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전쟁이라 불리는 베트남의 미국 전쟁(1954-1975) 당시 여성들의 여러 활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필자의 2015년과 2017년의 베트남 기념관·박물관 방문을 바탕으로, 문헌자료(학술논문, 신문기사, 문학작품)를 중심으로 살핀다.
하노이 여성박물관에 전시된 응우옌티빈(Nguyen Thị Binh), 응우옌티딘(Ngyen Thi Dinh), 라티땀(La Thi Tam), 보티모(Vo Thi Mo/Bay Mo), 3/8 여성 포병그룹(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응오바탄(Ngo Ba Thanh), 트렁미호아(Truong My Hoa), 보티탕(Vo Thị Thang), 딘티반(Dinh Thị Van), 호깐릭(Ho Kan Lich), 응우엔티민히엔(Nguyen Thi Minh Hien), 당두이쩜(Dang Thuy Tram) 등을 중요 역사적 사건과 배경 속에서 설명한다.
남성의 정치폭력 참여와 달리 여성의 전쟁 참여는 비가시적이며, 사사화된다. 그런데 본 사례에서 살핀 것처럼, 여성의 전쟁 참여 또한 공산주의 체제/이데올로기의 영향, 민족독립해방의 기치 및 전면전의 특성으로 자연스러운 저항의식이자 민족주의 의식발양의 결과이다. 공동체 파괴, 폭력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민족독립운동에의 여성의 참여가 그렇게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양한 여성 주체의 전쟁에서의 활동이 더욱 발굴되고, 젠더 이분화된 군사주의가 재생산되거나 그 경계가 사라지는 상황들도 더욱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activities during the American war in Vietnam, which is called women’s war due to relatively immense participation of females. This study employs various works(academic literature, newspapers, autobiography, novels, and films) and is also based on my visit to historic museums in Vietnam in 2015 and 2017.
The female figures introduced are from Hanoi Women’s Museum. The list includes Nguyen Thị Binh, Ngyen Thi Dinh, La Thi Tam, Vo Thi Mo, 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Ngo Ba Thanh, Truong My Hoa, Vo Thị Thang, Dinh Thị Van, Nguyen Thi Minh Hien, Dang Thuy Tram. This introduction is contextualized into signigicant war histories and events.
Unlike men’s participation in political violence, women’s participation in war is invisible and personalized. However, as the historical case in this study has shown, women’s participation during the war was also a natural process intrigued by their political resistance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based on the influence of communist systems/ideology,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all-out war. Women’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hich stands against violence, community destruction, is not such an exceptional phenomenon. The various activities of female subjects in war should be further discovered, and the situations which gendered militarism is reproduced or its boundaries disappear should be more explored.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3. 베트남에서의 전쟁과 여성의 참여
4. 결론을 대신하여: 여성, 민족독립운동, 전쟁이라는 폭력
도움 받은 글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331-00165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