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5)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스마트폰의 보급과 센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위치데이터의 나열인 경로 데이터가 마케팅이나 효율적인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위치정보의 무분별한 수집은 사용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치 정보에 차분 프라이버시를 적용하기 위한 많은 기법이 나왔으나, 경로 정보의 경우 이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유용성이 매우 하락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분 프라이버시 기법은 큐레이터 모델과 로컬 모델로 나뉘는데, 로컬 모델은 신뢰할 수 있는 서버를 두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어 안전하지만 더 많은 노이즈가 삽입되어 데이터 유용성을 더욱 하락시킨다. 본 논문은 로컬 모델에서의 도로교통망 경로 데이터 수집 시 차분 프라이버시를 적용할 때, 데이터 유용성 하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점들을 집중점(Heavy point)과 경점(Light point)로 구분하고, 차등적으로 차분 프라이버시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민감한 데이터는 차분 프라이버시 기준에 맞춰 보호하면서도 전체적인 데이터 유용성 하락을 완화하였음을 보인다.

Today,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path data, a list of user location data collected from mobile devices, is being manipulated for marketing or efficient algorithm development. However, such indiscriminate coll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may cause personal privacy leakage issues. To resolve the problem, many differential privacy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 previous methods significantly degrade query accuracy if they are applied in the trajectory dataset. Additionally, the differential privacy technique is classified into a curator model and a local model. The local model has advantages of not having a reliable server, but suffers from more noise inserted to reduce query accuracy. This paper classifies vertices into heavy points and light points to resolve the problem of data usability in applying differential privacy to collect road network trajectory data in the local model. Additionally,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mitigates the degradation of overall data usability while protecting the sensitiv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ial privacy standard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3. 배경지식
4. 로컬 모델에서의 집중점, 경점을 이용한 경로 차분 프라이버시
5. 실험 결과 및 분석
6. 결론 및 추후연구
References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69-000892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