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리그닌과 ε-caprolactone의 고리열림반응과 수반된 ε-caprolactone의 중합을 통해 lignin-based polycaprolactone (LigPCL) 공중합물을 합성하였다. FTIR의 C=O(1755 cm-1) 및 C-O(1202 cm-1) 피크들을 통해 LigPCL이 성공적으로 중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리그닌과 LigPCL의 T2(열분해로 중량이 2% 감소하는 온도)는 각각 63와 211 °C로서 LigPCL의 열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LigPCL은 용융 압출공정을 통해 PP와 30 wt%까지의 함량비에서 여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PP/LigPCL 블렌드들은 LigPCL의 함량에 비례하여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인장 탄성률은 감소하였으나 파단신율은 크게 증가하였다. PP와 LigPCL 사이의 상용성 증대를 위해 말레산무수물로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g-MA)을 첨가함으로써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이 파단면의 SEM 이미지에서 확인되었다. PP/LigPCL 70/30 블렌드에 PP-g-MA를 첨가하여 T₂는 6 °C 증가하였고, 인장강도는 17%, 인장탄성률은 31%, 그리고 파단신율은 79%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열가소성의 LigPCL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고 고분자 블렌드 및 컴포지트 제조에 사용되는 용융공정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친환경 제품에 응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Lignin-based polycaprolactone (LigPCL) copolymer was synthesized by both the ring opening reaction of ε-caprolactone with the hydroxyl groups in the lignin and the concomitant polymerization of ε-caprolactone. FTIR spectra showed C=O (1755 cm-1) and C-O (1202 cm-1) peaks confirming that the esterification reaction took place successfully between lignin and ε-caprolactone. T₂, at which the weight loss of 2% occurs, of pristine lignin and LigPCL were measured as 63 and 211 °C, respectively, and so the synthesized LigPCL had superior thermal stability to the lignin. PP/Lig- PCL blends were prepared at various contents of LigPCL up to 30 wt% by a melt extrusion process.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the LigPCL, tensile strengths, flexural strengths, and tensile modulus of PP/LigPCL blends greatly decreased, but elongations at break of those greatly increased.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PP and LigPCL, maleic anhydride-grafted polypropylene (PP-g-MA) was added. SEM images for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blends showed that the PP-g-MA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omain size of dispersed phase. Thus, T₂, tensile strength, tensile modulus, and elongation at break of a 70/30 blend of PP/LigPCL were enhanced by 6 °C, 17%, 31%, and 79%, respectively, by the addition of PP-g-MA. This work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rmoplastic LigPCL could be desirably synthesized and applied for value added and eco-friendly products through common melt processes used for polymer blend or composites manufacturing.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실험
결과 및 토론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