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61.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An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VR and Its Educational Utilization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 528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최근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가상현실(VR)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VR 연구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국내 연구 전반과 학문영역별, 그리고 교육학의 VR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특히 VR의 교육적 활용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VR의 교육적 활용 및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9년 5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및 학 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집하였다. 전처리와 예비 분석을 반복 실시하여 도출된 2,729편의 의 논문에서 5,791개 주제어를 대상으로 R과 NetMiner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으로 연구현황을 확인하고, 연관 규칙 분석과 네트워크 시각화를 통해 주제어 간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사회과학, 의약학, 인문학, 자연과학, 농수해양학의 국내 전 학문영역에서 VR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내 VR의 주제어는 유형, 시스템, 사용자, 활용 분야, 기타를 중심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이때 각각의 주제어는 VR 또는 AR을 중심으로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교육학 외에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VR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관심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높은 요구와 교육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 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virtual reality(VR) has been widely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s one of the main driving force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VR that has featured with overall social interest, widespread usage, and technology orientation, can be better explain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than a single academic disciplin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VR among domestic researchers with diverse academic fields. For this purpose, the domestic VR research trends and differences of major keywords between academic field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VR researches published in KCI (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In detail, researchers searched and collected 5,791 keywords from 2,729 papers, which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conferences related to VR from 1998 to May 2019,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ssociation rule analysis, and networks visualization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using R software package and NetMiner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VR research was being conducted in all domestic academic fields of engineering, arts, and kinesiology, interdisciplinary studies, social science, medicine and pharmacy, humanities, natural science and marine agriculture, fishery, implying that VR had been studied in widespread academic disciplines. The major keywords of domestic VR research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type, system, user, utilization field and etc., and most of the major keywords were linked with either VR or AR.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of major keywords between academic areas showed that there are high interests in educational utilization of VR in various academic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s re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usag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VR researche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utilization and research of VR focusing on pedagogy

Ⅰ. 서 론

Ⅱ. VR의 주요 개념과 기술 현황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