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955.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Development of a Disaster Situa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National Disaster Statistics and Damage Information - A Case of Heavy Rains and Typhoons in South Korea

  • 44

과거의 자연재해 대응은 주로 상황근무자의 재난 대응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대응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에 경험할 수 없던 재난들이 발생하면서 시스템을 통한 예측 및 대응 등의 재난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시스템의 물리적 모델링을 통한 피해 예측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과거 피해 정보를 포함한 재해 통계를 이용한 재난대응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연재난 피해를 빈번하게 유발시키는 호우와 태풍을 중심으로 국가재해통계 기반의 재해상황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호우·태풍 특보지역에 대한 과거 재해피해 이력, 자료현황 통계 제공 및 유사태풍 조회로 구성하였다. 시스템은 현재 호우·태풍 발생 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재난대응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국가 차원의 자연재난 대응업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호우 및 태풍 외에도 강풍, 대설 등의 모든 자연재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확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ventional disaster response in South Korea was mainly based on experiences and subjective judgement of on-site responders. However, a growing number of new types of disasters requires a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In order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a physical modeling in damage prediction, the use of disaster statistics including the past damage data becomes more critic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isaster Situation Analysis System (DSAS) based on national disaster statistics on heavy rains and typhoons which frequently caused damages across South Korea. The main function of the system is to search the past history of disaster damage in the disaster areas and relevant data and statistics relating to similar cases. This system is currently being used for disaster response tasks of the Central Headquarters of Safety and Countermeasures Against Disasters in South Korea.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future disasters at the national level, the system used for heavy rains and typhoon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all types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heavy snow and strong winds.

Ⅰ. 서 론

Ⅱ. 국가 재해통계 및 피해정보 기반의 재해상황분석 시스템 설계

Ⅲ. 국가 재해통계 및 피해정보 기반의 재해상황분석 시스템 개발

Ⅳ.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