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차별경험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0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지역 노인의 17.5%가 우울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별경험은 5점 만점에 2.20점으로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를 1번이라도 경험한 비율은 평생교육에서의 배제(65.4%), 주거배제(31.25%), 의료배제(11.88%), 물질적 배제(6.38%) 순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의료배제의 경우 차별경험을 매개로 할 때에만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평생교육에서의 배제와 물질적 배제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거에서의 배제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차별경험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차별경험 및 우울로 이어지지 않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농촌지역거주노인, 사회적 배제, 차별경험, 우울

참고문헌(93)open

  1. [학술지] 강상경 / 2010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 예측요인 / 노인복지연구 (49) : 7 ~ 30

  2. [학술지] 강현욱 / 2012 /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 한국노년학 32 (1) : 129 ~ 143

  3. [학술지] 권정숙 / 2005 / 농촌여성의 평생학습 인식 및 요구 분석 / 평생교육학연구 11 (2) : 205 ~ 224

  4. [학술지] 김교성 / 2008 /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 집합이론을 이용한 측정과 일반화선형모델 분석 - / 사회복지정책 (34) : 133 ~ 162

  5. [학술지] 김교성 / 2014 / A Multi-dimensional Comparison of the ‘Feminization of Poverty’: Social Exclus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사회복지정책 41 (2) : 157 ~ 184

  6. [학술지] 김미혜 / 2000 /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 한국노년학 20 (3) : 211 ~ 226

  7. [보고서] 김미혜 / 2017 / 농어촌 노인 인권상황 실태조사

  8. [단행본] 김수영 / 2016 /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 학지사

  9. [학술지] 김수진 / 2017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에서의 배제가 저소득 노인가구의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한국노년학 37 (4) : 835 ~ 852

  10. [학술지] 김수진 / 2018 / 중년의 차별경험이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지위인식의 조절효과 / 한국노년학 38 (1) : 187 ~ 202

  11. [학위논문] 김수진 / 2019 / 사회적 배제, 가정생활스트레스, 우울의 종단적 관계: 노인부부가구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12. [학술지] 김봉균 / 2014 /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 34 (1) : 115 ~ 132

  13. [학술지] 김안나 / 2007 /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사회이론 (32) : 227 ~ 254

  14. [단행본] 김안나 / 2008 /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학술지] 김영주 / 2009 /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연구 (46) : 77 ~ 104

  16. [학술지] 김영주 / 2010 /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경제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가족생활과 사회생활의 매개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 농촌사회 20 (1) : 265 ~ 308

  17. [학술지] 김욱 / 2003 /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 한국노년학 23 (2) : 21 ~ 35

  18. [학술지] 김주현 / 2015 / 한국 고령자의 연령차별 경험과 노년기 인식 질적 연구 / 한국인구학 38 (1) : 69 ~ 104

  19. [학술지] 김주현 / 2016 / 전문가집단의 연령주의(Ageism) 인식과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의료사회서비스법률금융 전문가의 고령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71 (2) : 9 ~ 47

  20. [학술지] 김지연 / 2014 /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 척도 개발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8 (4) : 45 ~ 69

  21. [학술지] 김태완 / 2015 /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 보건사회연구 35 (3) : 71 ~ 102

  22. [학술지] 남석인 / 2008 /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 / 한국노년학 28 (4) : 1297 ~ 1315

  23. [학술지] 노병일 / 2011 /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건설직 일용근로자의 우울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학 63 (1) : 113 ~ 135

  24. [학술지] 노시학 / 2013 / 농촌지역 노령인구의 통행패턴 분석- 경상북도 봉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 / 국토지리학회지 47 (4) : 397 ~ 413

  25. [학술지] 노혜진 / 2012 / 가족 안에서 여성은 어떻게 빈곤을 경험하는가?: 빈곤가구 내 성별 불평등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6 (2) : 67 ~ 101

  26. [학술지] 문진영 / 2004 /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56 (3) : 253 ~ 277

  27. [학술지] 박경숙 / 2001 / 농촌과 도시 재가 생활보호노인의 욕구와 사회복지서비스이용실태 비교: 경기도 재가 생활보호노인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17 (1) : 175 ~ 211

  28. [학술지] 박경순 / 2015 / 사회적 배제가 농촌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사회복지정책 42 (4) : 231 ~ 253

  29. [학술지] 박능후 / 2014 / 중고령자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분석 / 사회과학연구 25 (2) : 325 ~ 354

  30. [학술지] 박병현 / 2001 /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 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의 함의 / 한국사회복지학 45 : 185 ~ 219

  31. [학술지] 박선아 / 2018 /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 (3) : 530 ~ 541

  32. [학술지] 박종우 / 1999 / 한국사회의 연령주의(Ageism)와 노인문제 / 社會科學 11 : 51 ~ 68

  33. [학술지] 박현선 / 2017 /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영역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 한국가족복지학 (56) : 197 ~ 224

  34. [학술지] 박현식 / 2008 / 공공부조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 / 노인복지연구 (41) : 7 ~ 26

  35. [학위논문] 박현주 / 2012 / 노인의 사회적 배제 :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36. [학술지] 박화옥 / 2005 / 노인의 우울감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論文集 46 : 1 ~ 14

  37. [학술지] 배지연 / 2006 /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노인복지연구 (33) : 7 ~ 28

  38. [학술지] 배진희 / 2004 /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 (20) : 197 ~ 216

  39. [학술지] 손신영 / 2006 /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노년학 26 (3) : 601 ~ 615

  40. [단행본] 신명호 / 2004 /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 국가인권위원회

  41. [학술지] 신미식 / 2007 / 평생교육으로서 한국노인교육의 발전방향 : 노인교육담론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3 (1) : 1 ~ 24

  42. [학술지] 신학진 / 2012 /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절망과 우울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연구 (56) : 191 ~ 216

  43. [학술지] 신혜종 / 2011 /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사회과학연구 50 (2) : 115 ~ 141

  44. [학술지] 심미경 / 2002 / 일부 도시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적지지, 우울, 생활 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 (4) : 689 ~ 698

  45. [학술지] 심창학 / 2004 / 유럽연합(EU)의 사회적 배제 극복 정책: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행정논집 30 : 127 ~ 157

  46. [학술지] 안준희 / 2009 /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 29 (4) : 1645 ~ 1663

  47. [학술지] 안준희 / 2018 /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통합적 인권보장 실태에 관한 연구 / 한국노년학 38 (3) : 569 ~ 592

  48. [학술지] 양성지 / 2017 /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배제 및 우울의 관계 / 한국체육학회지 56 (5) : 461 ~ 472

  49. [학술지] 양순미 / 2007 / 농촌노인의 우울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 노인복지연구 (36) : 141 ~ 160

  50. [학술지] 양정남 / 2010 /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노인차별경험의 영향요인 -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4) : 207 ~ 229

  51. [학술지] 염지혜 / 2016 /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도시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농촌사회 26 (1) : 157 ~ 200

  52. [학술지] 오승환 / 2006 /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32) : 119 ~ 147

  53. [학술지] 원영희 / 2005 /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정책 (21) : 297 ~ 322

  54. [보고서] 원영희 / 2006 / 노인에 대한 사회차별 실태조사

  55. [학술지] 이상록 / 2011 / 빈곤층의 물질적 궁핍,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 사회복지연구 42 (3) : 233 ~ 265

  56. [학술지] 이상철 / 2016 / 고령친화환경 요인들이 삶의 만족 및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집단별 비교 연구 / 한국사회정책 23 (2) : 173 ~ 200

  57. [학술지] 이상철 / 2016 / 노인이 인식한 고령친화 환경의 구성개념과 활동적 노화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서울도시연구 17 (2) : 119 ~ 137

  58. [학술지] 이수애 / 2002 /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년학 22 (1) : 209 ~ 226

  59. [학위논문] 이승은 / 2014 /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0. [학위논문] 이은아 / 2016 / 노인의 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61. [학술지] 이정화 / 2016 /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우울 및 자살생각: 성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 (4) : 831 ~ 850

  62. [학술지] 이지선 / 2016 /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 한국노년학 36 (4) : 1057 ~ 1072

  63. [학술지] 이혜경 / 2009 /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46) : 315 ~ 336

  64. [학술지] 전명수 / 2014 /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벤처창업연구 9 (5) : 235 ~ 246

  65. [학술지] 전병주 / 2014 /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영향 및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취업 여부를 중심으로 / GRI연구논총 16 (3) : 237 ~ 274

  66. [학술지] 정금호 / 2015 / 농촌 주거의 사회적 배제 모형에 관한 연구 / 環境硏究論文集 15 : 75 ~ 85

  67. [학술지] 정선영 / 2011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가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어려움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경향점수 가중치 방법을 통한 고찰 / 한국사회정책 18 (3) : 165 ~ 190

  68. [학술지] 조현미 / 2019 / 사회적 배제감에 관한 개념분석 / 인문사회 21 10 (2) : 83 ~ 98

  69. [학술지] 최미영 / 2015 /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노인복지연구 (69) : 9 ~ 30

  70. [학술지] 최민정 / 2014 /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의 실증분석 /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7 (1) : 103 ~ 138

  71. [학술지] 황민영 / 2018 / 연령주의,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노화의 인식, 우울감 간의 관계: 베이비부머, 전기노인 및 후기노인 남성 세대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7 (1) : 65 ~ 103

  72. [학술지] Jae Nam Bae / 2004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its short form among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 (3) : 297 ~ 305

  73. [단행본] Beck, U. / 2006 / 위험사회 : 새로운 근대(성)를 향하여 / 새물결

  74. [학술지] José Manoel Bertolote / 2004 / Psychiatric Diagnoses and Suicide: Revisiting the Evidence / Crisis 25 (4) : 147 ~ 155

  75. [학술지] Bentler, P. M / 1990 /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 Psychological bulletin 107 (2) : 238

  76. [단행본] Bentler, P. M. / 1995 / EQS structural equations program manual Vol. 6 / Multivariate software Encino

  77. [학술지] Robert N. Butler / 1980 / Ageism: A Foreword / Journal of Social Issues 36 (2) : 8 ~ 11

  78. [학술지] Browne, M. W. / 1993 /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 Sage focus editions 154 : 136 ~ 136

  79. [학술지] Cho MJ / 1999 /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 : 48 ~ 63

  80. [학술지] Jackson P. Rainer / 2010 / Treating the aged in rural communities: the application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6 (5) : 502 ~ 512

  81. [학술지] John C. Fortney / 2010 / The Association Between Rural Residence and the Use, Type, and Quality of Depression Care /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6 (3) : 205 ~ 213

  82. [학술지] Hauenstein, E. J. / 2007 / Rurality and mental health treatment /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34 (3) : 255 ~ 267

  83. [학술지] Li‐tze Hu / 1999 /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 (1) : 1 ~ 55

  84. [학술지] Ronald C. Kessler / 1997 /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8 (1) : 191 ~ 214

  85. [단행본] Kline, R. / 2011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Guilford Press Google Scholar

  86. [학술지] Lanfranchi, M. / 2015 / Agriculture and the social farm: Expression of the multifunctional model of agriculture as a solution to the economic crisis in rural areas / Bulgari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1 (4) : 711 ~ 718

  87. [학술지] Miller, Karl E / 2002 / What is the natural history of late-life depression? / American Family Physician 66 (10) : 1995

  88. [단행본] Muthén, L. K. / 2010 / Mplus: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User's guide / Muthén &Muthén Los Angeles

  89. [보고서] Payne, S / 1999 / Poverty, Social Exclusion and Mental Health: Findings from the 1999 PSE Survey :

  90. [학술지] John Snowdon / 2002 / How high i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old age? /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24 (suppl 1) : 42 ~ 47

  91. [학술대회] Steiger, J. H. / 1980 /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92. [학술지] Sutin, A. R. / 2015 /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health in older adulthood /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 (2) : 171 ~ 179

  93. [인터넷자료] 통계청 / 도시지역인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