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유머소구에 초점을 두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유형이 공공 기관의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네트워크 능력과 정보 추구 성향이 메시지 유형-공공기관 브랜드 이미지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 유머 소구가 통제 조건(정보 제공)보다 공공기관 브랜드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소비자의 정보추구성향 중 정보 검색 성향이 메시지유형-공공기관의 브랜드 이미지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지니며, 대인네트워크 능력 및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 역시 유머 소구와 브랜드이미지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대인(오프라인) 네트워크능력은 유머소구와 브랜드 이미지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메시지 유형, 유머소구, 브랜드이미지, 공공기관, 정보추구성향, 대인 네트워크 능력,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

참고문헌(21)open

  1. [학술지] 김형아 / 2011 / 서울시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과 정책적 함의 / 한국정책연구 11 (2) : 95 ~ 114

  2. [단행본] 박성현 / 1998 / 회귀분석 / 민영사

  3. [학술지] 박영미 / 2014 / 행정기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4 (4) : 399 ~ 422

  4. [학술지] 박영원 / 1998 / 유머효과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연구 : 101 ~ 110

  5. [학술지] 이유재 / 1994 /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주효과의 검증에 대한 연구 / 경영학연구 23 (4) : 183 ~ 210

  6. [단행본] 이주희 / 2006 / 고객감동행정서비스 / 기문당

  7. [학술지] 이희태 / 2017 / 유머러스한 SNS 홍보물 표현 방식과 소비자의 성격 유형이 공공기관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공공기관의 청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 관광레저연구 29 (1) : 463 ~ 483

  8. [학술지] 정재선 / 2012 / 정교화 가능성 관점의 프레임 효과연구 암 관련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6 (6) : 278 ~ 309

  9. [학술지] 정진완 / 2012 / 정보처리 관점에서 살펴본 유머광고 효과 연구: 개인적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6 (6) : 222 ~ 245

  10. [학술지] 최승범 / 2007 / 정부기관 이미지평판의 고객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최승범·박흥식·Rosa Chan / 한국행정논집 19 (4) : 955 ~ 986

  11. [학술지] 하태길 / 2007 / Differential Effects of Humor Advertisingby Expression Type and Receivers’ Temperament / 아시아마케팅저널 9 (1) : 23 ~ 41

  12. [학술지] 홍영일 / 2010 / 유머광고의 표현유형과 제품군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0 (1) : 1 ~ 10

  13. [학술지] Chattopadhyay, A. / 1990 /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466 ~ 476

  14. [학술지] Grönroos, C. / 1984 /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 (4) : 36 ~ 44

  15. [학술지] Hassett, J. / 1979 / Different Jokes for Different Folks-report on Pts Humor Survey / Psychology Today 12 (8) : 64 ~ 71

  16. [학술지] Henningsen, M. L. M. / 2003 / Social Influence in Groups : A Comparative Application of Relational Framing Theory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 Communication Monographs 70 (3) : 175 ~ 197

  17. [단행본] Keller, K. L. / 1998 /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 Prentice Hall

  18. [학술지] Macdonald, E. K. / 2007 / Consumer Savvy: Conceptualisation and Measurement /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3 (5-6) : 497 ~ 517

  19. [학술지] Madden, T. J. / 1982 / The Effects of Humor on Attention in Magazine Advertising / Journal of Advertising 11 (3) : 8 ~ 14

  20. [단행본] Nunally, J. C. / 1978 / Psychometric Theory / McGraw-Hill

  21. [단행본] Petty, R. E. / 1986 /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 Academic Press : 132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