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의복은 인류가 만들어낸 문화현상 중에서도 자연계의 다른 생명들과 인간을 구분 짓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제이다. 즉 의복은 가장 인간다운 문화 중 하나인 것이다. 각 문화와 문명은 이러한 의복에 그들만의 철학, 혹은 사상을 투영하기 마련이다. 본고는 바로 유가 전통 의복에 투영된 유가만의 근본적 의미―의미원형―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가 의복의 의미 원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다. 유가 의복의 기본적인 의미원형은 바로 ‘風化’이다. 풍화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덕으로 교화한다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유가의 문학과 정치의 기본 사상이기도 하다. 上下尊卑의 원만한 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조화로운 大同의 사회를 건설한다는 유가의 기본적 사상은 유가의 의복관에도 하나의 원형적 의미로 투영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가 의복의 또 다른 의미원형은 ‘時宜’이다. 시의란 현실적 합리성을 의미하는 것은 禮의 기본 이념이기도 하다. 의복이 드러내는 상징성이 상하존비의 신분과 그 질서를 표현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시대적 상황이나 현실적 여건 속에서 변형되고 변화되어야 한다. 유가의 의복은 이러한 현실적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합리적인 의복관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가 의복의 가장 중요한 의미원형은 바로 ‘孝悌’이다. 효란 자신의 부모와 윗사람을 공경하는 것이요, 悌란 아랫사람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 즉 윗세대와 아래 세대의 유기적 연관 관계를 표현한 것이 바로 효제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상적인 삶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위 세대로부터 이어 받은 생명과 문화를 계승하고, 아래 세대에 그 생명과 문화를 전수해야만 한다. 그것이 사회를 유지 전승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유가의 의복에는 이러한 인류 생명의 존엄성과 문화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유가복식, 관례복식, 혼례복식, 상례복식, 제례복식, 유가의례, 의례, 통과의례, 복식

참고문헌(12)open

  1. [학술지] 고명 / 1997 / 중국문자학통론

  2. [학술지] 김성재 / 2000 /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

  3. [학술지] 데즈먼드 모리스 / 1991 / ??털없는 원숭이??

  4. [학술지] 데즈먼드 모리스 / 2004 / 벌거벗은 여자

  5. [학술지] 스티브 길버트 / 2004 / 금지된 패션의 역사, 문신

  6. [학술지] 시라카와 시즈카 / 2005 / 한자 백 가지 이야기

  7. [학술지] 시라카와 시즈카 / 2005 / 한자 백 가지 이야기

  8. [학술지] 유연구 / 2004 / 한자원류자전

  9. [학술지] 제러드 다이아몬드 / 2005 / 섹스의 진화

  10. [학술지]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 2004 / 인간등정의 발자취

  11. [학술지] 진순신 / 1995 / 중국의 역사 1

  12. [학술지] 홍희 / 1998 / 중국의 고대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