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선불 전자지급 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교통카드사용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of Online Charging Service for Prepaid Electronic Paymen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and Transportation Card User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경영정보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경영정보학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23권 제3호 (2021.08)바로가기
  • 페이지
    pp.177-200
  • 저자
    이선구, 이원부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896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use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s such as electronic wallets, digital currency and prepaid points is gradually increasing. Prepaid electronic payments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used after charging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in order to help improve the service that require prepaid recharge by applying transformed TAM. Since there are not many previous studies for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we extract factor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for electronic cash and mobile easy payment. Also we analyze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harging for transportation card us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ubiquity’, and ‘self-efficac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positive (+) effect on mediation variabl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usage intention’. According to users’ gender, internet usage time, internet shopping frequency, online charging frequency and transportation card usage type,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age intention’. As an implication, it was suggested that service improvement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are needed in direction of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services. Additional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services such as e-wallets, prepaid points and digital currencies by adding other factors and moderate variables.
한국어
최근 전자지갑, 디지털화폐, 선불포인트, 선불카드 같은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선불지급수단은 선 충전, 후 사용이라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선불 충전이 필요한 서비스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을 변형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온라인 충전 이용의도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기존 간편결제와 전자화폐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요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선불 교통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온라인 충전의 이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변수 중에서 ‘편리성’, ‘보편성’,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종속변수인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들의 성별,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쇼핑 구매빈도, 모바일충전 이용빈도, 교통카드 이용형태 등에 따라서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의도’에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선불 서비스의 유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비스에 대한 개선과 차별화된 마케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른 요인변수와 조절변수를 추가하여 전자지갑, 간편결제포인트, 디지털화폐 등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 목적 및 의의
Ⅱ. 이론적 배경
2.1 선불전자지급수단
2.2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Ⅳ. 연구분석
4.1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2 연구모형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3 연구모형의 적합성 분석
4.4 연구가설의 검증
V. 결론 및 제언
5.1 연구결과
5.2 시사점
5.3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선구 [ Seon-Ku Lee | 동국대학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박사과정 ]
  • 이원부 [ Won-Boo Lee | 동국대학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경영정보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설립연도
    1989
  • 분야
    사회과학>경영학
  • 소개
    이 학회는 경영정보학의 연구 및 교류를 촉진하고 학문의 발전과 응용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경영정보학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 간기
    계간
  • pISSN
    2982-6551
  • eISSN
    2982-6837
  • 수록기간
    1999~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5 DDC 65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경영정보학연구 제23권 제3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