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뷰티콘텐츠문화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여성과 아름다움의 관계는 디지털 기술과의 관계 속에서 구축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해 소셜라이징을 가능케 해준 글로벌 소셜미디어 콘텐츠들 속에서 이 여성들의 미적감각은 디지털테크놀로지를 매개로 네트워크화 되고 있다. 특히 유튜브와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확산을 발판삼아 아름다움에 관한 공통의 준거점은 보다 손쉽게 그리고 빠르게 공유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공통의 세밀하고 방대한 정보를 통해 오늘날 일종의 아름다움의 범주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와 뷰티 콘텐츠를 일상화한 동시대 10-20대 여성들에게 아름다움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관한 질문에서 출발, 이들의 아름다움이라는 관심사가 적극적으로 반영, 드러나고 있는 뷰티 콘텐츠를 통해 아름다움에 관한 실천과 인식의 특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1) 한국에서 뷰티콘텐츠 인기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2) 여성들의 뷰티콘텐츠 소비양상과 아름다움에 관한 인식 및 실천의 특수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3) 뷰티콘텐츠를 둘러싼 여성 이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동시대 10-20대 여성들이 공유하는 아름다움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 같은 작업은 오늘날 디지털 세대 여성들의 아름다움에 관한 실천과 감각, 그리고 그 동시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the aesthetics of women of the digital generation are networked by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ereby forming a common reference point for aesthetic sensations. It also focuses on the practice and sense of beauty shared in digital culture that is inevitably formed in interactions with nonhuman subjects such as smartphones, cameras, image correction software, digital networks, and social media.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aesthetic practice and sensibility that women share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It analyzes the concept of the ‘beauty creators’ and the beauty content they are creating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is study will also look at the concrete standards of beauty, which are being circulated, exchanged, reproduced, and practiced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is research will explore current specialties in aesthetic senses and experience of women of the digital generation through the ‘beauty creator’ and their fandom network.

목차

1. 소셜미디어의 뷰티 네트워크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4. 아름다움의 표면적 ‘민주화’
5. 젠더수행 인식의 계기이자 디지털 문법의 적극적 수행
6. 아름다움에의 다양한 의미 생산과 욕망의 승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