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나무[木]’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reveal a principle in the changing pattern of the uninflected word, which phenomenon is prevalent in the Middle Korean.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onautomatic change found in the stem of the uninflected word such as namu (나무) .
In previous studies, some scholars attempted to explain the reason, they failed to give an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behind the phenomenon that raises a question regarding the function of verb and noun. Also,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usage of uninflected word, which has been obscure, and it does not allow readers to clearly understand it. This article therefore focuses on the independent nature and function of the uninflected word in Middle Korean. In my analysis of the uninflected word, I suggest separating the part of the uninflected word into two variants which cause nonautomatic changes of the uninflected word. In this study, both the historical data and dialects of Modern Korean language are employed to prove this point. In addition, I propose that ‘-(eu(으))X-’ ending may have been a key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목차

1. 서론
2. 체언 어간의 단일화 방향
3. 체언 어간의 단일화 원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810-002416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