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폭염 피해 대조군 지역 분석

2012년과 2018년에 수백 명의 사람들이 온열 질환으로 사망한 이후, 한국의 폭염은 심각한 재난중 하나로 여겨져 왔고, 이것은 폭염으로 인한 재난에 대한 연구의 현저한 증가로 이어졌다. 그러나대부분의 이전 연구는 주로 지역 규모 또는 성별, 연령 및 직업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의 상대적취약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폭염으로 고통 받은 다른 나라들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폭염재난의 원인은 인구통계학적 배경뿐만 아니라 공공 서비스와 같은 주변 사회의 역할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사회적 구조가 유사하지만 폭염 피해자들의 관점에서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한 대조지역을 식별하기 위해 극심한 폭염 기후 변화에 사용된 영향 변수의 적절성을 먼저 조사하였다. 25개의 영향 변수 중 11개만이 허용 가능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고, 대표적인 대비지역은 구례 대 순창, 구례 대 인제, 구례 대 고성, 양구 대 인제, 양구 대 청송이었다. 이어 선정된대조군을 토대로 공적 기능을 분석하였으나 폭염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지역의 폭염 대피소는 아직 잘 홍보되거나 운영되지 않고 있다.

Since many people died of thermal disease in 2012 and 2018, the heatwave in Kore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serious disasters, which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research on disasters caused by heatwave.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relative vulnerabilities of demographic factors such as regional size or gender, age, and occup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by other countries suffering from heatwave, the causes of heatwave disasters include not only demographic backgrounds but also the role of surrounding societies such as public services. This study found that 11 influencing variables showed acceptable correlation with heatwave victims, and five pairs of contrast areas were selected. Subsequently, public functions were analyzed in the selected contrast regions; however, in spite of concerns over the heatwave, the heatwave shelter in this area has not been well promoted or operated.

Ⅰ. 서론

Ⅱ. 취약성 정의 및 영향변수 분석

Ⅲ. 폭염재난 영향변수 선정

Ⅳ. 대조군 지역 선정

Ⅴ. 대조군 지자체의 공적기능 분석

Ⅵ.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