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제주 방언 시제 표현 교육 방안-입력 강화 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expressi on of tense of Jeju dialect’-On the focus of focused on form-

탐라문화
약어 : -
2014 no.45, pp.147 - 168
DOI : 10.35221/tamla.2014..45.006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83 회 열람

이글에서는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제주 방언 시제 표현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최근 제2 언어 교육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형태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입력 홍수’, ‘텍스트 강화’, ‘구조화된 입력 활동’, ‘문법 의식 고양 과제’ 등 형태 중심 교수법의 여러 방법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과정을 통해 ‘입력 홍수’, ‘텍스트 강화’, ‘문법 의식 고양 과제’ 등이 제주 방언 시제 표현 교육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표준어로 제작된 교재를 활용한 방언 문법 표현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장에서는 특히 2장에서 논의되었던 형태 중심 교수법, 그 중에서도 ‘입력 홍수’, ‘텍스트 강화’, ‘문법 의식 고양 과제’를 활용하여 실제 제주 방언 시제 표현인 ‘-아시/어시-’, ‘-암시/엄시-’ 등을 어떻게 교육할 수 있을지 그 구체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글에서 논의했던 이러한 교육 방법은 향후 제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iscussed to the teaching method of expression of tense of Jeju dialect with the approach of “focused on for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weak to grammar. The second Chapter clarified the features of focused on form and types of Input enhancement. The third chapter explained Input flood, Textual enhancement, and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which are very effective teachin method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Korean Text 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from which I extracted tense items of grammar. I analyzed to past tense expression of ‘-asi/eosi-’ and present tense expression of -amsi/eomsi- which are mainly consisted of tense grammar of Jeju dialect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lived in Jeju.

형태 중심 교수법, 입력 강화, 입력 홍수, 텍스트 강화, 문법 의식 고양 과제, 여성 결혼 이민자
The Education focused on form, Input enhancement, Input flood, Textual enhancement,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Immigran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