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논어』에 나타나는 성(性)과 심(心)이 자연적 정감[情]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이중구조로 인해 공자의 성(性) 개념에 이미 순자의 정악(情惡)으로서의 성악(性惡)의 맹아가 깃들어 있다고 보았다. 필자는 이러한 근거를 우선 성(性)과 심(心)에 대한 자전적 의미 및 『논어』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본성[性]과 마음[心]에 대한 공자의 태도에서 찾아보았다. 공자의 ‘성(性)’에서는 ‘생(生)’으로 주어진 희노애락의 정(情)이 포함된 성(性)의 의미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정(情)의 발양처인 심(心)보다 성(性)이 보다 근원적인 개념이다. 또한 심(心)은 인(仁)으로서의 심(心)과 또 ‘종심소욕(從心所欲)’에서의 욕(欲)의 발양처로서의 심(心)의 이중적 의미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논어』에는 즐거움[樂]에 대한 언급이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공자의 즐거움은 칠정(七情)의 한 감정로서의 즐거움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떠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속박에도 영향 받지 않은 순수 즐거움[樂]의 의미도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논어』에 나타나는 성ㆍ심(性ㆍ心) 개념이 그 속에 정(情)과 욕(欲), 그리고 인(仁)과 함께 서로 습합되어 있는데서 오는 것이라고 보았다. 공자는 천(天)과의 합일 및 현실세계에 대한 우환의식으로 그들의 시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고, 주(周)의 예제문화(禮制文化)와의 계승을 통한 현실세계의 도덕화를 꿈꾸게 하였다. 이러한 이상을 현실 속에서 구현한 군자(君子)라는 인간상를 통해 공자는 성(性)에 내재된 자연적 정감의 순화, 조절, 그리고 극복을 통해 도덕적 정감이 잘 발휘되는 인간을 지향하였다. 공자에게서 도덕적 정감의 문제는 인(仁)의 마음과 인(仁)의 근본인 효제(孝悌) 및 극기복례(克己復禮)의 발현과정에서 발휘되는 중용의 확보로 제시된다. 왜냐하면 사회적 제약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극복 가능한 경지에서 ‘락(樂)’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즐거움[樂]’의 인간은 칠정[欲]을 통하되 교육과 예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순진무구한 천성으로서의 즐거움[樂]이고, 이 즐거움의 경계에서 인간은 ‘무아(無我)’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키워드

성(性), 심(心), 정(情), 군자(君子), 즐거움[樂].

참고문헌(29)open

  1. [기타] / 四書集註

  2. [기타] / 荀子

  3. [단행본] / 1979 / 十三經注疏 上下 / 中華書局

  4. [단행본] 徐中舒 / 1998 / 甲骨文字典 / 四川辭書出版社

  5. [단행본] 容庚 / 1998 / 金文編 / 中華書局

  6. [단행본] 許愼撰 / 1998 / 說文解字注 / 古籍出版社

  7. [단행본] 韋政通 / 1978 / 中國哲學辭典 / 大林出版社

  8. [단행본] 唐君毅 / 1987 / 中國哲學原論 / 學生書局

  9. [단행본] 徐復觀 / 1987 / 中國人性論史 / 商務印書館

  10. [단행본] 宇野哲人 / 1992 / 中國哲學 / 講談社

  11. [단행본] 김동인 / 2011 / 세주완역사서집주대전 3 / 한울

  12. [단행본] 김동인 / 2013 / 세주완역사서집주대전 4 / 한울

  13. [단행본] 사라 알란 / 1999 /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무엇을 보았는가 / 예문서원

  14. [단행본] 박찬구 / 1998 / 논쟁으로 보는 윤리사상의 흐름과 주제들 / 담론사

  15. [단행본] 벤자민 슈월츠 / 1996 /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 살림

  16. [학술지] 김명석 / 2008 / 『논어(論語)』의 정(情)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동양철학 (29) : 147 ~ 171

  17. [학술지] 김명석 / 2009 / 공자의 윤리적 감정관 시론(試論) ― 덕성의 계발과 관련한 감정의 역할과 구조에 대한 공자의 생각 ― / 동양철학연구 (59) : 303 ~ 326

  18. [단행본] 김충렬 / 1986 /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 연세대출판부

  19. [학술지] 선우미정 / 2010 / ‘性相近 習相遠’을 통해 본 禮樂思想 / 동양철학연구 (61) : 223 ~ 248

  20. [학술지] 이승연 / 2005 / 유가적 즐거움의 의미와 그 현대적 의의 / 한국학논집 32

  21. [학술지] 이택용 / 2016 / 『논어』의 ‘樂’[즐거움]에 대한 고찰 / 동방학 (34) : 7 ~ 36

  22. [학술지] 왕해화 / 2015 / 공자의 음악치유사상에 내재된 예술 치료적 의의 / 연극예술치료연구 (5)

  23. [학술지] 조남욱 / 2007 / 儒家에서 지향하는 ‘즐김(樂)의 경지’에관한 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28)

  24. [학술지] 조원일 / 2010 / 孔子의 人性論 연구 / 중국학논총 (30) : 201 ~ 216

  25. [학술지] 정대환 / 2015 / 공자철학에서 ‘性’과 ‘習’의 의미 / 유교사상문화연구 (59) : 65 ~ 88

  26. [학술지] 지준호 / 2010 / ‘從心所欲、不踰矩’를 통해 본 공자의 인성론 / 동양고전연구 (39) : 209 ~ 242

  27. [학술지] 한평수 / 2006 / 배려(Care)의 윤리와 인(仁)의 윤리 / 철학사상 (23)

  28. [학술지] 홍순목 / 2006 / 공자의 유교윤리에 있어서 도덕교육단계론 / 도덕윤리과교육 (22) : 313 ~ 336

  29. [학술지] 橋本敬司 / 1998 / 孔子の 禮ㆍ孝ㆍ仁ㆍ樂-三重拘束された身體 / 哲学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