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25.171
18.222.125.171
close menu
KCI 등재
공간 이동과 재일코리안의 정주와 건강 -『大阪と半島人』와 『민중시보(民衆時報)』를 통한 오사카(쓰루하시(鶴橋))의 1930년대를 중심으로-
Space movement and the settlement & health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 With focus on the situations of Tsuruhashi (Osaka) in the 1930’s based on the reports by the two public newspapers: “大阪と半島人” and “民衆時報” -
김인덕 ( Kim In-duck )
인문과학 73권 5-36(32pages)
DOI 10.31310/HUM.073.01
UCI I410-ECN-0101-2019-000-001000301

본 연구는 1930년대 오사카의 쓰루하시라는 공간에서 도항 이후 재일코리안의 건강이 어떻게 일상 속에서 형성되었는지를 『大阪と半島人』, 『民衆時報』를 중심으로 확인해 보았다. 주요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코리안은 제국의 통제 아래 도항했고, 그들은 개별적으로 정착하다가 집단화되었고 정주의 공간을 마련,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변부에 조선촌을 형성해 갔다. 대표적인 정주 공간 오사카 쓰루하시는 이가이노와 함께 정주 재일코리안의 조선촌이 되었고, 일상의 건강이 유지되는 공간이었다. 둘째, 재일코리안의 건강은 일본 사회 속에서 존재한 일상의 반영이었다. 동시에 재일코리안의 건강은 일본에서의 건강, 건강정책과 유관하다. 문제는 차별의 대상으로 재일코리안은 공간적 제한의 존재로 그 모습은 소수자로 귀결되어 절대다수가 질병에 노출되었다. 셋째, 『大阪と半島人』, 『民衆時報』를 중심으로 본 재일코리안의 1930년대 일상의 모습 속에는 건강의 다양한 요소가 존재했다. 사상의 문제가 아니라 일상을 통해 존재한 모습이었다. 그 가운데 인간의 모습, 재일코리안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역사적 규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의학적인 수치를 통한 재일코리안의 1930년대 모습은 ‘양호’라고 했다. 그러나 문제는 일본제국의 통치 아래 도항했던 조선인의 일본 내 존재는 왜곡과 좌절의 틀에 존재했던 것이 사실이다. 쓰루하시라는 공간 속 정주하고 삶을 영위한 재일코리안에게 건강은 부차적이었는지도 모른다. 생존이 우선이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1930년대 쓰루하시 재일코리안의 정주와 건강은 현실의 구조가 작용하는 지점이었다. 일제의 통치와 조선인 사회의 구조가 중층적인 요소였음은 물론이다. 그 가운데 재일코리안의 건강은 일상 속에서 유지 되었다. 실제로 재일코리안은 병원과 약국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질병 치료를 시도했다. 본고는 건강을 유지한 재일코리안의 모습을 일상의 평범한 삶에서 확인했다. 재일코리안은 고향 사람이 함께 하는 삶의 안정감, 조선식 먹거리를 통한 즐거움, 막걸리를 통한 행복함, 적극적인 질병 치료하기, 정신적 스트레스의 대중적 치료 등 여러 형태로 건강을 유지하고 일본 속에서 살았던 것이다.

The paper has examined how the health of the ethnic Korean residents in Japan had been preserved and maintained in Tsuruhashi in Osaka in the 1930s, based on the reports by the two papers: “大阪と半島人 (Osaka and Peninsula)” and “民衆時報 (The Bulletin of the People).” First of all, the ethnic Korean residents in Japan sailed over to Japan under the domination of imperialism. They settled individually and built the town of the Joseon people centering around the major cities. Tsuruhashi - being the most typical area of domiciliation - functioned as the town of the Joseon people along with the city of Igaino and these were the places where the health of the Koreans were maintained. Second, their health was the reflection of the people’s life in Japanese society. The health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clearly linked with the health policy and care. I do believe that this issue should be discussed in earnest. However,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as the minority were exposed to diseases in the area. Third, based on the reports of the two papers - “Osaka and Peninsula” and “The Bulletin of the People” - there existed a variety of factors that guaranteed the health of the Koreans in the 1930s not from the viewpoint of ideologies but from that of the daily life. On top of that, the human quality of the Koreans at that time show us living in the present times the historical defining power. Fourth, the medical valu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during the 1930s were favorable but the presence of the Koreans in Japan was embroiled in a controversy with regard to distortion and frustration. It was because the top priority concern for those Korean residents in Tsuruhashi was always their survival. Fifth, the period of the 1930s for the Koreans in Tsuruhashi was the point of realistic structure. The rule of the imperial Japan and the structure of Joseon were surely the multi-level factors. With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could have been sustained. In fact, Korean could have received the treatment of diseases by hospitals and drugstores. In this sense, the diseases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uld be newly discussed and is required to find the cure. Actually, curing diseases is similar to the reform of the daily life. The paper confirmed the maintenance of health among the Koreans in Japan in their ordinary life. Friendship among the neighboring people, enjoying Korean food and traditional Korean wine, the active treatment of the illness, and the general cure of mental problems were all the reasons for their conditions. Recently, many of the diaspora and the migrated Koreans have been studied but most of them were static, drawing no public interests. Various regions and a variety of views are expected for the Korean residents in foreign countries.

Ⅰ. 머리말: 쓰루하시의 공간성과 재일코리안의 건강
Ⅱ. 건강의 전사(前史) 도항과 정주
Ⅲ. 재일코리안의 공간과 음식, 건강
Ⅳ. 맺음말: 재일코리안의 일상과 건강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