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 Korean summons i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ombining with ‘modal expressions’ and its types are determined by ‘referring function words’.
As for Korean summons, the function words for referring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norms which determine the types of summons can be considered semantic features of Korean summons. The semantic features are therefore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the existence of the function word for referring, the speaker’s awareness of the person being address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and the involvement of a sense of belonging,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Korean summons can be divided into the eight types: ‘common noun,’ ‘kinship term,’ ‘title term,’ ‘proper noun,’ ‘semi-proper noun,’ ‘indirect referent,’ ‘request,’ and ‘attention’ according to the sematic features embedded in those summons. Types of these summons are encaptulsated in 〈Table 2〉.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 summon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changes of social norms which affect the construction of summons. The changing patterns are observed as follows: First, the border between an acquaintance and a stranger is blurred. The use of ‘common noun’ summons used for a conversation with strangers is replaced by the ‘kinship term’ or ‘title term’ summons. Secondly, the distinction between young and old is reduced to the disappearance of ‘semi-proper noun’ or the changing usage of ‘indirect referents’. Thirdly, the mark of hierarchy between the speakers shows variations. Finally, the frequency of using ‘attention summons’ is gradually increasing.

목차

1. 들머리
2. 부름말의 유형 연구의 실상
3. 부름말의 구조적 특성
4. 부름말 유형의 체계
5. 부름말의 변화
6.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810-001362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