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야생 동물에 의한 피해 감소를 위한 실시간 침입 방지 모니터링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동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위치 파악을 위해 single shot detection(SSD)와 MobileNets을 결합한 실시간 객체 탐지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야생 동물을 모니터링하고 객체 감지 시, light-emitting diode(LED)와 알람을 이용하여 야생 동물 침입을 예방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 관리를 통해 야생 동물들의 출몰 시간대와 위치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모의 환경에서 객체 감지 기법의 성능 평가 결과, you only look once(YOLO), faster regions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s features(Faster R-CNN) 기법에 비해 SSD와 MobileNets를 결합한 객체 감지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real-time monitoring platform for preventing wild animals to reduce the damage from the wild animals. Therefore real-time platform is proposed to monitor and detect wild animals with real-time detection technique that combines single shot detection(SSD) and MobileNets. Through the proposed platform, it detects wild animals in real-time and prevents wild animals by using light-emitting diode(LED) lights and alarms when the object is dete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ime zone and location of wild animals through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the database.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a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SSD with MobileNets object detection technique is superior to that of you only look once(YOLO) and faster regions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s features(Faster R-CNN) techniqu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및 문제점 분석
Ⅲ. 야생 동물 침입 예방 플랫폼 설계
Ⅳ. 야생 동물 침입 예방 플랫폼 구현 및 성능 평가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