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
학술지명 다문화교육연구
제목(원어) 예비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
제목(영어)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키워드(원어) 예비교사, 다문화 역량 척도, 다문화 지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 기술
키워드(영어) pre-service teacher;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education skill; delphi survey.
저자 박명희  ( -Myung Hee Park, 대구보건대학교 )
김경식  ( 경북대학교 )
초록(원어)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는 학령기 외국 태생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전문성을 양성하는 단계에 있는 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예비교사의 다문화 역량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절차는 국내․외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자료를 통해 예비교사 다문화 역량의 요인 구성과 델파이 조사,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한다. 그리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다문화 역량 척도는 다문화 지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교육 기술 3개의 주요인과 각각 4요인(다문화사회 지식, 다문화가정 학생 지식, 다문화... 더보기
초록(영어)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entering to multicultural society recently has raised concerns of maladjustment problems caused by students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mentioned above. However, b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is carried out to those pre-servic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evels of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skills. The basic questions are examined with the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Delphi survey, a pilot survey and main survey. ... 더보기
분야 교육학
페이지구간 1 ~ 37
CCL 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