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 215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활동참여정도와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와 선후배를 통해서가 많았고, 청소년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일반적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시설의 아쉬운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족, 홍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가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에는 심리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활동, 편안한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사회적 약자지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청소년시설에서 제공하는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 기대가 달랐다. 여섯째,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로는 진로체험중심의 시설과 스포츠특성화시설에 대한 필요를 가장 크게 요구하였다. 일곱째, 비대면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필요 장비를 다루는 법, 비대면활동 개발방법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청소년은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경기북부-스포츠 특성화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 경기남부-녹음, 제작이 가능한 활동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에서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경기도 청소년들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청소년활동, 청소년의 요구, 경기도 청소년, 실태조사

참고문헌(4)open

  1. [학술지] 주계순 / 2018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Youth Activities on School Adjustment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4 (2) : 1 ~ 25

  2. [학술지] Jaejin Ahn / 2017 / Effects of th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9 (1) : 85 ~ 107

  3. [학술지] IL NAM KWON / 2019 / 청소년 자기주도 활동의 개념정의와 특성 분석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5 (2) : 1 ~ 29

  4. [학술지] 조현주 / 2020 /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 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6 (1) : 25 ~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