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Adult Nurs. 2020 Oct;32(5):433-439. Korean.
Published online Oct 27, 2020.
© 2020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Original Article
간호학연구 근거합성을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
서현주
The Scoping Review Approach to Synthesize Nursing Research Evidence
Hyun-Ju Seo
    •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Received September 30, 2020; Revised October 06, 2020; Accepted October 06,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scoping reviews, including definition, related processes, and differences between scoping reviews and systematic reviews, and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scoping reviews.

Methods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researchers to the purpose of a scoping review,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related examples, limitations and useful tips for conducting a scoping review.

Results

A scoping review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of evidence synthesis that provides an overview/map of the available research evidence without generating a summary estimation. Therefore, scoping reviews are particularly useful when a body of literature has not yet been comprehensively examined, or has a complex or heterogeneous phenomena unsuitable for conduct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vidence.

Conclusion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the methods of performing scoping review, there is a need for methodological standardization to improve the utility and robustness of review findings.

Keywords
Scoping review; Methods; Evidence-based nursing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 근거기반간호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오늘날, 정책결정자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체계적 문헌고찰이외에도 새로운 유형의 고찰들이 출현하고 있다. 연구근거를 합성하는 다양한 고찰들은 일반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접근법에 따라 문헌을 검색하고 요약하며, 연구근거를 해석하기 위해, 잘 정의되고 투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정보를 종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1]. 이 중에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특정 질문에 대한 상세한 답변이 아니라, 광범위한 분야의 개요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수행하는 고찰유형이다. 따라서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은 개별 연구질문에 대한 근거요약을 제시하지 않고, 이용 가능한 연구근거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통적인 체계적 문헌고찰을 과(family)로 간주하고,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다른 종(species)으로 간주하기도 한다[2].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문헌들에서 관심 주제에 대하여 어떤 정보가 제시되어 있는가?”와 같은 광범위한 질문에 답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기 전에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3]. 이러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scoping reviews, scoping studies, scoping literature reviews, scoping exercises와 같이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어왔으며[4], 본 원고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대한 영문을 scoping review라고 기술하고자 한다.

PubMed에서 간호학분야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 출판문헌의 수를 간략히 조사한 결과, 2004년 1편을 시작으로 2016년부터 100편 이상의 문헌들이 출판되어 2020년 9월까지 1,443편의 논문이 출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국내에서도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하여, 간호학 관련 학회지에도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투고 및 출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원고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으로 연구 수행절차, 방법론적 특성 및 제한점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예시를 제시하여,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실용적인 안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론

1.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언제 수행하는가?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목적은 이용 가능한 근거를 조사하고 매핑을 하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인 연구질문을 구성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여 상세히 다룰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명확하지 않을 때, 그리고 새로이 출현하는 근거를 조사하는데 유용하다[5].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3].

  • • 해당분야의 이용가능한 근거의 유형을 조사하고자 할 때

  • • 문헌에서의 주요 개념 및 정의를 명확히 알고자 할 때

  • • 특정 주제와 분야에 대해 연구가 얼마나 수행되었는지를 조사하고자 할 때

  • • 어떤 개념과 관련된 주요 특징이나 요인을 조사하고자 할 때

  • • 체계적 문헌고찰의 선행연구로서 수행

  • • 지식의 간극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할 때

  • • 문헌이 아직 체계적으로 고찰된 적이 없을 때

  • • 체계적 문헌고찰을 적용할 수 없을 정도의 복합적이고 이질적 성격의 근거일 경우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고찰의 목적이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중요하다. 그 결과는 특정 영역에 대한 근거의 특성 및 범위, 주요 개념을 매핑하여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관련 분야의 연구자, 임상 실무자 및 정책 결정자가 근거기반 임상실무와 정책 결정시 연구근거로 활용하기 때문이다[6].

2. 방법론적인 특성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전통적인 문헌고찰 및 체계적 문헌고찰과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Table 1). 전통적인 문헌고찰(traditional literature reviews)은 특정 주제에 대한 다양한 출판물과 연구근거를 요약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문헌고찰에서 저자는 주제, 문제, 개념에 대한 역사, 중요성, 집단적 사고에 중점을 둔 개념적 또는 이론적 문헌 이외의 연구보고서를 검토한다. 이러한 유형의 고찰은 연구자의 사전 지식과 경험에 실질적으로 의존하며,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주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주관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7].

Table 1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iterature Reviews, Scoping Reviews and Systematic Reviews

연구자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구체적 질문에 답하거나 임상실무에서 의사결정에 정보를 주기 위하여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지 여부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할 것인지,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연구자가 특정 치료법이나 실무의 실행가능성, 적절성, 의미,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질문을 다루고자 한다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는 것이 타당한 접근법일 것이다[8]. 그러나 연구자가 단일 또는 구체적인 질문보다는 논문이나 연구에서의 특정 특성과 개념을 조사하고, 이러한 특성/개념에 대해 매핑하고 보고하며 논의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제범위 문헌고찰 접근법이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3]. 주제범위 문헌고찰이 체계적 문헌고찰과 특징적으로 다른 점은 포함된 문헌의 비뚤림 위험평가를 필수적으로 하지 않으며, 개별연구의 결과를 합성하여 통합 추정치를 생성하기 보다는 문헌을 분석적으로 재해석하는 질적 분석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한편,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프로토콜도 체계적 문헌고찰 프로토콜처럼 The International Prospective Register of Systematic Reviews (PROSPERO)에 등록하는 것으로 변화되는 추세이다[3].

3. 연구수행 절차 및 예시

Arskey와 O'Malley [6]가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필요성과 방법론적 틀을 제시한 후 Levac 등[9]은 단계별 절차를 구체화하고 처음 제시되었던 방법론의 틀을 확장시켰다. 그 이후 2015년 The Joanna Briggs Institute (JBI) 방법론 실무그룹은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대한 가이던스를 개발하여 연구수행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였다[10]. Arksey와 O'Malley에 의해 제시된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수행절차는 다음의 6단계로 이루어져있다[1, 6]. 주된 예시로 제시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2편인데, 하나는 간호대학생 동료 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이고[11], 다른 하나는 침상 옆 교대근무 인수인계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다[12].

1) 1단계: 연구 질문 개발 및 도출하기

연구 질문은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광범위한 범위를 다루기 위해 연구질문의 범위는 넓어야 한다. 연구 질문은 연구대상, 중재 및 중재결과와 같이 중요한 연구 질문의 특정 측면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며, 연구 질문은 인구집단, 개념, 맥락 형식인 PCC (population, concept, context)로 구성할 수 있다[10]. 인구집단(population) 관련 특성은 연령 및 기타 자격기준을 포함하여 상세해야 하며, 고찰 질문과 일치하고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주제범위 고찰에서 조사되는 개념(concept)은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보다 더 상세하게 중재나 관심 현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 또한, 개념은 연구설계, 틀(framework), 이론(theory) 또는 분류(classification)와 관련될 수도 있다. 중재결과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 개념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찰의 목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맥락(context)은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과 질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지리적 또는 위치적 요인, 문화적 요인, 특정 인종이나 성별 기반 관심사에 대한 고려가 포함될 수 있다. 맥락은 검토되고 있는 특정 세팅(예: 급성기 치료, 일차의료, 지역사회)이나 학제(예: 간호학, 교육학, 의학)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시 1).

Source: [11, 12].

2) 2단계: 관련 연구 검색

검색 전략은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전자 데이터베이스, 참고문헌의 참고문헌검색, 수기 검색 및 회색 문헌(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고 동료 검토를 거치지 않은 학술적인 정보), 학술대회 초록, 규제 문서, 보고서 및 특허자료를 포함한다(예시 2).

Source: [11, 12].

3) 3단계: 문헌 선정

연구 선정 절차에는 정보 수집 및 검토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경우 사후 또는 수정된 포함 및 배제 기준이 포함될 수 있다. 문헌선정과정은 체계적 문헌고찰에서와 같이 적어도 2명의 연구자가 초록을 독립적으로 선별하고, 관련성이 있는 문헌들에 한하여 전문을 검토하여 선정한다. 문헌선정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제3의 연구자가 연구팀내 합의과정을 통하여 최종 선정을 결정할 수 있다[9](예시 3).

Source: [13].

4) 4단계: 자료 기입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 자료추출 과정을 자료 기입(data charting) 이라고 하며, 검토된 문헌에서 핵심 결과와 주제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자료 기입 양식을 사용한다(Table 2). 자료는 두 개의 주요 범주로 제시될 수 있는데, 포함된 연구의 일반적 정보(연구저자, 출판년도, 연구설계, 연구수행국가, 연구대상, 연구목적, 사용된 연구방법론, 자료수집방법)와 고찰 연구질문과 관련된 특정 정보(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도구, 주요 연구결과, 결론)로 기술될 수 있다(예시 4).

Source: [14].

5) 5단계: 결과 분석, 요약, 보고하기

결과 분석 및 요약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주요 주제(key theme)에 따라 표와 차트로 제공된다. 이 단계에서 수집된 일반적인 정보와 관련된 기술적이고 수적 요약(descriptive and numerical summary)과 수집된 특정 정보에 대한 주제별 구조화(thematic construction)과정을 수행한다(예시 5).

Source: [11, 14].

6) 6단계: 전문가 회의 개최

이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로서, 연구팀 외부의 이해 관계자에게 주제범위 문헌고찰 결과를 알리고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통찰력을 구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임상실무자와 소비자가 자문그룹이 될 수 있다. 주제범위 문헌고찰방법론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15], Arksey와 O'Malley 방법론[6]을 적용한 연구의 34.9%(38/109)에서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였고, 이해관계자들은 연구결과를 해석하거나 보고서 작성과정에 자문을 주기보다는 대부분 문헌 검색을 위한 주요어 선정이나 고찰에 포함될 수 있는 문헌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일부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는 시간제한으로 인하여 자문회의가 생략되었음을 기술하기도 하였다[11].

한편,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포함된 연구의 수가 상당할 수 있으므로 여러 연구팀 구성원이 고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여러 연구자가 고찰을 수행할 경우, 팀은 연구수행과정의 각 단계에서 조정 작업을 수행하여 적절한 연구자간 일치율을 확보해야 한다[1]. 또한 연구자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결과 보고 시, 완전하고 투명하며 일관성 있는 보고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 보고지침을 따라야 한다[16].

4.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제한점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특정 연구질문에 대해 비평적으로 평가하고 합성된 결과나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오히려 근거의 개요나 지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는 포함된 근거의 방법론적 한계나 비뚤림 위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10]. 고찰에 포함된 문헌들에 대한 비뚤림 위험 평가가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 제시하는 임상실무 또는 정책 결정에 대한 함의는 체계적인 문헌고찰에서의 함의와는 유의미하게 다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임상실무에 대한 함의를 제시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만약 함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임상실무 또는 정책 결정 관점에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기에는 그 의미가 상당히 제한될 수 있다[3].

5. 연구수행을 위한 조언

위에서 언급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근거합성을 위한 다양한 고찰 유형 중 하나로, 잘 수행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개념적 설명과 의미에 기여하여 원래의 근거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분석과 재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17]. 따라서 연구자가 선택한 고찰 방법론이 고찰의 목적과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역학자, 통계학자, 정보검색 전문가를 포함한 방법론 전문가에게 자문 받을 것을 권유한다[1].

주제범위 문헌고찰 수행을 위해 유용한 조언은 다음과 같다[18].

첫째,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연구팀을 구성한다.

둘째, 이용 가능한 지침이 있다면, 해당 지침에서 상세히 제시된 단계를 따른다(예: Arksey와 O'Malley [6] 접근법).

셋째, 탐색할 주제의 주요변수에 대한 윤곽을 그리고, 연구질문을 정교화 시킨다.

넷째, 검색어를 최대화하여 포괄적으로 검색하고, 협업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공유 웹 기반 사이트를 포함하여, 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참고문헌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다섯째, 주제분야나 수행절차에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문가를 포함시킨다.

여섯째, 적절한 자료원을 검색하기 위해 정보검색 전문가를 포함시킨다.

일곱째,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 중의 하나는 이용 가능한 연구를 매핑하는 것이므로 자료를 제시하고 보고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각각의 고찰은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매핑을 제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없지만, 명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표나 차트를 이용한 기술적 분석을 제시하고, 이후에 양적인 요약분석이나 질적 주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원고는 간호학 연구분야에서 주요 주제로 다뤄지는 중재의 복합성과 다양성을 고려하고, 양적연구 이외에도 질적연구를 포함시켜 광범위한 주제영역에서 근거를 매핑할 수 있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였다. 연구자는 임상실무, 교육, 정책을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에 대한 근거의 타당한 개요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된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시켜 고찰 결과의 유용성과 엄격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Study conception, Design acquisition, Drafting and critical revision of the manuscript - SH-J.

References

    1. Sucharew H, Macaluso M. Methods for research evidence synthesis: the scoping review approach.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2019;14(7):416–418. [doi: 10.12788/jhm.3248]
    1. Moher D, Stewart L, Shekelle P. All in the family: systematic reviews, rapid reviews, scoping reviews, realist reviews, and more. Systematic Reviews 2015;4:183 [doi: 10.1186/s13643-015-0163-7]
    1. Munn Z, Peters M, Stern C, Tufanaru C, McArthur A, Aromataris E. Systematic review or scoping review? Guidance for authors when choosing between a systematic or scoping review approach.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2018;18(1):143 [doi: 10.1186/s12874-018-0611-x]
    1. Seo HJ, Kim SY. What is scoping review? The Korean association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The Journal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8;6(1):16–21.
    1. Armstrong R, Hall BJ, Doyle J, Waters E. 'Scoping the scope' of a cochrane review.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33(1):147–150. [doi: 10.1093/pubmed/fdr015]
    1. Arksey H, O'Malley L.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2005;8(1):19–32. [doi: 10.1080/1364557032000119616]
    1. Aromataris E, Pearson A. The systematic review: an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4;114(3):53–58. [doi: 10.1097/01.NAJ.0000444496.24228.2c]
    1. Pearson A, Wiechula R, Court A, Lockwood C. The JBI model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2005;3(8):207–215. [doi: 10.1111/j.1479-6988.2005.00026.x]
    1. Levac D, Colquhoun H, O'Brien KK. Scoping studies: advancing the methodology. Implementation Science 2010;5(1):69 [doi: 10.1186/1748-5908-5-69]
    1. Peters MD, Godfrey CM, Khalil H, McInerney P, Parker D, Soares CB. Guidance for conducting systematic scoping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2015;13(3):141–146. [doi: 10.1097/XEB.0000000000000050]
    1. Jacobs S. A Scoping review examining nursing student peer mentorship.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7;33(3):212–223. [doi: 10.1016/j.profnurs.2016.09.004]
    1. Bressan V, Cadorin L, Pellegrinet D, Bulfone G, Stevanin S, Palese A. Bedside shift handover implementation quantitative evidence: findings from a scoping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9;27(4):815–832. [doi: 10.1111/jonm.12746]
    1. Sinclair S, Norris JM, McConnell SJ, Chochinov HM, Hack TF, Hagen NA, et al. Compassion: a scoping review of the healthcare literature. BMC Palliative Care 2016;15:6 [doi: 10.1186/s12904-016-0080-0]
    1. Yost J, Thompson D, Ganann R, Aloweni F, Newman K, Mc-Kibbon A, et al. Knowledge transla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nurses' evidence-informed decision making: a scoping review.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4;11(3):156–167. [doi: 10.1111/wvn.12043]
    1. Pham MT, Rajić A, Greig JD, Sargeant JM, Papadopoulos A, McEwen SA. A scoping review of scoping reviews: advancing the approach and enhancing the consistency. Research Synthesis Methods 2014;5(4):371–385. [doi: 10.1002/jrsm.1123]
    1. Tricco AC, Lillie E, Zarin W, O'Brien KK, Colquhoun H, Levac D, et al. PRISMA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 checklist and explana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8;169(7):467–473. [doi: 10.7326/M18-0850]
    1. Davis K, Drey N, Gould D. What are scoping studies? A review of the nursing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10):1386–1400. [doi: 10.1016/j.ijnurstu.2009.02.010]
    1. Peterson J, Pearce PF, Ferguson LA, Langford CA. Understanding scoping reviews: definition, purpose, and process.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2017;29(1):12–16. [doi: 10.1002/2327-6924.12380]

Metrics
Share
Tables

1 / 2

ORCID IDs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