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소성실험을 통해 본 삼국시대소성기술 연구 -영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ing Techniqu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Firing Experiments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the Yongnam region-

야외고고학
약어 : 야고
2010 no.9, pp.199 - 234
DOI : 10.35347/jkfa.2010..9.199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124 회 열람

삼국시대 토기연구는 형식학에 기초한 편년 연구나 지역성 연구가 일반적이었다. 최근 삼국시대 가마유적의 발굴조사가 증가함에 따라서 토기생산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뛰어난 연구 성과도 제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성과가 가마구조에 대한 비교에 머무르고 있을 뿐, 실제 소성기술에 대한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성기술은 토기 생산과정 중에 일어나는 일련의 행위와 그 행위로 발생하는 결과 모두를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소성기술을 연구하는 것은 당시 공인집단으로의 직접적인 접근을 의미한다. 고고자료를 통해 소성기술을 완벽하게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복원·실험연구로 보완한다면 소성기술 접근이 한층 더 용이해질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로 발굴된 삼국시대 가마를 이용, 복원해서 소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소성실험 결과, 가마의 제작방식이나 가마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 등 지금까지 고고자료로 확인할 수 없었던 여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론 경험론적인 결론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소성시간, 소성온도 등-을 내포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으나, 실험데이터와 향후 조사성과나 자료추가로 여러 의문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비중심의 토기연구에서 벗어나 생산과 유통이 라는 측면에서의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알려지지 않는 당시 공인집단 혹은 제작자의 의도와 그 의미를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일조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Studies on the pott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commonly focused on chronological research, based on typology, or locality research. However, following an increase in excavated kiln sit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on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potter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clear increase, in recent years, in studies on the pottery kil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the majority of such studies have tended to focus on kiln structure, and the actual issue of firing technique has yet to be approached properly. Firing technique comprises a series of practic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pottery production, as well as all of the endresults of these practices. The study of firing technique can lead to the direct understanding of past manufacturing groups. The complete reconstruction of past firing techniques using archaeological materials is impossible. However, this issue can be approached to some degree by carrying out experimental archaeology. In this study, experimental archaeology on firing technology was undertaken as a means of reconstructing kil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ere actually excavated.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several points, such as how to construct the kiln or what happens in the kiln, which could not be confirmed using archaeological data alone. Although such empirical conclusions based on experimental archaeology contain a number of problems -having to do with time, temperature etc.- it is hoped that these results, in conjunction with future excavation results or additional experimental data, may be used to answer various questions concerning firing technology. The results may also be used as basic data in studying aspects of potte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contrast to current studie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pottery consumption, as well as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unidentified pottery manufacturing groups.

삼국시대, 소성기술, 실험, 토기, 가마 복원
Three Kingdoms Period, Firing technique, Experimental archaeology, Pottery, Kiln, Reconstruction

  • 1. [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2001 / 한·일 고대요적연구 성과와 전망
  • 2. [보고서] 權相烈 / 1995 / 昌寧余草里토기가마터(II)
  • 3. [보고서] 金吉雄 / 2002 / 慶州蓀谷洞·勿川里遺蹟(III)
  • 4. [학술지] 金美蘭 / 1995 / 原三國時代의土器硏究 / 湖南考古學報 / 2
  • 5. [보고서] 金誠龜 / 1992 / 昌寧余草里토기가마터(I)
  • 6. [단행본] 김원룡 / 1981 / 신라토기 제3판 / 열화당
  • 7. [학술지] 김재철 / 2004 / 경상도의고대토기가마연구 / 啓明史學 / 15
  • 8. [단행본] 김창억 / 三國時代土器가마調査方法論. in: 발굴사례연구논문집 창간호
  • 9. [단행본] 다사키히로유키(田崎博之) / 2005 / 燒成失敗品을통해본無文土器의生産形態. in: 송국리 문화를 통해 본 농경사회의 문화체계 / 서경문화사 : 145 ~
  • 10. [학술대회] 류기정 / 2007 / 土器生産遺蹟의 調査現況과 硏究方向, 선사·고대 수공업 생산유적 / 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부발표회
  • 11. [보고서] 박승규 / 2003 / 大邱旭水洞·慶山玉山洞遺蹟I
  • 12. [보고서] 영남문화재연구원 / 2005 / 大邱新塘洞遺蹟
  • 13. [학술지] 이상준 / 2003 / 경주 손곡동·물천리 요적을 통해 본 신라토기 / 문화재 / 36 (36) : 69 ~ 36 kci
  • 14. [단행본] 이상준 / 2008 / 토기가마 조사·연구 방법론. in: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5 / 국립문화재연구소
  • 15. [단행본] 이성주 / 2003 / 기술혁신의 사회적 조건과 과정. in: 삼한·삼국시대의 토기생산기술 / 복천박물관
  • 16. [단행본] 이성주 / 2003 / 신라·가야및통일신라의토기. in: 토기와도자기 / 국립제주박물관
  • 17. [보고서] 이성준 / 2004 / 慶州蓀谷洞·勿川里遺蹟, 學術調査報告
  • 18. [학위논문] 李政根 / 2006 / 咸安地域古式陶質土器의 生産과 流通
  • 19. [보고서] 李政根 / 2007 / 咸安于巨里土器生産遺蹟
  • 20. [보고서] 임학종 / 2001 / Ⅳ.고찰, 昌原茶戶里遺蹟 : 345 ~
  • 21. [보고서] (재)우리문화재연구원 / 2009 / 양산산막일반산업단지조성부지내호계Ⅰ·Ⅱ구간문화재발굴조사지도위원회 자료집
  • 22. [단행본] 중국규산염학회 / 1995 / 중국고대도자사 / 백산자료원
  • 23. [학술지] 최병현 / 2002 /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과 도기의 출현 / 강좌 한국고대사 / 6
  • 24. [보고서] 최병현 / 2006 / 鎭川三龍里·山水里土器窯址群
  • 25. [학술대회] 최상태 / 2007 / 경주화곡리토기생산유적. in: 선사·고대수공업생산유적 / 제50회전국역사학대회 고고부발표회
  • 26. [보고서] 崔鍾圭 / 2001 / 陶質土器의表面觀察, 昌寧桂城新羅高塚群
  • 27. [단행본] 칼라시노폴리 / 2008 / 토기연구법 / 도서출판考古
  • 28. [학술대회] 토기가마복원실험연구회 / 2009 / 양산 호계동 삼국시대 토기가마 복원과 소성실험. in: 전쟁과갈등의고고학 / 제33회한국고고학전국대회발표요지
  • 29. [단행본] 한국고고환경연구소 / 2007 / 土器燒成의考古學 / 서경문화사
  • 30. [보고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99 / 慶州競馬場豫定敷地(C-1地區) 發掘調査報告書
  • 31. [단행본] 홍보식 / 2003 / 土器成形技術의變化. in: 기술의발견 / 복천박물관
  • 32. [단행본] 홍진근 / 2001 / 離床材·離器材試論. in: 동원학술논문집 4 / 한국고고미술연구소
  • 33. [단행본] 홍진근 / 2003 / 三國時代陶質土器의 燒成痕分析. in: 삼한·삼국시대의 토기생산기술 / 복천박물관
  • 34. [학술지] 홍진근 / 2006 / 陶質土器補修小考 / 考古學誌 / 15
  • 35. [단행본] 홍진근 / 2008 / 토기소성기술관찰법. in: 한국매장문화재조사연구방법론 5 / 국립문화재연구소
  • 36. [단행본] 홍진근 / 2010 / 토기제작기술의실험적연구. in: 동원학술논문집 11 / 한국고고미술연구소
  • 37. [단행본] 大阪府敎育委員會 / 1995 / 陶邑·大庭寺遺蹟IV / 大阪府敎育委員會
  • 38. [학술지] 藤原學 / 2007 / 須惠器窯跡の復元硏究-窯の構築·燒成實驗の成果から / 古代文化 / 58 (4)
  • 39. [단행본] 森秀造 / 2004 / 關西地域の古代後半期の須惠器窯構造. in: 須惠器窯の技術と系譜 2 / 窯跡硏究會
  • 40. [단행본] 窯跡硏究會 / 2004 / 須惠器窯の技術と系譜 2
  • 41. [단행본] 森秀造 / 2005 / 窯跡硏究 創刊號
  • 42. [단행본] 佐木幹雄 / 2003 / 還元焰土器の燒成技術-陶質土器の燒成實驗を通して. in: 삼한·삼국시대의토기생산기술 / 복천박물관
  • 43. [학술지] 佐木幹雄 / 2004 / 須惠器の色-實驗的技術復元と理化學的分析にする考察- / 古代 / 112
  • 44. [학술지] 川火田誠 / 2003 / 學習講座須惠器づくり覺書 / 北陸古代土器硏究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