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글에서는 한국어 동사를 교육함에 있어 동사의 시간 구조와 사건 구조를 참고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동사에서 해석에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착용 동사와 왕래발착형 동사를 중심으로 이들 동사가 가지는 시간 구조와 사건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착용동사가 가지는 중의성 문제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교육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왕래발착형 동사 중에서도 출발형 동사와 도착형 동사가 가지는 특성이 가지는 시간 구조와 사건 구조가 다름을 보이어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교육이 되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기본 동사가 가지는 시간 구조, 사건 구조가 문장 내의 (시간)부사어나 ‘-고 있-’과 같은 문법 요소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참고하여 착용동사와 같이 중의성을 갖는 경우 ‘옷을 입었다’와 같이 기본적인 상황인 경우 입고 있는 상태의 사건으로 해석되지만 ‘5분 동안 입고 있다’나 ‘아까부터 옷을 입고 있다’ 등과 같이 ‘입다’의 사건 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함께 문장 내에 나타나는 경우는 이들의 영향을 받아 옷을 입고 있는 과정의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구분하여 교육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왕래발착형 동사들을 ‘출발형’ 동사와 ‘도착형’ 동사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보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출발형’ 동사와 ‘도착형’ 동사가 가지는 기본적인 사건 구조와 이들 동사들이 가지는 사건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문장 내에 함께 나타날 경우 이들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사건 구조가 변화되는지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er to the time and event structure surrounding 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 analyze to the three types of wearing, coming and going verbs that cause to various problems in Korean verb education on this paper. In particular, The time and event structures of these verbs were revealed. I discussed the question of how to effectively educate the wearing verbs on the issue of ambiguity and the need to divide them into starting and arriving verbs. It suggested that these verbs should be taught that the time structure and event structure shown are different. It is mentioned that the time structure of the basic verb, the event structure may be affected by time-abuse or grammatical factors such as ‘-go it-’. It was also discussed that the wearing verb should be taught it in basic situation, These can be interpreted as a wearing progress event if the factors affecting the ‘wearing’ event structure are present together. Next, I discussed the need to separate ‘starting verbs‘ and ‘arriving verbs‘. In other words, it was necessary to educate them that the event structure would change if there were basic event structures that were seen and time adverb that affected these verbs.

목차

요약
1. 서론
2. 착용동사의 시간 구조와 사건 구조
3. 왕래발착형 동사의 시간 구조와 사건 구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