5%) were classified as a symptomatic group.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ymptomatic group (95.0 vs. 58.3%, P=0.018). Composite scores of cognitive, language, and motor domains of Bayley-III was comparable between 2 groups. Total of 2 patients showed mild hearing impairment and one of each was included in the group.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rt-term outcome was observed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groups. Postnatal CMV infection in preterm infants resulted in mild degree of auditory impairment and no unfavorable neurodevelopmental outcome. Further study with large study popul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consequences of postnatal CMV infection among preterm infants.

Keywords
Cytomegalovirus infections; Preterm infants;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Hearing disorders

서론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는 태아와 신생아에서 가장 흔히 감염되는 바이러스 중 하나이다. 생후 2주 이내에 CMV 감염이 확인되면 선천성 CMV 감염으로 분류하는데, 이때 혈소판 감소증, 간염, 담즙 정체증, 소두증 등의 여러 증상이 있거나 중추신경계 감염이 동반될 경우 감각 신경성 난청 및 발달 장애와 같은 장기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6개월간의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권장되고 있다.1, 2, 3 반면에 생후 2주 이후에 확인된 감염은 출생 후 감염으로 정의하고, 만삭아에서는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반면에 미숙아에서 증상을 나타내는 비율이 0-34.5%로 보고되고 있고,5 임신 나이 32주 미만 혹은 출생 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는 패혈증 유사 증상(sepsis-like illness)이나 다발성 장기 손상이 많게는 14%까지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6

출생 후 CMV 감염은 출생 당시 산모의 체액 노출 후 잠복기를 지나 발생하거나 수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CMV 혈청 양성인 엄마의 모유 수유를 통해 감염되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CMV 혈청 양성인 산모에서 37-76%가 모유로 CMV가 전달되며, 최대 20%의 감염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전 세계적으로는 성인의 혈청 양성률이 45-100%로 다양하고, 국내 가임기 여성에서는 약 97%가 보균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8 이에 미숙아에서 모유 수유를 할 경우 CMV 제거를 위해 수유 전 모유를 저온 살균하기도 한다.9

그러나 선천성 감염과 달리 미숙아에서 출생 후 CMV 감염의 장기 예후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 Yoo 등10에 의하면 출생 후 CMV에 감염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출생 후 2년의 발달 및 성장, 그리고 청력 및 시력의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Jim 등11도 교정 12-24개월의 발달과 청력의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에 최근 연구에서는 출생 후 CMV 감염이 있었던 군에서 청력 스크리닝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입원기간이 길었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출생 후 CMV 감염이 확인된 환아 중에서, 관련된 증상 1가지 이상을 나타냈던 미숙아를 유증상(symptomatic) 군으로 분류하여, 무증상(asymptomatic) 감염군 간의 임상 양상과 장기적으로는 청력과 뇌신경 발달의 차이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 연구 대상

2014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임신 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 중 출생 후 CMV 감염이 확인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후 CMV 감염이 확인된 총 34명의 환자 중에서 퇴원 전 사망한 2명은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32명의 환아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본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임신 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출생 후 2주 이내, 그리고 교정 연령 35주 경에 소변 검체를 이용하여 CMV 중합효소사슬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를 시행하고 있었다. 이 시기 외에도 CMV 감염이 의심되는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 추가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출생 후 CMV 감염은 생후 2주 이후 시행한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CMV 감염과 관련된 증상이 하나 이상 관찰된 경우에는 유증상군으로, CMV 감염은 확인되었으나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무증상군으로 분류하였다. CM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은 다른 원인으로는 설명되지 않은 혈소판(<150,000/µL) 및 호중구(<1,000/µL) 감소증, 간염, 즉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수치가 모두 상승(>150 IU/L)을 포함하였다. CMV 폐렴은 호흡기 증상과 함께 흉부 X선 촬영에서 폐렴 소견을 보이고 경기관흡입법을 통한 호흡기 검체에서 CMV PCR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세균 혹은 바이러스 감염의 증거는 없으나 무호흡, 서맥 혹은 빈맥, 호흡 곤란, 쳐짐, 그리고 창백함 등의 증상이 3개 이상 관찰된 경우를 패혈증 유사 증상으로 분류하여, 관련 증상들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2. 자료 수집

대상 미숙아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임신 나이, 출생 체중, 성별, 분만방법과 약물 혹은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했던 동맥관 개존증, 호흡곤란증후군 및 중증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 등의 이환율을 조사하였다.

청력에 대한 평가는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기간 동안 퇴원 전 시행한 자동화 청성 뇌간 반응 검사(automat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ABR)와 퇴원 후 본원 소아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시행한 뇌간 유발 반응 역치 검사(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 ABRT)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AABR에서 양쪽 귀 모두 검사를 통과하였더라도 퇴원 후 교정 연령 6개월에, 그리고 한쪽이라도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교정 연령 2개월에 ABRT를 진행하였다. ABRT 검사 결과 일측 혹은 양측에서 반응 역치가 25 dB을 초과한 경우에는 청력 이상으로 진단하였다. 청력 이상의 정도는 세계보건기구의 분류에 따라 정상(≤25 dB), 경도(26-40 dB), 중증도(41-60 dB), 고도(61-80 dB), 그리고 심도(≥81 dB)로 분류하였다.

발달에 대한 평가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제3판(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을 이용하여 각각 교정 연령 8-12개월과 18-24개월에 검사를 진행하였다. 인지, 언어, 운동 발달 영역의 발달 지수(composite score)가 85 미만인 경우에 발달 지연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 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IRB no. 2012-096-1181).

3. 통계 분석

유증상군과 무증상군 간의 비교에서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연속 변수들은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범주형 변수들은 Fisher의 정확한 검정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인 의미가 있다고 정의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ver. 25.0 (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다. 통계치는 중앙값과 사분위수 범위 혹은 퍼센트로 표기하였다.

결과

1. 유증상군과 무증상군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징

연구기간 동안 본 기관에서 임신 나이 32주 미만으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생존 미숙아 총 553명 중 32명(5.8%)에서 출생 후 CMV 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들 모두에서 출생 직후 시행한 선천성 감염 관련 검사(toxoplasma, syphilis, rubella, CMV, herpes simplex virus)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유증상군은 전체 32명 중 20명(62.5%)이었다. 발현 증상 및 징후로는 호중구 감소가 75%로 가장 많았고, 패혈증 유사 증세를 보였던 환아는 1명 있었다(Table 1). AST와 ALT가 동시에 150 IU/L 이상 상승된 간염 소견은 없었으나, 장기간의 총 정맥영양 공급으로 인한 담즙 정체증을 배제한 직접 빌리루빈(bilirubin)의 상승이 2명에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CMV 폐렴은 2명에서 관찰되었다. 유증상군 중 4명의 환아들이 ganciclovir나 foscarnet과 같은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았다. 이들은 치료 전에 모두 혈중 CMV DNA 정량 검사를 시행하였고, 평균 수치가 113,436 IU/mL로 높았으며, 치료기간은 평균적으로 38.5일이었다. 이들에서의 주된 증상은 호중구와 혈소판 감소증이었고, 치료 후에 모두 바이러스 수치가 10,000 IU/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Table 1
Clinical Manifestations of Infants with Symptomatic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n=20)

출생 후 CMV에 감염된 환아의 임신 나이와 출생 체중의 중앙값은 각각 27.3주와 985 g이었다. 무증상군과 유증상군의 임신 나이(26.4 vs. 27.6주, P=0.863)와 출생 체중(790 vs. 1,215 g, P=0.366)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임신 나이 26주 미만의 비율은 유증상군에서는 30%, 무증상군에서는 33.3%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고, 출생 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비율은 유증상군에서 60.0%, 무증상군에서 41.7%로 높은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2
Neonat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with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률(95.0 vs. 58.3%, P=0.018)은 유증상군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관찰되었고, 중증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 패혈증,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발생 비율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패혈증의 경우 총 5명에서 발생하였다. 생후 72시간 이내의 조기 패혈증은 다제 내성 대장균(extended-spectrum β-lactamase positive Escherichia coli) 감염으로 발생하였다. 후기 패혈증을 발생시킨 원인균으로는 Candida glabrata, Candia tropicalis, Bifidobacterium species, Staphylococcus hemolyticus가 확인되었다.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기간 동안의 모유 수유 비율을 두 군에서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82.1 vs. 74.7%, P=0.239).

2. 출생 후 CMV 감염 환아의 청력 상태

출생 후 CMV에 감염된 32명 환아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기간 동안 AABR을 시행하였고, 이들 중 한쪽을 통과하지 못한 환아는 9명(28.1%), 양쪽 모두 통과하지 못한 경우는 7명(21.9%)이었다. 퇴원 후 3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평균 교정 연령 4.7개월에 ABRT 검사를 시행하였다. 총 2명이 ABRT에서 청력 이상이 확인되었다(Table 3). 이 중 한 명은 AABR 검사에서는 양측 모두 통과하였으나 ABRT에서는 일측의 역치가 30 dB로 확인되었고, 나머지 한 명은 AABR 검사에서 양측 모두 통과하지 못하였고, ABRT에서도 양측의 역치가 모두 40 dB이었다. 이들 모두 역치가 40 dB로 경도의 청력 이상 소견을 보였다. 양측 모두 청력 이상을 보였던 환아는 CM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은 없었으며, 뇌 초음파 영상에서 투명 중격 무형증(agenesis of septum pellucidum)과 거대대조증(mega cisterna magna) 이외에는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2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fter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3. 출생 후 CMV 감염 환아의 발달 검사 결과

총 32명 중 22명(68.8%)이 교정 연령 8-12개월에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를 시행하였고, 이후 17명(53.1%)이 교정 연령 18-24개월에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영역의 발달 지수를 분석하였을 때, 교정 8-12개월에 시행한 검사에서 인지, 언어, 그리고 운동 영역의 중앙값이 각각 95점, 92.5점, 94점이었고, 교정 18-24개월에 시행한 검사에서도 중앙값이 90점, 89점, 97점으로 85점을 모두 초과하는 소견을 보였다(Table 4). 유증상군과 무증상군의 각 영역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Hearing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고찰

본 연구에서는 단일 기관에서 6년 동안 임신 나이 32주 미만에 출생한 미숙아에서 출생 2주 이후의 CMV 감염이 5.8% (32/553)로 확인되었다. 이는 Lanzieri 등6이 메타분석을 통해 모유를 통한 출생 후 CMV 감염이 6.5,6,7.2%라고 보고한 것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CM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한 가지 이상 나타난 환아는 감염자 중 62.5%였다. 앞서 언급한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모유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2,800여 명의 미숙아 중 1,500여 명이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Yoo 등10의 연구에서는 유증상군이 82%로 높게 확인되었던 바, 감염자 중 유증상자의 비율 또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증상군에서 증상을 보인 시기의 중앙값은 생후 51일, CMV 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된 시기는 54.5일로 선천성 CMV 감염은 완전히 배제되었다. 이는 Yoo 등10에서 CMV 감염 시기가 평균 54±2일이었고, 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한 출생 후 CMV 감염 연구들에서 34-77일을 보였던 것과 유사하다.13, 14, 15 본 연구에서 대부분은 교정 연령 35주 근처에 CMV 검사를 시행하였지만, 8명은 이 시기 전 혹은 후에 CMV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의심되어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를 시행한 최소 교정 연령은 30.2주였고, 최대 교정 연령은 42.2주였다. 8명 중 7명은 호중구 또는 혈소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세균이나 진균의 감염 관련 검사들을 시행하였으나 모두 음성이 확인되어, CMV PCR 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양성이 확인되었다. 나머지 1명은 교정 연령 32주 경에 정맥영양을 중단하였음에도 직접 빌리루빈 수치가 2 mg/dL 이상으로 상승하여 CMV PCR 검사를 시행한 결과 양성이 확인되었다. 출생 후 CMV 감염의 증상은 미숙아에서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특이적인 면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본 연구의 사례들처럼 세균 감염이나 장기간의 정맥영양으로 인한 담즙 정체증의 가능성이 낮을 때에는 CMV 감염도 감별 원인으로 고려해 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증상군에서의 모유 수유 비율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의 대부분이 CMV 혈청 양성을 보이고, 수혈 시 백혈구를 제거하고 방사선을 조사한 수혈 제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유를 통한 CMV 감염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아직 모유 속 CMV 바이러스 수치와 동반된 증상의 심각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으나, 바이러스 수치가 CMV 감염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몇몇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가 있다.16, 17 모유 속의 CMV DNA가 대부분 출산 후 2주 뒤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생후 4-6주 경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본 연구 대상자들은 대부분 CMV PCR 검사를 교정 연령 35주 경에 시행하여 CMV 감염과 관련된 증상이 발생하여 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을 제외하고는 정확하게 어느 시점에 CMV 감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소변 검체를 통한 CMV PCR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확인된 시점이 54.5일로, 아마도 모유 속 CMV DNA가 최고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모유를 통한 CMV 감염이 발생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어떤 기관에서는 모유를 저온 살균하거나 냉동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한 뒤 모유를 수유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18 태반을 통해 엄마의 항체가 태아에게 28주 이후에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고,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출생 체중이 감소할수록 CMV 감염으로 인한 증상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한다.19 이에 따라 임신 나이 28주 미만 혹은 출생 체중 1,500 g 미만으로 태어난 미숙아들에서 CMV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모유 수유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소아과학회에서는 살균 처리를 하지 않은 신선한 모유가 갖는 장점이 CMV 감염의 위험보다 높기 때문에 냉동하거나 저온 살균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반면에 오스트리아나 프랑스에서는 저온 살균한 모유를 교정 연령 35주 혹은 체중이 1,500 g을 넘을 때까지 먹이라고 권하고 있다.20 연구 시점에 본 기관에서는 모유를 저온 살균하여 공급하고 있지 않았으나, 우리나라가 서양에 비해 CMV 보균율이 높은 것을 고려할 때 미숙아의 모유 수유 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삭아에서 CMV 감염으로 인한 단기적 영향으로 폐렴 등 증상이 발생한 사례들을 몇몇 연구 논문에서 보고하였다.21, 22 1985년 발표된 논문23에서는 출생 체중 2 kg이 넘는 만삭아로 출생한 환아에서 CMV 감염으로 인한 신경학적인 후유증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만삭아를 대상으로 한 CMV 감염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반면에 미숙아에서는 출생 후 CMV 감염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들이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논란이 많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출생 후 CMV 감염이 장기적으로 청력과 뇌신경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7, 11, 24 그러나 Brecht 등25과 Weimer 등12에 의하면 미숙아에서 출생 후 CMV 감염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뇌신경발달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음이 보고하였다. Vollmer 등26의 논문에서는 출생 후 CMV 감염 환아에서 2.5,4세에 청력과 함께 발달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을 6-8세까지 추적 관찰하였을 때는 출생 후 CMV 감염 환아에서 독일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 4판 검사 결과 지능 지수가 CMV 감염군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지각 능력 또한 낮았다.25 또한 최근 미국에서 이루어진 다기관 후향적 연구12에 따르면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청력 스크리닝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비율이 대조군보다 CMV 감염군에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 8-12개월 사이에 시행한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에서 증상 여부에 따른 두 군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언어 영역의 경우 유증상군의 점수가 오히려 높았고, 전체 환아의 각 영역의 점수들은 모두 85점을 초과하여 뇌신경 및 운동 발달의 저하는 없었다. 교정 18-24개월에도 두 군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 감염군의 점수 역시 85점을 초과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고 추적 관찰 기간이 교정 연령 2세까지로 짧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고 6-8세까지 오랜 기간 추적 관찰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전 연구들의 추적률이 50% 미만인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교정 8-12개월 검사는 68%, 이후에는 53%로 추적 검사 시행률이 비교적 높았다. 미숙아에서 출생 후 CMV 감염이 청력 스크리닝12을 통과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수는 많았지만 증상이 있는 환아들에서만 검사를 시행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며, ABRT 등 확진 검사가 아닌 청력 스크리닝 결과만을 보고하였기 때문에 CMV 감염군에서 청력 저하가 발생할 것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따라서 단일 기관 연구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결과가 출생 후 CMV 감염이 단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임상 양상 및 청력과 뇌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없다는 이전의 연구결과들을 뒷받침하는 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 나이 32주 미만인 미숙아에서 출생 후 CMV 감염이 발생하였을 때 증상의 발현 여부가 청력을 포함한 신경학적 예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 나이, 출생 체중, 뇌 병변(뇌실 내 출혈 3기 이상 또는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등의 변수들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을 통해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의 각 영역의 발달 지수와 유증상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 연구이고 적은 수를 대상으로 진행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유를 통한 CMV 감염이 출생 후 CMV 감염 원인 경로 중 하나로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실제로 모유 속 CMV 바이러스 수치를 측정하는 것도 증상을 일으키는 CMV 감염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uthors’ Contributions:

  • Conceptualization: YJK, SHS.

  • Data curation: YJK, SHS.

  • Formal analysis: YJK.

  • Investigation: YKL, SHS, EKK, HSK.

  • Methodology: YJK, EKK, HSK.

  • Supervision: SHS, EKK, HSK.

  • Writing-original draft: YJK, SHS, EKK.

  • Writing-review & editing process: YJK, SHS, EKK, HSK.

References

    1. Kimberlin DW, Jester PM, Sanchez PJ, Ahmed A, Arav-Boger R, Michaels MG, et al. Valganciclovir for symptomatic congenital cytomegalovirus disease. N Engl J Med 2015;372:933–943.
    1. Rawlinson WD, Boppana SB, Fowler KB, Kimberlin DW, Lazzarotto T, Alain S, et al.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regnancy and the neonate: consensus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Lancet Infect Dis 2017;17:e177–e188.
    1. Fowler KB.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audiologic outcome. Clin Infect Dis 2013;57 Suppl 4 Suppl 4:S182–S184.
    1. Hamprecht K, Goelz R.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through human milk in preterm infants: transmission, clinical presentation, and prevention. Clin Perinatol 2017;44:121–130.
    1. Kurath S, Halwachs-Baumann G, Muller W, Resch B. Transmission of cytomegalovirus via breast milk to the prematurely born infant: a systematic review. Clin Microbiol Infect 2010;16:1172–1178.
    1. Lanzieri TM, Dollard SC, Josephson CD, Schmid DS, Bialek SR. Breast milk-acquired cytomegalovirus infection and disease in VLBW and premature infants. Pediatrics 2013;131:e1937–e1945.
    1. Gunkel J, de Vries LS, Jongmans M, Koopman-Esseboom C, van Haastert IC, Eijsermans M, et al. Outcome of preterm infant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Pediatrics 2018;141:e20170635
    1. Choi SR, Kim KR, Kim DS, Kang JM, Kim SJ, Kim JM, et al. Changes in cytomegalovirus seroprevalence in Korea for 21 years: a single center study. Pediatr Infect Vaccine 2018;25:123–131.
    1. Picaud JC, Buffin R, Gremmo-Feger G, Rigo J, Putet G, Casper C, et al. Review concludes that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needed to harmonise the provision of fresh mother's milk to their preterm infants. Acta Paediatr 2018;107:1145–1155.
    1. Yoo HS, Sung SI, Jung YJ, Lee MS, Han YM, Ahn SY, et al. Prevention of cytomegalovirus transmission via breast milk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Yonsei Med J 2015;56:998–1006.
    1. Jim WT, Chiu NC, Ho CS, Shu CH, Chang JH, Hung HY, et al. Outcome of preterm infant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via breast milk: a two-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Medicine (Baltimore) 2015;94:e1835
    1. Weimer K, Kelly MS, Permar SR, Clark RH, Greenberg RG. Association of adverse hearing, growth, and discharge age outcomes with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infants with very low birth weight. JAMA Pediatr 2020;174:133–140.
    1. Hamprecht K, Maschmann J, Vochem M, Dietz K, Speer CP, Jahn G. Epidemiology of transmission of cytomegalovirus from mother to preterm infant by breastfeeding. Lancet 2001;357:513–518.
    1. Hayashi S, Kimura H, Oshiro M, Kato Y, Yasuda A, Suzuki C, et al. Transmission of cytomegalovirus via breast milk in extremely premature infants. J Perinatol 2011;31:440–445.
    1. Lee HC, Enright A, Benitz WE, Madan A.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from frozen breast milk in preterm,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 Infect Dis J 2007;26:276
    1. van der Strate BW, Harmsen MC, Schafer P, Swart PJ, The TH, Jahn G, et al. Viral load in breast milk correlates with transmission of human cytomegalovirus to preterm neonates, but lactoferrin concentrations do not. Clin Diagn Lab Immunol 2001;8:818–821.
    1. Yasuda A, Kimura H, Hayakawa M, Ohshiro M, Kato Y, Matsuura O, et al. Evaluation of cytomegalovirus infections transmitted via breast milk in preterm infants with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Pediatrics 2003;111(6 Pt 1):1333–1336.
    1. Bardanzellu F, Fanos V, Reali A. Human breast milk-acquired cytomegalovirus infection: certainties, doubts and perspectives. Curr Pediatr Rev 2019;15:30–41.
    1. Maschmann J, Hamprecht K, Dietz K, Jahn G, Speer CP. Cytomegalovirus infection of extremely low-birth weight infants via breast milk. Clin Infect Dis 2001;33:1998–2003.
    1. Klotz D, Jansen S, Gebauer C, Fuchs H. Handling of breast milk by neonatal units: large differences in current practices and beliefs. Front Pediatr 2018;6:235
    1. Stagno S, Brasfield DM, Brown MB, Cassell GH, Pifer LL, Whitley RJ, et al. Infant pneumonitis associated with cytomegalovirus, Chlamydia, Pneumocystis, and Ureaplasma: a prospective study. Pediatrics 1981;68:322–329.
    1. Brasfield DM, Stagno S, Whitley RJ, Cloud G, Cassell G, Tiller RE. Infant pneumonitis associated with cytomegalovirus, Chlamydia, Pneumocystis, and Ureaplasma: follow-up. Pediatrics 1987;79:76–83.
    1. Paryani SG, Yeager AS, Hosford-Dunn H, Johnson SJ, Malachowski N, Ariagno RL, et al. Sequelae of acquired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remature and sick term infants. J Pediatr 1985;107:451–456.
    1. Mei L, Spinelli M, Capretti MG, Alessandroni R, Tridapalli E, Corvaglia L,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of postnatal CMV infection transmitted through breast milk in the ELBW infants. Pediatr Res 2011;70:312
    1. Brecht KF, Goelz R, Bevot A, Krageloh-Mann I, Wilke M, Lidzba K. Postnatal human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reterm infants has long-term neuropsychological sequelae. J Pediatr 2015;166:834–839.
    1. Vollmer B, Seibold-Weiger K, Schmitz-Salue C, Hamprecht K, Goelz R, Krageloh-Mann I, et al. Postnatally acquired cytomegalovirus infection via breast milk: effects on hearing and development in preterm infants. Pediatr Infect Dis J 2004;23:322–327.

Metrics
Share
Tables

1 / 4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