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심훈의 중국에서의 행적, 특히 항주에서의 활동을 정리하고, 이러한 중국에서의 경험이 그의 창작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논의한 것이다. 심훈의 중국행이 지닌 정치적 의도와 항주의 지강대학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에서 발표한 주요 작품들을 분석하여 심훈이 당시 중국을 역사적 혹은 문학적으로 의미화 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심훈에게 중국 체험은 자신의 사상적 거점과 독립운동의 방향을 찾아내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북경에서 상해, 남경을 거쳐 항주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그의 사상적 변화와 문학적 방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근대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내부의 모순이 공존하는 상해의 이중성에 대한 절망과 노선 갈등을 주목하여, 이러한 정치적 분파 투쟁이 항주에서의 생활로 어떻게 이어져문학적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귀국 이후 이러한 정치적 좌절과 회의를 극복하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 결과, 「그날이 오면」과 소설 「동방의 애인」을 남겼다는 점을 전기적으로 해명하였다. 다만 이 두 작품은 일제의 검열로 인해 중단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이후 그가 이러한 검열을 우회하는 서사 전략으로 ‘국가’를 ‘고향’으로 변형시키는 양상을 드러냈음을 주목하여, 심훈의 후기 작품을 농촌 계몽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식민지 검열을 넘어서는 전략적 방향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다음으로, 이상의 맥락에서 <항주유기>를 비롯한 시조 작품들을 중심으로 심훈의 시조 창작이 지닌 정치적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시조 창작은 1930년대 이후에 집중되었는데, 일제의 검열을 피하는 방식으로 식민지 모순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시조 장르를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의 시조 창작은 식민지 모순을 근원적으로 넘어서려는 저항정신이 내재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의 시조 창작 전략은 정치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식민지 모순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정치적 역설의 양식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심훈의 문학에서 ‘항주’가 지닌 정치적 의미를 중요하게 바라보는 이유가 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심훈의 사상과 문학의 형성 과정을 중국 체험, 특히 항주 시절과의 연관성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문학 작품에 구체화된 중국의 사회역사적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키워드

심훈, 중국, 북경, 상해, 항주, 지강대학, 민족적 사회주의자, 시조(時調), 시조창작전략, 항주유기, 「동방의 애인」

참고문헌(18)open

  1. [단행본] / 1966 / 沈熏文學全集』 1권(詩) / 탐구당

  2. [단행본] 심훈기념사업회 / 2000 / 심훈문학전집① 그날이 오면 / 차림

  3. [단행본] 김종욱 / 2016 / 심훈 전집 1 : 심훈시가집 외 / 글누림

  4. [단행본] 김종욱 / 2016 / 심훈전집 8 : 영화평론 외 / 글누림

  5. [단행본] 백영서 / 2000 / 전환의 시대 대학은 무엇인가 / 한길사 : 163 ~ 185

  6. [학술지] 유병석 / 1968 / 심훈의 생애 연구 / 국어교육 : 10 ~ 25

  7. [단행본] 윤석중 / 1978 / 신문과 방송 / 한국언론진흥재단 : 74 ~ 77

  8. [단행본] 이덕일 / 2009 / 이회영과 젊은 그들 / 역사의아침

  9. [학술지] 조영록 / 2010 / 일제 강점기 杭州 高麗寺의 재발견과 重建籌備會 / 한국근현대사연구 (53) : 40 ~ 72

  10. [학위논문] 조제웅 / 2006 / 심훈 시 연구

  11. [학술지] 최기영 / 2014 / 1910~1920년대 杭州의 한인유학생 / 서강인문논총 (39) : 205 ~ 229

  12. [학술대회] 하상일 / 2014 / 심훈의 중국에서의 행적과 시세계의 변화 / 2014 越秀-中源國際韓國學硏討會발표논문집 : 201 ~ 221

  13. [학술지] 하상일 / 2015 / 심훈의 중국 체류기 시 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51 (51) : 75 ~ 108

  14. [학술지] 하상일 / 2016 / 심훈의 「杭州遊記」와 시조 창작의 전략 / 비평문학 (61) : 203 ~ 226

  15. [학술지] 한기형 / 2007 / 백랑(白浪)의 잠행 혹은 만유-중국에서의 심훈 / 민족문학사연구 (35) : 438 ~ 460

  16. [학술지] 한만수 / 2006 / 1930년대 ‘향토’의 발견과 검열 우회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0 (1) : 379 ~ 402

  17. [학술지] 니웨이 / 2012 / ‘마도(魔都)’ 모던 / ASIA 25 (여름) : 26 ~ 34

  18. [단행본] 張立程 / 2015 / 之江大學史 / 杭州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