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직장이동행태의 시계열적 추이: 이중노동시장 검토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Job Mobility in Korean Labor Markets : Double Labor Market Review

  • 86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직업력(work history)자료를 이용하여 직무의 숙련(skill)을 기준으로 노동시장을 1차(primary labor market)와 2차(secondary labor market)로 구분하고, 기업규모를 추가하여 4가지 시장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노동시장간 전환에 따르는 제약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dualism)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해자드확률(hazard rate)을 추정하는 기간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첫 일자리 배치가 학력수준에 따라 할당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하지만 노동시장 진입이후 학력요인은 일자리 이동에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동시장간 단순 전환율 분석결과에서는 노동이동 결과 2차·중소기업군 시장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상향 노동시장으로 이동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과 직업특성이라는 이질성을 통제한 해자드모형 추정결과에서는 모든 모형에서 가 양의 값을 보임에 따라 현재 노동시장을 벗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숙련수준과 기업규모별로 상당히 경직적이어서 일자리 이동에 제약이 따르고 일자리 이동을 통해 상향 노동시장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divides labor market into primary labor market and secondary labor market based on skill of job using work history data of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examined the dualism of the Korean labor market by analyzing the constraints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 after dividing the market into four types by adding the firm size. The main analysis method is the duration analysis model which estimates the hazard rate. First, Korea has a tendency to place the first job by education level, showing symmetr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simple transition rate between the labor markets, the shift of jobs is most likely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and small business market, and it is not easy to move to the upward labor market. Third, the hazard model estimates that controlled the heterogeneity of individual and job showed that gamma had a positive value in all models and that it is unlikely to escape the current labor market. The Korea labor market is very strict due to the level of skill and firm size, and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jobs, and it seems that the shift to upward labor market through job transfer is not easy.

1. 서론

2.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3. 분석방법

4. 분석자료 및 추정결과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