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관람자들의 대화를 분석하여 작품을 지각하고 의미를 형성하는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성과 전반적인 미적 발달 단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두 명씩 짝을 지어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된 작품을 감상하며 나눈 대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 관람자의 대화는 크게 7개의 대화 유형으로 분류되어 그들의 대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얻을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초등학생 관람자의 대화를 미적 발달 단계에 비추어봄으로써 전반적인 미적 발달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관람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관 학습의 효과를 증진하고 미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방안을 제언하였다.

키워드

대화 분석, 대화 유형, 미적 발달 단계

참고문헌(38)open

  1. [학술지] 김기상 / 2009 /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 양상 /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 : 127 ~ 140

  2. [학술지] 김혜인 / 2011 / 미술관 관람자 대화분석을 통한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성인 관람자를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구 (19) : 33 ~ 57

  3. [학위논문] 문혜자 / 2011 / Amelia Arenas의 대화형 미술 감상법 연구

  4. [단행본] 박휘락 / 2003 /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 시공사

  5. [학술지] 배진희 / 2013 / 미술관 관람객과 도슨트 간의 담화분석을 통한 상호작용적 학습경험 연구 / 조형교육 (48) : 189 ~ 220

  6. [학위논문] 변순영 / 2001 / 미술관 관람객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7. [학술지] 양지연 / 2011 / 미술관과 소통: 미적발달 단계의 이론적 탐색과 적용 / 문화예술교육연구 6 (2) : 1 ~ 21

  8. [학술지] 양지연 / 2011 / 미술관 관람자의 미적인지 단계적 특성 - 국내 성인 관람자를 중심으로 - / 미술교육논총 25 (2) : 165 ~ 196

  9. [학술지] 이경희 / 2007 / 어린이박물관에서의 미술감상을 위한 설명문 읽기행동 및 아동과 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박물관학보 12 : 153 ~ 176

  10. [학술지] 이봉녀 / 2009 / 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과정에 도입된 대화형 미술 감상법의 이론적 배경 및 실천방법 고찰 / 한국디자인포럼 (24) : 225 ~ 242

  11. [학위논문] 정원영 / 2010 / 자연사전시관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반 환경 학습 과정

  12. [학술지] 최문영 / 2012 / 관람 대화의 흐름과 상호작용의 양상에 기반한 자연사 전시관의 전시물과 관람객 간 상호작용적 학습 사례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7) : 1251 ~ 1268

  13. [학술지] 최지은 / 2006 / 자연사 박물관에서 엄마-아동의 상호 작용 / 교육심리연구 20 (3) : 605 ~ 631

  14. [단행본] 한순미 / 1999 / 비고츠키와 교육 / 교육과학사

  15. [단행본] Allen, S. / 2002 /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s : 259 ~ 303

  16. [단행본] Barrett, T. / 1997 / Talking about student art / Davis Publications, Inc

  17. [단행본] Barrett, T. / 2003 / Interpreting art / McGraw-Hill

  18. [단행본] Falk, J. H. / 2007 / 박물관교육의 기본 / 미진사

  19. [단행본] Falk, J. H. / 2008 / 관람객과 박물관 / 북코리아

  20. [단행본] Hein, G. E. / 1998 / Learning in the Museum / Routledge

  21. [단행본] Hein, G. E. / 2002 / Learning in the Museum / Routledge

  22. [학술지] Hooper-Greenhill, E. / 2000 / Changing values in the art museum: Rethinking communication and learn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6 (1) : 9 ~ 31

  23. [학위논문] Housen, A. / 1983 / The eye of the beholder: Measuring aesthetic development

  24. [학술대회] Housen, A. / 1989 / Museum audience research and evaluation. Paper read at Museum Education Division Luncheon / NAEA Conference

  25. [학술지] Housen, A. / 1992 / Validating measure of aesthetic development for museums and schools / ILVS Review 2 (2) : 213 ~ 237

  26. [학술지] Housen, A. / 2001 / Voices of Viewers: Iterative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 and Learning Research Journal 17 (1) : 2 ~ 12

  27. [단행본] Housen, A. / 2007 / From periphery to center: Art museum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172 ~ 179

  28. [단행본] Housen, A. / 2002 / Visual Thinking Strategies, grade 5 / Visual Understanding in Education

  29. [학술지] Hubard, Olga M. / 2010 / Three Modes of Dialogue about Works of ART / Art Education 63 (3) : 40 ~ 45

  30. [학술지] Mackay, S. W. / 2003 / Dialogic looking: Beyond the mediated experience / Art Education : 40 ~ 45

  31. [단행본] Lachapelle, R. / 2007 / From periphery to center: art museum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 123 ~ 128

  32. [단행본] Rowe, S. / 2002 /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 19 ~ 35

  33. [단행본] Silverman, L. H. / 2010 / The social work of museums

  34. [학술대회] Villeneuve, P. / 2012 / Supported interpretation: Museum learning through interactive exhibition / Intelligence crossover; Paper compilation on the 3rd World Chinese Art Education Symposium : 64 ~ 72

  35. [단행본] Villeneuve, P. / 2007 / From periphery to center: Art museum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36. [학술지] Volkert, J. / 1991 / Monologue to Dialogue / Museum News 70 (2) : 47 ~ 49

  37. [학술지] Wilson, B. / 2003 / Of diagrams and rhizomes: Visual culture, contemporary art, and the impossibility of mapping the content of art education / Studies in Art Education : 214 ~ 229

  38. [단행본] Woolfolk, A. / 2007 / 교육심리학 / 박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