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사람의 머리뼈 형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종에 따라 그 형태학적인 특성의 차이가 뚜렷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후컴퓨터단층촬영 (PMCT) 영상을 활용한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분류방법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각 분류방법에 대한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의 해부학적, 체질인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PMCT로 촬영된 단면영상 146장 (남72, 여 74)을 분석하였으며, 평균나이는 54.7±18.8세였다. 최대머리뼈길이를 최대머리뼈너비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를 산정하였고, 바위능선-정중선각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바위능선과 정중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129명 (88.4%), 중간머리형이 17명 (11.6%)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과 연령별 머리뼈 형태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86명 (58.9%), 중간머리형이 57명 (39.0%), 긴머리형이 3명 (2.1%)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빈도분석에서 남자의 짧은머리형이 여자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p=0.010), 연령별 빈도분석에서도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짧은머리형이 청년층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47). 결론적으로, CI와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 모두에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 및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머리뼈 형태, 머리뼈지수, 바위능선정중선각,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참고문헌(14)open

  1. [학술지] Lan Y / 1995 / A study on national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standards for Chinese skull-image superimposition / Forensic Sci Int 74 : 135 ~ 153

  2. [학술지] Han SH / 1995 / Craniometric Study in Modern Korean Adults / Korean J Phys Anthropol 8 : 205 ~ 213

  3. [학술지] Iscan MY / 2001 / Global forensic anthropology in the 21st century / Forensic Sci Int 117 : 1 ~ 6

  4. [학술지] Honda H / 1987 / Optimal positioning for CT examinations of the skull base.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 Eur J Radiol 7 : 225 ~ 228

  5. [학술지] Gado M / 1979 / Functional anatomy of the cerebral cortex by computed tomography / J Comput Assist Tomogr 3 : 1 ~ 19

  6. [학술지] 이수경 / 2014 / 법의부검에서 중요한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소견 / 대한법의학회지 38 (3) : 103 ~ 112

  7. [학술지] Eskandary H / 2009 / Skull indices in a population collected from 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patients with head trauma / J Craniofac Surg 20 : 545 ~ 550

  8. [단행본] Martin R / 1928 / Lehrbuch der Anthropologie. Vol 1 / Verlag von Grustave Fischer

  9. [학술지] Koh KS / 1999 /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rania / Korean J Leg Med 23 : 122 ~ 130

  10. [학술지] Schulter FP / 1976 /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mporal bone in three populations of man / Am J Phys Anthropol 44 : 453 ~ 468

  11. [학술지] Landis JR / 1977 /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 Biometrics 33 : 159 ~ 174

  12. [학술지] 최창운 / 2020 / 3차원 머리뼈 CT 영상과 계측학적 분석을 활용한 한국인 눈확지수와 머리뼈지수에 대한 연구 / 해부·생물인류학 33 (1) : 1 ~ 9

  13. [학술지] 허동진 / 2008 /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 해부·생물인류학 21 (3) : 267 ~ 278

  14. [단행본] Long BW / 2018 / Merrill’s Atlas of Radiographic Positioning and Procedures / Elsevier Health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