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define ‘Candlelight Vigils in 2016-2017’ as a ‘Minjung event’, and to clarify why it is seen as a Minjung event from the perspective of Bergsonism. By analyzing the events in 2016-2017, this paper also tries to discuss ‘new Minjung’ emerged in Korean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ory of a ‘Minjung event’ which originated by Ahn Byung-Mu. He defined the term ‘Minjung’ as an ‘event’, not a person or substan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his theory is not clearly established as a theory despite its academic originality.
Thus, This paper trie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Minjung event’ from Bergson’s thought, especially with his theory of memory. In Bergson’s thought, the theory of time and theory of subjectivity are connected as one, and it also has a close affinity with panentheism. If it is applied to Minjung theology, the issue of subjectivation as Minjung through a Minjung event can be explained.
I hop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injung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Candlelight Vigils in 2016-2017 and a new exploration of Minjung theology as well.

목차

Ⅰ. 서론
Ⅱ. 베르그송의 기억론과 그 확장적 모색
Ⅲ. 민중-사건의 베르그송주의적 이해
Ⅳ. 민중-사건으로서의 ‘촛불’과 ‘새로운 민중’의 귀환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