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김려(金鑢)의 유배 문인 형상화 고찰

A Study on Kim Ryeo s Figuration of Writers in Exile

  • 11

본고는 담정(藫庭) 김려(金鑢, 1766~1821)가 유배를 경험했던 전대(前代)의 인물 이항복(李恒福, 1556~1618)과 이광사(李匡師, 1705~1777)에 대해 지녔던 각별한 태도를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문학사에서 김려의 경우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에게 보여준 수준 높은 인간 이해와 이들을 작품의 전면에 내세운 뛰어난 문학성이 집중적으로 조명되어, 과거 인물에 대해 지녔던 각별한 관심에 대해서는 온당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김려는 부령으로 향하는 유배 여정에서 이항복의 삶을 장편 한시로 남겼다. 북방으로 유배를 갔던 수많은 인물들 가운데에서도 유독 이항복에 대해 각별하게 마음을 썼던 이유는, 김려의 가문이 광해군 대에 입은 정치적인 박해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다. 처지와 상황은 비록 달랐지만 자신에게 닥친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 혼란한 현실을 적시(摘示)하고 자신의 무고함을 당당하게 드러내었던 이항복은 김려가 이상으로 여겼던 행위를 몸소 체현한 인물로서 남다른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다음으로 부령 유배지에 도착한 이후 김려가 소환한 인물은 이광사이다. 김려는 이광사에게 특별한 유대 의식을 지녔다. 특히 이광사와 긴밀한 관계에 있던 부령의 인물들과 김려가 직접적으로 교유하면서, 이광사는 김려에게 더 이상 과거의 인물이 아닌 새롭게 자신과 정신적 교감을 나누는 ‘신교(神交)’의 대상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형성된 유대감과 정서적 친밀감을 바탕으로 김려는 이광사를 선배 문인으로 인식하면서 그와 문학적으로도 긴밀하게 교류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김려에게 이광사는 과거 인물 중의 한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처지를 위로할 수 있는 특별한 대상으로 남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었다. 전대의 유배 문인에 대해 보여준 그들 삶에 대한 깊은 위로와 정신적인 교감은, 김려의 수준 높은 인간 이해가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에게만 한정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자신과 직접적인 교감이 없는 과거의 문인에게까지 확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배 문인을 형상화 한 작품은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Damjeong Kim Ryeo s exceptional attitude toward his predecessors Lee Hang-bok(李恒福) and Lee Gwang-sa(李匡師), both of whom were exil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im Ryeo received the spotlight for his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ch was shown in his portrayal of marginalized people in society and his outstanding literary accomplishment by bringing such people to the forefront in his works. Kim left a long poem on the life of Lee Hang-bok in Chinese poetry on his journey to Buryeong, his place of exile. This study traced Kim Ryeo’s interest in Lee Hang-bok, among the many figures exiled to the northern regions, to the political persecution Kim Ryeo s family experienced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gun. While their circumstances may have differed, Lee Hangbok, who pointed out the tumultuous reality amid the hardships and difficulties and defended his innocence, was a person who embodied the behavior that Kim Ryeo considered ideal. The next person Kim Ryeo recalled after he arrived at his place of exile in Buryeong was Lee Gwang-sa. Kim Ryeo felt a special bond with Lee Gwang-sa. As he became acquainted with the people directly related to Lee Gwang-sa in Buryeong, Lee Gwang-sa was no longer a person of the past but a person who formed a new spiritual relationship with him. Based on this bond and emotional intimacy, Kim Ryeo recognized Lee Gwang-sa as his predecessor and a fellow writer and tried to communicate with him closely through literature. The profound consolation and spiritual interaction for the exiled writers of the past show how Kim Ryeo s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s was not limited to the marginalized people in the society. The works on exiled writer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how Kim Ryeo transcended time and space to interact with the writers of the past whom he had never met in person.

Ⅰ. 서론

Ⅱ. 이항복: 이상적 대상의 삶의 서사화

Ⅲ. 이광사: ‘신교(神交)’ 대상의 현재화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