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시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체험과 기억

Aspects of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Imjin[壬辰] War in Sino-Korean Poetry

  • 61

전란은 죽음, 이별, 기근, 질병 등을 아우르는 최대의 재난이다. 인간의 정신을 극단적으로 피폐하게 만들기 때문에 역설적이게도 전란은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이 논문은 임진왜란을 몸소 체험한 시인들이 전란 후에 창작한 한시를 고찰함으로써 그것이 전란의 후유증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하나임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임진왜란의 체험과 기억을 담은 한시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첫째는 전란의 참상을 회고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란의 비극성을 장면 묘사로 형상화한 단형의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한시는 불변하는 자연물과 폐허가 된 터전을 대비하는 방식, 두보(杜甫) 등 전란 체험을 극적으로 시화한 작품을 용사(用事)하는 방식 등의 표현 양상을 보인다. 둘째는 전사자와 희생자를 추모한 작품들이다. 전사한 장수와 의병장을 대상으로 삼은 것이 많지만 이해수(李海壽)와 구사맹(具思孟)이 무명의 의병과 절개를 지킨 여인, 가족을 위해 희생한 효자와 열부 등을 기려 창작한 수십 편의 연작 추모시가 주목된다. 셋째는 전란 후 일상으로의 복귀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은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에는 생존의 안도감과 함께 과거와 달라진 현재에 대한 낯섦, 미래에 대한 불안한 희망 등이 나타난다. 이상 세 종류의 작품은 전란의 아픔을 치유하고 극복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란의 참상을 기록으로 남겨야 후대에 똑같은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은 공동체의 유지와 존속에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새로운 터전을 일구는 것이 희생자를 위한 최소한 책임이라는 인식 또한 전란의 비극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볼 수 있다.

War is the greatest disaster that includes death, separation, famine, and disease. Paradoxically, war becomes an important subject of literature because it ravages the mind and emotions of people.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at creating literary works is one of the efforts to cure the aftereffects of the war by examining the Sino-Korean poetry created by poets who experienced the Imjin[壬辰] War in person. Sino-Korean poetry containing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Imjin War is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to express the horrors of the war. These poems show the aspect of using the method of contrasting the immutable natural objects with the ruined human traces, and the method of reusing the expressions of the former works that dramatically visualized war experiences such as Dubo[杜甫]’s poems. The second category is the literary works that commemorate the dead and the victims of Imjin war. Although many are dedicated for military commanders and soldiers who have died after establishing distinguished war service, some poets commemorated the unknown soldiers, virtuous women, filial offsprings who sacrificed for their country and family. The third category is the literary works that contain the desire for getting back to normal life. In these works, there is a sense of security of survival, unfamiliarity with the new home and surround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and anxious hopes for the future. The above three types of works can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to heal the pain caused by war.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horrors of the war to avoid repeating the same tragedy in future generations, and to commemorate the victims of the war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e recognition that building a new base of life is at least a responsibility for the victims can also be seen as part of an effort to overcome the sadness of war.

Ⅰ. 서론

Ⅱ. 전란의 참상에 대한 회고

Ⅲ. 전사자와 희생자에 대한 추모

Ⅳ. 일상의 회복에 대한 희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