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햐쿠타 나오키의 『딸들의 제국』에서 나오는 한 장수말벌 여전사의 짧지만치열한 사랑 이야기를 일본 제국주의와 평화주의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햐쿠타는 일본 제국주의 사상을 말벌사회에 대입시켜, 그가 신봉하는 일본 제국주의와 평화주의의이념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는 말벌집단을 통해 잔인하고 포악한 일상을 겪지만 그들이 속한 제국을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바치는 이중적인 인간사회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이것은 바로 일본이 추구하는 제국주의와선제공격을 통한 평화주의라는 이중성을 의미한다. 『딸들의 제국』의 주인공인 마리아는자신이 태어난 목적을 알지 못한 채, 자신은 제국을 건설하는 목표를 위해 태어났다고믿는다. 심지어 그녀는 자신이 “제국의 소유물”이라고 세뇌된 상태로 죽는 순간까지 “제국의 딸”로 그 일생을 마감한다. 햐쿠타가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평화주의는 일본이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나아가는 비평화주의로 볼 수 있다. 그는 아베가 추구하는 선제공격을 통한 평화를 마리아가 속한 말벌제국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햐쿠타 나오키, 『딸들의 제국』, 제국주의, 평화주의, 내면의 바람

참고문헌(14)open

  1. [학술지] 강준수 / 2018 / 『1984년』을 통해 본 전체주의와 가상공간의 집단주의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15) : 13 ~ 37

  2. [학술지] Joseph Yosup Kim / 2015 / 존 스타인벡의 집단인 이론을 토마스 실리의 『꿀벌의 민주주의』로 분석하기 / 문학과환경 14 (1) : 27 ~ 45

  3. [학술지] 남기정 / 2014 /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원류와 전개, 그리고 현재 / 역사비평 (106) : 94 ~ 134

  4. [학술지] 노윤선 / 2018 / 햐쿠타 나오키(百田尙樹)의 『영원한 제로(永遠の0)』와 『해적이라 불린 사나이(海賊とよばれた男)』고찰 / 日本文化學報 (78) : 295 ~ 315

  5. [단행본] 로완 제이콥슨 / 2009 / 꿀벌 없는 세상, 결실 없는 가을 / 에코리브르 : 2009

  6. [학술지] 양순주 / 2017 / [겐론 읽기] 비평의 생산성을 위하여: 『겐론(ゲンロン)6』 / 오늘의 문예비평 105 : 261 ~ 269

  7. [학술지] 이삼성 / 2012 / 제국과 식민지에서의 ‘제국': 20세기 전반기 일본과 한국에서 ‘제국’의 개념적 기능과 인식 / 국제정치논총 52 (4) : 7 ~ 40

  8. [학술지] 이상수 / 2006 / 일본의 평화헌법개정과 보통국가론, 그리고 한반도 / 평화연구 14 (2) : 137 ~ 165

  9. [단행본] 정계준 / 2016 / 한국의 말벌 / 경상대학교출판부

  10. [단행본] 햐쿠타 나오키 / 2012 / 딸들의 제국 / 뜨인돌

  11. [학술지] 헬렌 리 / 2008 /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 아세아연구 51 (2) : 80 ~ 105

  12. [학술지] Matsuura, Makoto / 1969 / Behavior of Post-hibernating Female Hornets, Vespa, in the Pre-nesting St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Intra- and Interspecific Dominance Relationships / 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19 (5) : 196 ~ 203

  13. [단행본] Seeley, Thomas D. / 2010 / Honeybee Democracy / Princeton UP

  14. [단행본] Wilson, Edward O. / 1990 / Success and Dominance in Ecosystems: The Case of the Social Insects / Ecology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