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 『朝鮮三官使酬和』 연구

A Study of Joseonsamgwansasuhwa (A Collection of Poetic Conversations) in the Eulmi-Tongshinsa Period (1655)

동양한문학연구
약어 : -
2017 vol.46, pp.215 - 245
DOI : 10.35374/dyha.46..201702.009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동양한문학회
7 회 열람

이 글은 乙未通信使(1655) 창화시집인 『朝鮮三官使酬和』에 대해 살핀 것이다. 첫째, 형성배경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일본 막부의 4대 장군 德川家綱의 襲職을 축하하는 사절인 을미통신사행(1655)에서 조선의 세 사신(趙珩ㆍ兪瑒ㆍ南龍翼)과 일본의 두 접반승(九巖中達ㆍ茂源紹柏)이 사행 노정을 함께 하면서 서로 창화한 시를 모은 것이다. 둘째, 수록 창화시의 현황과 특징을 살폈다. 『朝鮮三官使酬和』는 7언절구 44수, 7언율시 11수, 5언 율시 21수 등 총 65題 76首를 수록하고 있다. 편집체제는 三使의 경우 정사-부사-종사관, 접반승의 경우는 九巖中達-茂源紹柏의 순서로 엮어 위계를 존중하고 있고, 창화한 날짜가 다르더라도 창화 현장의 느낌이 살아나게 贈詩-次韻詩의 순서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 접반승 中達을 중심으로 엮되 對馬島로부터 韜浦까지 상경 노정에서 이루어진 창화시만을 모아 엮은 것이 특징이다. 셋째, 『朝鮮三官使酬和』에 반영된 노정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폈다. 첫 노정인 對馬島에서의 창화는 삼사와 두 접반승이 서로 만난 기쁨과 상대의 詩才에 대한 찬탄 및 宿緣의 소중함이, 壹岐島와 藍島에서는 儒者와 佛者로서 상대의 품성에 대한 찬양과 覇家臺를 중심으로 박제상과 정몽주 두 충신에 대한 추모지정이 두드러졌다. 赤間關에서는 악천후로 지체되는 使行에 대한 조바심과 위로 및 자연풍광에 대한 찬탄이, 上關과 韜浦에서는 翫月의 시흥에 녹아든 同類의식과 盤臺寺의 독특한 생활방식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다. 이처럼 『朝鮮三官使酬和』는 창화시집이 그리 많지 않은 을미통신사(1655) 때 산출되었고,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통신사 三使와 일본 接伴僧의 창화시를 모은 최초의 창화시집으로 이후 『槎客通筒集』(1711)과 같은 통신사-접반승의 창화시집 편찬의 전통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문화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poetry Joseonsamgwansasuhwa,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ulmi-Tongshinsa(1655).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Joseonsamgwansasuhwa is examined. Eulmi-Tongshinsa(1655) is a delegation sent to celebrate Tokugawa-Iecheuna, the fourth Syogun of Japan's Bakuhu. Joseonsamgwansasuhwa is a collection of poems created by the three delegates from Joseon, Jo-hyung, Yoo-chang, and Nam-yongik, and the two Japanese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the Japan, who were in charge of hospitality and guidance and three envoy of Joseon Dynasty. Secondl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Joseonsamgwansasuhwa contains 76 poems in total. The three envoy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shown in order of Ambassador, Vice Ambassador and the Third Ambassador, and Japanese assistant monks, Kyugan-Judatsu, Mogen-shouhaku of Japan. And, although the date of the reply to the original is different, it is rearranged following the right order of consecutive dates so that the reader would feel vividly. In addition, the collected poems are mainly the ones written on the Kyugan-Judatsu, and these poems hav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poetry written on the roads from Tsushima to Tomonoura. Thirdly, the nature of the travel plans and contents that in Joseonsamgwansasuhwa examined. In Tsushima, central points of the pieces were laid on the joy of meeting, the admiration for the each other's poetic tal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long-standing relationship. In Ikinoshima and Ainoshima writings, praise for the opponent and remembrance for Park Je-Sang and Jung Mong-ju were remarkable. Int Akamagaseki, the impatience and comfort of the schedule of being late because of the weather and the admiration for the scenery were prominent. Finally, the pieces written in Kaminoseki show that they shared friendship while they were expressing their admiration of the moon, and the Tomonoura writings show their interest in the uniquely Bandaiji's way of life. Therefore, Joseonsamgwansasuhwa is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etween the three envo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monks who have not been noticed in the academic world. Its significance is highly appreciated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을미통신사, 조선삼관사수화, 창화시집, 노정, 삼사, 접반승, 구암중달, 무원소백
Eulmi-Tongshinsa, Joseonsamgwansasuhwa, collection of poetic conversations, travel plans, three envoy, assistant monk, Kyugan-Judatsu, Mogen-shouhaku

  • 1. [기타] 남용익 / 扶桑錄, 壺谷漫筆
  • 2. [기타] 유창 / 秋潭集
  • 3. [기타] 임광 / 丙子日本日記
  • 4. [기타] 신익전 / 東江遺集
  • 5. [기타] / 前後使行備考
  • 6. [기타] 정두경 / 東溟集
  • 7. [기타] 조형 / 扶桑日記
  • 8. [기타] 조형 / 通信使謄錄
  • 9. [기타] 조형 / 2016 /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일 공동 신청서 조인식 자료집 / 부산문화재단ㆍNPO법인 조선통신사연지연락협의회
  • 10. [단행본] 조형 / 2013 / 조선후기 통신사 필담창화집 번역총서 / 보고사
  • 11. [단행본] 조형 / 2011 / 조선후기 필참당화집 연구총서 / 보고사
  • 12. [단행본] 구지현 / 2013 / 朝鮮筆談集ㆍ朝鮮三官使酬和 / 보고사 : 93
  • 13. [학술지] 김종수 / 2013 / 壺谷 南龍翼의 일본문명 견문 / 민족문화 / 41 : 41 ~ kci
  • 14. [단행본] 연세대 중국문학사전편역실 / 1994 / 중국문학사전Ⅱㆍ작가편 / 다민 : 166 ~
  • 15. [단행본] 한보광 / 2011 / 중국역대 불교인명 사전 / 이회문화사 : 89 ~
  • 16. [학술지] 한태문 / 2009 / 相國寺 慈照院 所藏 『韓客詞章』 연구 / 일어일문학 (42) : 347 ~ 42 kci
  • 17. [학술지] 한태문 / 2014 / 복선사 소장 통신사 유묵 관련 자료 연구 / 어문연구 / 80 : 234 ~ kci
  • 18. [단행본] 大典 / 2013 / 18세기 일본지식인 조선을 엿보다-평우록 / 성균관대출판부
  • 19. [단행본] 小堀泰巖 / 2014 / 榮西と建仁寺 / 榮西と建仁寺 : 7
  • 20. [단행본] 辛基秀 / 2000 / 圖說 朝鮮通信使の旅 / 明石書店 : 29
  • 21. [단행본] 猪口篤志 / 2000 / 일본한문학사 / 소명출판 : 289 ~
  • 22. [단행본] 淺見龍介 / 2014 / 榮西と建仁寺 / 榮西と建仁寺 :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