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9)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영어 대사를 각각 일본어와 한국어로 번역한 대역본에 나타난 중단절의 특징을 조사하고 양국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어와 일본어 번역본에 나타난 중단절의 종류 및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 빈도수가 높게 나타난 상위 4개의 중단절을 대상으로 그 용법을 조사하고 양국언어의 대응형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전체적인 중단절의 출현 빈도는 한국어 (317 개) , 일본어( 196개 )로 한국어가 더 높게 나타났다.
(ii) 상위 4위까지의 중단절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 から(28.06%) > けど(19.39%) > が(12.76%) > 조건형(9.69%)
한국어: 는데(27.44%) > 다고(21.45%) > 거든(12.30%) > 고(9.78%)
(iii) 「けど」「が」 와「는데」는 뒷문장의 전제배경 제시, 직적접인 거절을 피할 경우 사용된다. 반면에 화자의 의견을 말할 때, 한국어는 모달리티 형식에 「는데」를 부가하는 반면(예: 것 같은데), 일본어는 모달리티 형식만으로 발화를 종결하는 경향(예:かもしれない)이 나타났다.
(iv) 「から」가 선행문에 대한 이유를 언급할 경우에는 「거든」과, 상대방에게 행동을 촉구하는 전제 조건을 제시할때에는 「ㄹ/을게」와 대응된다.
(v) 한국어「다고」는 화자의 부정적인 태도 표출시 자주 사용되는 반면에 일본어는 대부분「종지형」이 사용된다.
「고」는「し」와 대응되지만,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선행문맥과의 관련성을 보다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vi) 한국어의 조건형 중단절에는 일본어의「たら」와 같이 권유·제안의 의미 확장은 나타나지 않지만, 의무・의지 표출의 「なければ(なきゃ)」에는 「-아/어야겠」의 형태로 대응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uspended clauses(SCs, henceforth) b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in Japanese and Korean translation of English movie scripts and clarify how they differ from each other. First, the overall frequencies of SCs in Japanese and Korean were counted. Then, with focusing on high ranked four SCs, their uses and correspondences between two languag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overall frequencies of Korean SCs(317 tokens) are greater than those of Japanese(196 tokens).
(ii)High ranked four SCs in each language are as the following order:
Japanese: kara (28.06%) > kedo (19.39%) > ga (12.76%) > conditional connective (9.69%)
Korean: nuntey (27.44%)> tako (21.45%) > ketun (12.30%) > ko (9.78%)
(iii) Japanese kedo/ga and Korean nuntey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used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following utterance and avoid direct denials toward a hearer. Differences are found in that nuntey tends to be added to modality (e.g. kes kat-untey) when a speaker expreses his/her opinion, while Japanese kedo does not (e.g. kamosirenai).
(iv) Korean tako is frequently used to express a speaker"s negative stance, while Japanese final predicate from (syushikei ) is employed in such a case. Although ko and Japanese shi resemble each other, ko tends to be employed more frequently to express the relevance to the preceded utterance than shi .
(v) Japanese kara is corresponded to Korean ketun or l/ul kkey, the former is when to explain reason, and the latter is to give premise for the addressee to urge his/her action.
(vi) The usage of Japanese tara indicating a suggestion lacks in Korean conditional SCs. Nakereba(nakya) expressing obligation/intention is corresponded to -a/eya-keyss in Korean.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調査方法と結果
3. 分析と考察
4. おわりに
【参考文献】
〈요지〉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30-00122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