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rthop Assoc. 2020 Apr;55(2):162-168. Korean.
Published online Apr 22, 2020.
Copyright © 2020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iginal Article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치료
김정일, 최경운, 이인숙,* 송유선,* 정재윤
Treatment of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Jeung Il Kim, M.D., Kyung Un Choi, M.D., In Sook Lee, M.D.,* You Seon Song, M.D.,* and Jae Yoon Jeong, M.D.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형외과학교실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병리학교실
    •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 *Department of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 Department of Path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Received April 16, 2019; Revised August 31, 2019; Accepted September 03, 2019.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수족부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대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17년까지 내연골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들 중 그 발생부위가 수족부의 지골, 중수골, 중족골의 단일 병변에 해당하는 총 10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한 74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부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Wilhelm과 Feldmeier가 제시한 미용상의 문제, 관절 운동성, 파악력, 영상학적 소견 등을 분석하여 우수(excellent), 양호(good), 충분(satisfactory), 불량(poor) 4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74예 중 30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4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관절운동 제한 및 통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74예 중 18명의 환자에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 중 9명은 비수술적 치료, 9명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다. 단순 방사선 추시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관절운동 범위와 통증, 외형, 근력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족부에서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있어서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모두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수술적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여러 가지 단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 역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y comparing nonsurgic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or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four cases with enchondroma of the hands and feet from January 1996 to March 2017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nonsurgical treatment, and 44 cases were treated with surgical treatment, such as curettage only or curettage with a bone graf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 month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Results

The mean age was 38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eight and 69 years. According to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the mean score of hand enchondroma was 3.09±0.85 and 3.20±0.91 in the non-operative and ope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foot except for the grip strength were 2.57±0.79 and 2.75±0.50,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18 cases of enchondroma with pathological fractures, nine cases were treated non-surgically and nine cases were treated by surgically. In all 18 cases, complete bone healing was observed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outcomes. In cases of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nonsurgical treatment can also be a good treatment option.

Keywords
enchondroma; treatment
내연골종; 치료

서론

내연골종은 수부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골종양으로 알려져 있으며 빈도수는 비교적 적지만 족부, 상완골, 대퇴골의 골간 및 골간단에서도 발생한다.1, 2)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로 구성된 양성 골종양으로 주로 골수강 내에 위치하여 내연골종이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경우 양성 병변으로 악성 변화를 의심할 만한 몇몇의 증례를 제외하면 악성으로의 전환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3)

내연골종은 통증을 동반하는 부종 혹은 골절로 인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무증상인 상태로 방사선 사진상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4)

일반적으로 수족지의 내연골종에서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주기적인 관찰을 하며 병변이 커지거나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혹은 병적 골절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내연골종의 수술적 치료로는 골 소파술 후 자가골 이식술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동종골, 이종골, 탈무기질화된 골, 생합성 이식물질 등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5)

그러나 이러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경우 전신마취의 필요성, 재원기간의 증가 등의 단점과 함께 수술부위 감염, 혈종, 불유합, 공여부의 통증 및 감각이상, 이식골의 흡수 등의 문제들이 합병될 수 있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비교해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병원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고 시행되었다(IRB no. 1908-012-081). 1996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일까지 내연골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들 중 그 발생부위가 수족부의 지골, 중수골, 중족골에 해당하는 총 10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한 7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74예 중 30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4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2. 진단 및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군의 진단은 임상 양상, 단순 방사선 및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 등을 기반으로 하였고 수술적 치료의 결정은 병변이 관절면과 근접하여 관절내 골절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경우 시행하였으며 조직 생검 결과를 통해 최종 진단하였다. 수술적 치료의 경우 전신마취를 기본으로 하였고 앙와위 상태에서 압박 지혈대를 상완부에 착용시킨 후 250 mmHg의 압박을 가한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수술 방법은 병소가 있는 지골, 중수골, 중족골의 배부에 절개를 가한 후, 얇아진 피질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창을 만들고 이 부위를 통해 작은 큐렛을 이용하여 소파술을 시행한 후 식염수로 내부 공간을 세척하였다. 이후 준비된 동종골을 소파술을 시행한 내부 공간에 채워 넣고 상처를 봉합하였으며 병적 골절 예방을 위해 수술 후 2–4주간 석고고정을 시행하였다.

3. 최종 결과 평가 방법

수부의 지골, 중수골에 발생한 63예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한 평가를 위해 Wilhelm과 Feldmeier6)가 제시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였다. 미용상의 문제 유무(미용상의 문제 유무에 따라 1점), 관절 운동범위(반대편의 80%일 경우 1점), 파악력 및 근력(반대편의 80% 이상일 경우 1점), 영상학적 치유 소견(골단축, 변형, 관절염, 국소 재발 등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1점) 4가지 항목에 대해 4점은 우수(excellent), 3점은 양호(good), 2점은 충분(satisfactory), 1점은 불량(poor) 4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족부 단관골에 발생한 11예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파악력 및 근력을 제외한 3가지 항목에 대해 점수를 매겨서 평가하였다.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는 술 후 신생골 형성 정도에 대한 영상학적 평가를 위해 원격 추시 중 마지막 방사선 사진의 소견을 기준으로 Tordai 등7)이 제안한 방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1군은 피질골이 정상이고 골결손이 3 mm 미만인 완전 치유, 2군은 골 결손이 4–10 mm 이지만 분명한 재발은 없는 부분 치유, 3군은 골결손이 10 mm 이상이고 내연골종의 특징적인 소견이 있어 재발로 생각되는 경우이다. 1군과 2군에 해당하며 특별한 골변형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 영상학적 치유 소견에 해당되는 상태라고 판단하였다. 비수술적 치료군에서의 영상학적 치유 소견은 방사선 사진상에서 국소 재발 혹은 골변형 등의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영상학적 소견이 6개월 이상 유지되는 상태로 설정하였다.

결과

총 74예 중 남성은 28예, 여성은 46예 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8세(8–69세) 였다. 평균 외래 추시 기간은 약 18개월(6–62개월)이었다. 병소는 우측 수부에 26예, 좌측 수부에 37예 발생하였으며, 11예는 족부에서 발생하였고 우측에서 7예, 좌측에서 4예였다(Table 1). 수부에서는 근위지골에 29예로 가장 많았고 중위지골 12예, 원위지골 5예, 중수골에 17예 발생하였으며, 족부에서는 근위지골에 9예, 중위지골과 원위지골에 각각 1예씩 분포하였다. 병적 골절은 18예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중 9예는 부목고정 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9예에 대해서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 시행 후 부목고정을 시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0예 중 수부에 병변이 있는 23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44예중 수부에 병변이 있는 40예에 대해서 Wilhelm과 Feldmeier6)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임상적 결과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비수술적 치료군에서는 우수(excellent) 8예, 양호(good) 10예, 충분(satisfactory) 4예, 불량(poor) 1예로 평가되었고, 수술적 치료군에서는 우수(excellent) 18예, 양호(good) 12예, 충분(satisfactory) 7예, 불량(poor) 3예로 평가되었다. 각 등급의 점수를 1–4점으로 설정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군에서 평균 점수는 3.09±0.85이었고, 수술적 치료군에서는 3.20±0.91으로 평가되어 기능적인 결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379; Table 2). 족부에서 발생한 비수술적 치료군 7예와 수술적 치료군 4예에 대해서도 파악력을 제외한 총점 3점 중 평균 점수는 각각 2.57±0.79와 2.75±0.50으로 기능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94; Table 3).

Table 2
Functional Score of Finger Enchondroma

Table 3
Functional Score of Foot Enchondroma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던 18예에 대해서도 9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Fig. 1), 9명은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골절 부위가 불안정한 2예에 대해서 소파술, 골이식 및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는 소파술과 골이식만을 시행하였다(Fig. 2). 단순 방사선 최종 추시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예에서 최종적으로 모두 골유합 소견 확인되었다(Fig. 3). 평균 외래 추시 기간 16.3개월간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30예의 환자들 중 2예의 병적 골절이 발생하였으며 수술적 치료를 받은 44예의 환자에서 국소재발 1예, 술 후 병적 골절 3예가 발생하였다.

Figure 1
(A) A 38-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enchondroma with pathologic fracture in the middle phalanx of 5th finger. (B) Two weeks of conservative treatment with splint fixation were performed, resulting in bone union 6 months later. Wilhelm and Feldmeier score was good with 3 points.

Figure 2
(A) A 31-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enchondroma in the proximal phalanx of 2nd finger. (B) Curettage, K-wire fixation with bone graft was performed due to pathologic fracture during conservative treatment. (C) After 6 months, slight deformity was left but bone union was achieved. Wilhelm and Feldmeier score was good with 3 points.

Figure 3
(A) A 33-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enchondroma with pathologic fracture in the proximal phalanx of 5th toe. (B) Four weeks of conservative treatment with splint fixation were performed, resulting in bone union. Wilhelm and Feldmeier score was good with 3 points.

고찰

내연골종은 수부에 발생하는 종양 중 약 5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3) 전체 골격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 중에서도 10% 내외를 차지한다.2)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이 전체 내연골종의 약 50%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약 35% 이상이 수부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2, 8) 수부의 경우 근위지골에서 50% 정도로 가장 호발하고 중수골, 중위지골, 원위지골 순서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족부 단관골에 발생하는 내연골종 역시 수부에 비해 빈도수는 적지만 흔하게 발생하는 양성 골종양으로 호발 부위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8, 9) 최근 Gajewsk 등10)은 족부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의 약 47%가 근위지골에 발생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Chun 등2)의 연구 결과에서도 역시 근위지골에서 가장 호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 방법에 대한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크기가 작거나 증상이 없는 경우는 수술하지 않으며 3–4 cm 이상의 크기를 보여 병적 골절이 우려되거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3, 9) 전형적인 수술 방법은 소파술이며 이때 발생하는 피질골을 포함한 골결손은 대부분 자가골, 이종골, 동종골 및 골 대체물로 채우게 된다. 골이식의 시행 여부, 이식물의 종류에 따라 치유 기간, 관절 운동범위, 재발 빈도, 악성 변화 및 합병증 등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1)

이러한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없애고 조직학적 진단을 내리며 병적 골절의 예방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1) 본 연구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를 통증, 외형적 변형 유무, 파악력 차이 유무, 관절운동 가능 범위, 병적 골절의 발생 유무 등의 세부적인 항목들을 통해 기능적으로 비교 및 분석 하였으며 각각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내연골종은 일반 방사선 촬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며 악성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낮아 조직학적 진단만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 또한 필수적이지는 않다. Ramos-Pascua 등8)의 연구에서는 수부 원위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 11예 중 5예는 수술적으로, 6예는 비수술적으로 치료하였고 그 결과 두 군에서 모두 국소 재발이나 병적 골절 발생 없이 기능적, 영상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Müller 등11)의 연구에서는 내연골종으로 치료받았던 73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의 높은 합병증 발생률로 인해 무증상의 내연골종의 치료로 비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일반적으로 내연골종과 병적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는 시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통증을 조절하고 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8) 본 연구에서도 역시 환자의 통증이 심한 경우, 골절부위가 관절면과 너무 인접하거나 불안정한 2예에 대해서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 이후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지만 이외의 병적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서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모두에서 기능적, 외형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병적 골절이 동반된 족부 내연골종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증례가 없어 족부 내연골종에서 병적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가 힘들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내연골종의 치료에 따른 기능적인 결과를 분석한 연구로서 비수술적 치료 역시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병변의 위치에 따른 특성, 병변의 크기나 형태 등 치료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더불어 추후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중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항목들에 대해 더 세분화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본 연구는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에 대해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기능적, 영상학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특히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수술적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단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 역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Notes

This article was supported by clinical research grant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2017.

본 연구는 2017년도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References

    1. Bahk WJ, Kim NH, Park KS, Kim JY.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simple curettage and graft using allogenic bone or bone substitute for enchondroma involving short tubular bone of the hand and foot. J Korean Orthop Assoc 2016;51:85–90.
    1. Chun KA, Stephanie S, Choi JY, Nam JH, Suh JS. Enchondroma of the Foot. J Foot Ankle Surg 2015;54:836–839.
    1. Tang C, Chan M, Fok M, Fung B. Current management of hand enchondroma: a review. Hand Surg 2015;20:191–195.
    1. Shin KH, Moon ES, Hahn SB, Kang ES. Enchondroma of a digit treated by curettage only. J Korean Orthop Assoc 2004;39:44–49.
    1. Moon ES, Shin SG. Treatment of enchondromas of the hand with heterograft bone. J Korean Orthop Assoc 2002;37:45–50.
    1. Wilhelm K, Feldmeier C. [Enchondroma of the hand skeleton. surgical treatment and results]. Arch Orthop Unfallchir 1974;78:291–297.
      German.
    1. Tordai P, Hoglund M, Lugnegård H. Is the treatment of enchondroma in the hand by simple curettage a rewarding method? J Hand Surg Br 1990;15:331–334.
    1. Ramos-Pascua LR, Bárcena-Tricio V, Casas-Ramos P, Sánchez Herráez S, Izquierdo-García FM, Arias Martín F. Nonsurgical treatment as alternative to surgical treatment in enchondromas of the distal phalanx. analysis of a series of 11 cases. J Hand Surg Am 2018;43:870.e1–870.e7.
    1. Min HJ, Yoon US, Seo JS, Kim JS, Baek SY. Enchondroma of the calcaneus: a case report. J Korean Bone Joint Tumor Soc 2010;16:87–90.
    1. Gajewski DA, Burnette JB, Murphey MD, Temple HT. Differentiating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enchondroma and secondary chondrosarcoma in the foot. Foot Ankle Int 2006;27:240–244.
    1. Müller PE, Dürr HR, Wegener B, Pellengahr C, Maier M, Jansson V. Solitary enchondromas: is radiographic follow-up sufficient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lesions? Acta Orthop Belg 2003;69:112–118.

Metrics
Share
Figures

1 / 3

Tables

1 / 3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