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3 pp.117-124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3.1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s through Surveying the Cut-Flower Distribution System
절화 유통구조 실태조사를 통한 공영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Jin Hee Lim*, Ji Yeon Seo, Myung Syun Shim
Department of Bioresources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Seoul 143-747, Korea

임 진희*, 서 지연, 심 명선
세종대학교 바이오자원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 : Jin Hee Lim Tel: +82-2-3408-4374 jinheelim@sejong.ac.kr
April 10, 2014 April 16, 2014 August 14, 2014

Abstract

The major distribution channel for cut flowers in Korea is based on consignment wholesale through traditional markets. This distribution method results an unfair trade and difficulty in demand-supply balance for a large amount of flowers. Moreover, the lack of standard grading system results in decrease in high quality flower production. Although the public wholesale markets wer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the problems still remain unresolved becaus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public markets for cut flowers have not yet been settled completely. In present study,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domestic flower market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with the objective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over 100 dealers in the public wholesale market and consignment wholesale markets. The finding from our study indicated that the scale-up, the facility expansion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 are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flower market. In addition, the specific grading standard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ut flowers in the flower markets. In recent years, import of cut flowers have been growing gradually to meet consumer demand.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by the influx of imported cut flowers on domestic flower markets, the flower auction should be a central marketplace for buying and selling all cut flowers including imported cut flowers. Moreover, the price setting on the basis of flower quality is prerequisite for fair-trade. By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wholesale market play a leading role in the distribution system for cut flowers, and thereby fair-trade, customer satisfaction, right and interest of growers and supply-demand control will be improved.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PET311069-3

    서 언

    화훼산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더 불어 소비가 확대 되어야 하고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효율적인 유통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물류비 절감 및 새로운 유통 환경에 대응 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이 요구된다(Chun 1993). 세계 화 훼무역의 가격과 유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경우 경매시장이 상업적 유통의 핵심으 로 전 화훼 생산량의 96%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Park 2013). 경매시장은 주산지 또는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어, 생산자는 신선한 생산품을 연중 신속하게 출하 하 고 기계식 경매에 의해 모든 거래가 이루어짐으로써 출 하자에 대한 대금결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전 유통과정에서 저온유통체계화 및 선별과 포장의 규격 화 등 선도적인 수확 후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Park 2000). 일본의 화훼 유통의 경우 최근 영세한 도매시장 을 통합하여 대규모 중앙도매시장으로 발전 시키고 있으 며 생산농가의 신뢰와 가격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또 한, 경매 외 거래의 일부인 인터넷거래(Web)의 도입으로 경매공간과 경매시간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생산농가나 유 통참가자와 소비자에게 무한신뢰를 심어준 것이 일본 화 훼산업 발전에 초석이 되었다(Kwon 2011). 반면 우리나 라 화훼유통시장은 소규모 재래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 여 왔기 때문에 생산 농가의 불안정적 판로, 재래시장의 왜곡된 거래 관행 등의 문제가 화훼산업의 발전을 저해 하여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공정한 화훼 거래의 정착을 유도하고자 1991년 서울 지역에 양재동 화훼공판장과 1997년에 부산 엄궁동 법정도매시장을 건 립하였으나(Park et al. 2000), 현재 우리나라 절화 총 생 산액(2,590,7억원)의 45.7%만이 공판장을 통해 거래되고 있으며 나머지 55.3%는 유사도매시장 등을 통해 거래되 고 있는 실정이다(YFMC 2012). 유사도매시장 중심으로 한 위탁거래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공정한 거래체계 확 립이 곤란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시장이 난립되는 경향 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화훼유통의 지속은 시장단계 별 가격형성, 표준규격화, 유통정보, 저장 가공 등 유통 기능 수준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Kim 2005). 특히, 최 근 위탁상인 및 업체 등을 통해 수입되고 있는 저가의 절화는 짧은 관상기간으로 인해 오히려 소비자의 만족도 를 떨어뜨리고, 낮은 품질로 인해 절화류의 이미지 저하 와 더불어 구매욕구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화 훼시장 활성화 및 국산 절화의 소비확대를 위해서 절화 류의 외관뿐만 아니라 내적 품질을 고려한 적절한 가격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매를 통한 가격 결정 과 도매 및 소매 시장의 적정 소비자 가격제시가 요구 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총 화훼 판매량의 약 54%를(MAFRA 2012) 차지하고 있는 절화류에 대해서 유통구조 현황 실태 조사, 품질개선 관리현황, 수입산 절화 유통 등 실태조사 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함으로 써 공영도매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 였다.

    재료 및 방법

    설문 내용 및 범위

    본 설문조사는 우리나라 유사도매시장의 양성화를 위 해 현 공영시장의 기능을 분석하고 선진 화훼 유통구조 를 만들고자 화훼유통 시장인 공영도매시장의 중도매인 과 유사도매시장의 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13년 11월 16일 양재동 공영도매시장 내의 86명의 중도매인 과 2013년 10월 26일 서울지역에 있는 서초동 경부선터 미널 꽃상가 48명, 강남 코벤트 꽃상가 32명, 남대문 대 도 꽃상가 20명 등 총 3곳의 유사도매시장 상인 100명 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절 화 유통실태 분석, 등급설정기준, 수입산 꽃의 문제점에 관해 조사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의 경우 성별, 연령, 경매참여경 력, 연간 경매금액, 고정 거래처 확보여부를 통해 응답 자를 분석하였다. 남성이 67%로 여성보다 많았으며 연 령은 50대 40%, 40대 27%순으로 나타났다. 경매참여경 력은 10 ~ 20년 기간이 48%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연간 경매금액은 3-4억이 38%, 2-3억 원이 34%인 것으로 조 사되었다. 고정거래처는 81% 이상이 확보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유사도매시장 상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 성으로는 남성이 62%로 여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은 50대가 43%, 60대가 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계종사기간은 20년 이상이 59%로 공영도매시장 중도 매인 보다 더 긴 종사기간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유사도 매시장이 공영도매시장보다 10년 이상 앞서 조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절화류 유통실태 분석에 관한 설문문항 내용

    유사도매시장 상인들의 경우, ‘공영도매시장 거래 시 장• 단점과 절화류 판매 시 어려운 점’ 대하여 조사하였 고, 공영도매시장의 중도매인의 경우, ‘절화류 판매 시 어 려운 점’ 조사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영도매시장 기 능 확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유통구조별 절화류 표준 등급화 실태에 관한 설문 문항내용

    고품질의 절화 유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영도매시 장 등급설정의 문제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 영도매시장의 중도매인과 유사도매시장의 상인을 대상으 로 하였으며 각각의 시장 내 표준 규격화 정도에 대해 조 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규격이나 등급에 맞는 도소 매 가격여부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입산 절화 실태에 관한 설문 문항내용

    화훼류의 품목별 관세는 타 작물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이며(Park et al. 2006). 유사시장을 통해 유입되는 수 입산 절화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설문조사를 시시하였다.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에 대하여서는 수입산 절화의 경 매에 대한 의견과 수입산 절화 경매 시 장단점을 유사 도매시장 상인에 대하여는 수입 꽃의 비중 및 수입산 절 화 판매 시의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공영도매시장의 확대 및 유사도매시장 안정화에 관한 설문문항 내용의 안정화 조건

    공영도매시장의 기능 확대를 모색하기 위하여 현 공영 도매시장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공영시장 규모확대를 위 해 선결되어야 할 부분을 조사하였고, 유사도매시장 상 인에게는 가장 필요한 정책지원에 대하여 조사하여 분석 하였다.

    설문조사 방법

    첫째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과 유사도매시장 상인의 일 반적 특성(성별, 연령, 경매참여경력, 연간 경매금액, 고 정거래처 확보)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기 위해 빈도분 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다. 둘째 절화류 유통실태 분석과 등급설정기준, 수입산 꽃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 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중 심으로 각 항목 간 교차분석과 평균차이 검정방법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결과 및 고찰

    결과 및 고찰

    절화류 유통구조 실태 분석

    유사도매시장 상인을 통한 현 공영도매시장의 거래 시 장점으로는 전체적으로 ‘안정된 물량확보’가 37.9%로 가 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1A). 종사기간이 오래될수 록 좋은 품질과 가격안정에 대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영도매시장의 단점으로는 ‘반품불가’가 31.3%로 제일 많고, ‘비싼 가격’ 28.9%, ‘비싼 운송료’ 20.5% 등으로 나타났다(Fig. 1B).

    중도매인의 절화류 판매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판 로확보’가 59.0%로 가장 많았고(Fig. 2A), 60대 이상, 경 매경력 5년 미만의 연 경매규모가 2-3억의 중도매인에게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매시장 상인의 경우, 재고부담이 가장 힘든 부분으로(Fig. 2B) 나타난 것은 화 훼류의 특성상 판로확보가 보장되지 않으면 재고량에 대 한 손실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공영도매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정한 가격형성, 투 명한 거래, 유통정보공개, 자금 지원, 표준 등급화가 요 구된다(Kwon 2011). 그러나 현 공영도매시장은 안정된 물량 확보의 장점은 있으나 경매된 절화의 품질이 만족 되지 않을 시 반품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매된 절화의 품질 저하가 반복 될 경우 상인에게 손실을 초 래하고 공영시장에서 경매되는 절화류 품질 신뢰도를 저 하시켜 공영시장의 기능 결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 은 절화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자 네덜란드의 경우 알스 미디어 화훼경매장의 운반차량은 20℃로 유지, 저온 저 장고에 보관한 후 습식유통을 하며, 수국이나 장미 등은 전량 습식유통의 형태로 운송되고 있다. 또한 MPS 인 증 시스템을 통하여 재배부터 유통 및 판매에 이르기까 지 안정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진다(Park et al. 2013). 일본의 경우 습식 저온 유통을 적극 활용하여 화훼 선 도 유지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습식저온 유통은 꽃 의 상품성 향상에 기여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선도 유지 요구 충족으로 생산농가의 수취가격 상승에도 도움을 주 고 있다(Kwon 2011). 이처럼, 유통과정 중의 절화 품질 을 유지하고 구매욕구를 높이기 위해서는 저온수송 및 습 식유통 등의 선진 수확 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고, 소 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인증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 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통구조별 절화류 표준 등급화 실태 분석

    절화류는 타 농작물에 비해 품목이 다양하며 높은 선 도유지가 요구되는 작물로 이에 대한 효율적인 유통 질 서의 확립을 위해서 현실화한 규정관리가 필요하며 농가 에서부터 규격출하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 야 한다(Park et al. 2000). 화훼공판장의 증가로 절화류 유통기능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공판장 시설의 협소, 선 진 유통 기법(선취매매, 예약 상대 거래 등)의 미 도입 등 전반적인 유통기능은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상품 규 격화 및 포장 규격화, 신선도 유지를 위한 유통 시설 등 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Park et al. 2006). 현 공영도 매시장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절화 표준규격화 정도에 대 하여 조사한 결과 보통이 42.4%, 불만족이 37.6%로 나 타났다(Fig. 3A). 유사도매시장의 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절화 품질에 대한 조사에서도 보통이 80.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불만족과 만족은 각각 11.0%와 9.0%로 나타 났다(Fig. 3B).

    현실적으로 화훼의 경우 등급 간 가격차이가 크지 않 기 때문에 품질보다 수량위주의 생산체제를 선호하게 됨 으로써 품질이 낮은 화훼가 시장에 유통되는 문제가 발 생되고 있다(KHPC 2010). 실제로 유사도매시장 내 절 화 표준규격이나 등급에 맞는 도소매 가격여부에 대한 조 사 한 결과, ‘보통’이 50.6%로 절반 정도 차지하고, 등 급에 따른 적정가격이 ‘맞다’고 응답한 사람은 20.2%, ‘맞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은 29.2%로 나타나, ‘보통’ 응 답자를 제외하면 ‘맞지 않다’는 응답률이 더 높게 나타 났다(Table 1).

    농산물 도매시장은 물류의 효율화 및 소비자의 가치 증 대를 위하여 표준화 및 등급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Kee 2010). 네덜란드 알스미어 화훼 경매장의 성공요인 중 하 나는 엄격한 품질관리로 출하품의 품질검사를 통해 하급 품의 경우는 상장을 시키지 않음으로써 고품질의 화훼 출 하를 유도하고 있다(Park et al. 2006). 우리나라와 유사 한 문제를 가지고 있던 일본의 경우도 생산부문에서 산 지의 조직화, 규모화가 이루어졌으며 규모화에 따른 공 동 선별장을 통한 출하를 하고 있다(Park et al. 2013). 이 같은 생산에서부터 물류의 표준화, 상품의 등급화를 철저히 적용할 경우, 고품질 화훼 물량의 증가와 꽃의 상 품성 향상이 촉진되고 고품질 화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를 충족시킴으로써 인터넷 경매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 한, 생산농가의 수취가격 상승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입산 절화 실태 분석

    국민소득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화훼 구매액도 높은 수 준으로 올라가고 있으며 각 구매 용도에 맞는 화훼 종류의 다양화가 필요하다(Ohe 2009). 실제 중도매인의 경 우 수입산 절화의 경매 찬성 요인으로는 절화의 다양한 구색마련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Fig. 4A), 단점으로 비싼 가격 37.9%, 기타 32.8%, 품질 불만족 2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Fig. 4B).

    유사도매시장 상인의 경우 수입산 절화 판매 찬성 요 인으로는 가격안정 22.1%, 낮은 가격과 소비자 주문 증 가가 각각 17.6%, 품질만족이 13.2%로 나타난 반면 (Fig. 5A), 단점으로는 비싼 가격과 품질 불만족이 각각 37.9%와 29.3%로 나타났다(Fig. 5B). 이는 선진국의 다 양한 품종의 수입산 절화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점차 높 아짐과 동시에 중국산과 말레이시아산의 저가의 절화가 유사도매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을 반증해주고 있다.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수입산 절화에 대한 공판장 경매 에 대해 알아본 결과, 찬성이 81.2%, 반대 17.6%, 잘 모 름 1.2% 등으로 대부분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A). 고정 거래처가 있는 경우 더 높은 찬성률을 나타냈으며 고정 소비자에 의한 구매가 수입 절화의 중 요한 판로인 것으로 분석된다. 유사도매시장에서 거래되 는 절화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생산자 위탁거래가 32.1% 로 가장 높고, 공영도매시장이 15.8%, 수입 3.8%으로 아 직까지 수입 절화의 비중이 그다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6B).

    우리나라 화훼 수입량의 경우 2005년 5,396톤을 기점 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2012년 12,277톤으로 127% 상승률을 보였으며 수입금액 역시 2005년 28,845 천$에서 2012년 47.852$로 100% 이상의 수입상승률을 나타냈다(MAFRA 2012). 오늘날은 소비자 욕구의 다양 화로 소비자 구매행동이 급속도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저렴한 물건을 선호하는 경향과 가격을 따지지 않고 상 품의 가치만을 생각하는 소비 등 다양한 구매형태가 나 타나고 있다.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뛰어난 품질과 기 능은 물론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까지 기대하게 되었다 (Chu et al. 2013). 농림부 통계에 따르면 저가의 대만산 과 고품질의 네덜란드 절화 수입이 2012년 14,190천$와 11,118$로 전체 수입액의 30%, 23%로 1,2위를 다투고 있는 실정이다(MAFRA 2012).

    조사결과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과 유사도매시장 상인 모두 수입산 절화의 경우 공정한 경매를 통한 유통으로 물량확보와 안정된 가격의 거래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절화 수입을 찬성하는 목적은 1) 고급화 및 다양 성 추구, 2) 저가의 물량 확보 등 두 가지 측면으로 고 려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고급화를 추구하는 소 비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규모가 큰 상인들에 의해 수 입이 될 것이며, 후자의 경우는 경영규모가 다소 작은 영 세 상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우리나라 화훼 생산에 있어 고품질 생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수입산 절화가 공영도매시장 경매에 참여할 경우, 국산 절화 품질 차별성을 위해서 절화 등급에 따른 적정 가 격설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영도매시장의 확대 및 유사도매시장의 안정화 조건

    공정한 화훼 거래 및 유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공 영경매시장의 최우선 과제는 엄격한 표준화 및 등급화 의 시행이다. 공영경매시장 중도매상인의 경우, 공영시장 규모의 확대를 위해 선결되어야 할 부분으로 절화 품질 (49.4%)을 꼽았고, 그 다음으로 정책(30.4%), 절화량(10.1%) 및 시장참여자(10.1%)인 것으로 나타났다(Fig. 7A). 유사도 매시장 상인의 경우 가장 필요한 정책지원으로 규모 있는 시장(장소) 마련(47.8%)을 꼽았고, 그 다음으로 가격안정 (32.2%)이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조사되었다(Fig. 7B).

    이러한 조사결과는 유통시스템이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규모 있는 통합 공영시장 마련 이 시급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공영경매시장 중도매인에 게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절화의 가격안정화와 화 훼 소비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선결 되야 할 사항을 조사한 결과, 통합시장의 구축이 34.6%로 가장 높게 나 왔고, 20-30년 경매 참여자로 한정할 경우 통합시장의 요 구도가 41.7%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절화 시장의 유통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는 공영시장의 규 모화, 시설화 및 현대화를 기반으로 한 공영시장의 기능 확대 및 시장 통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 사 도매시장의 불투명한 거래를 보완하여 공영도매시장 경매를 통한 가격 안정화와 가격에 따른 절화의 품질 개 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네덜란드와 일본의 경우 시 장운영에 있어 기본적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물류비 절감과 수집-분산 기능의 확대 를 위해 시장의 대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영 세한 도매시장을 통합하여 대규모 중앙도매시장으로 발 전시키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생산부터 수출까지를 고려 한 입지선정과 대형시장을 추구하고 있다. 거래의 신속 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경매를 채택하고 있고 모든 거래는 도매시장을 경유함으로써 출하자에 대한 대금결 제의 안정성을 확보와 물류의 표준화, 상품의 등급화가 철저히 적용되는 인터넷 경매거래를 하고 있다. 우리나 라 화훼유통 역시 엄격한 품질검사와 등급화로 출하품의 고품질의 절화 유통과 신선도 유지를 위해 저온 시설을 확보하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유통 시절 투자를 강 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선진 화훼유통을 위한 조건들 이 선행될 경우 공영도매시장이 국내 화훼유통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초 록

    우리나라 화훼 유통은 재래시장 중심의 위탁판매방식 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유통방식은 불공정 거래가 될 수 있으며 수집 분산기능이 약하여 대량 수급조절이 어렵다. 또한 품질 등급화의 미흡으로 인하여 고품질 화 훼생산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정 부에서 공영도매시장을 건립하였으나 아직까지 그 기능 과 역할이 완전하게 정착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 영도매시장 기능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영도매시장 중도 매인, 유사도매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국내 화훼시장에 대 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화훼시장의 활성 화를 위해서는 규모화, 시설화, 현대화를 기반으로 한 공 영도매시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화류의 품 질개선을 위해 명확한 등급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최근에는 다양한 절화를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늘 어남에 따라 저가의 수입 절화의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저가 수입산 절화의 유입에 따른 국내 화훼시장의 혼탁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수입산 절 화가 경매과정을 거쳐서 공정하게 거래되도록 해야 하며 수입산 절화와 국산 절화의 차별화를 위하여 품질에 따 른 가격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개선을 통 하여 공영시장을 통한 절화의 유통이 확대되고, 투명한 거래와 생산자의 권익보호, 품질 신뢰성 향상 및 수급안 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 주요어:

    유통상가, 수입산 절화, 등급규격화, 화훼시장, 소 비활성화

    Figure

    FRJ-22-117_F1.gif

    Benefits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 transactions (A) and disadvantages public wholesale market transactions (B) by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FRJ-22-117_F2.gif

    Difficulty when the quantity purchased by wholesalers (A) and difficulties when selling cut flowers by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B).

    FRJ-22-117_F3.gif

    Standardization degree in public wholesale markets by wholesalers (A) and Standard normalized degree in consignment sale markets by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B).

    FRJ-22-117_F4.gif

    Advantages of imported flower auction (A) and disadvantage when imported flower auction (B) of wholesalers.

    FRJ-22-117_F5.gif

    Advantages of imported flower sale (A) and disadvantage when imported flower auction (B) of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FRJ-22-117_F6.gif

    Comments for flower auction revenue of wholesalers (A) and the proportion of imported flowers in consignment sale markets by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B).

    FRJ-22-117_F7.gif

    Prerequisite for public wholesale market should be expanded part by wholesalers (A) and Information needed to support business expansion policy of consignment sale market merchants (B).

    Table

    The degree that the quality grade of cut flowers is reflected in retail and wholesale price in consignment sale markets.

    xSex: Sex of respondents.
    yYears (generation ): Age of the respondents.
    zParticipation duration to auction (years): Participation duration to auction of the respondents.

    Prerequisite for price stability of cut flowers by wholesalers.

    xSex: Sex of respondents.
    yYears (generation ): Age of the respondents.
    zParticipation duration to auction (years): Participation duration to auction of the respondents.
    wAuction scale (Billion): Amount of annual auction profit by respondents.
    vGaining customers: Questions about Gaining customers status of the respondents.

    Reference

    1. Chu DS , Jeon IO (2013) Study on flower distributors of consumer buying behavior , Digital Policy & Management J, Vol.11; pp.57-71
    2. Chun Hb (1993)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flower distribution , Research paper R5-10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orea,
    3. Kee HS (2010) Challenges of public wholesale markets in the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a study on managerial understanding and responses , MS thesis Kunkuk univ Korea,
    4. Kim BT (2005)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development in the korea floriculture industry , MS thesis Namseoul univ Korea,
    5. Korea Horicultural Producers Council (KHPC) (2010) The research of the grading and standard of flower,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ess,
    6. Kwon YK (2011) A study on cut-flower wholesale markets surveying recognition of the market participants , MS thesis Kunkuk univ Korea,
    7. (2012) Ministr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 Annual report of floriculture, MAFRA press, pp.398-399
    8. Ohe AR (2009) Fl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purchase motivation and lifestyles focussed on bundang area , MS thesis Chungbuk univ Korea,
    9. Park KH , Heo SY , Lee DS (2013) Strategy for Developing Horticulture and Special Crop Industry as New Growth Engine , Research paper R62-64,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ress,
    10. Park HT , Lee DS , Park KH , Jung H (2000) Current status of flower distribution structure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 Research paper R602-2,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ress,
    11. Park HT , Park KH , Han HS (2006) Flower industry to promote the impact of FTA , Research paper R88-89,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ress,
    12. (2012) Yangje Flower Market Center (YFMC) , Annual report of floriculture. , YFMC press, pp.24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