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다루는 소설은 1990년대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 제도, 폭력적 남성, 희생되는 여성’이라는 도식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층위에서 여성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규범, 주체, 타자의 관계를 핵심축으로 하는 주체 형성 과정에 주목해 이들 작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오정희의 「옛 우물」, 한강의 「몽고반점」, 주지영의 「사나사나」에 나타나는 여성 정체성 찾기를 고찰하였다. 세 작품 모두 남성/여성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넘어, 보편규범과 특수규범의 대립, 주체와 타자의 대립, 타자의 특수규범에 대한 지향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옛 우물」에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하지 않는 점, 「몽고반점」에서는 특수규범의 세계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사나사나」에서는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시키는 번역의 단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오정희의 「옛 우물」의 여성 ‘나’는 ‘옛 우물’로 표상되는 모성성의 세계를 특수규범으로 설정하고, 이 규범을 통해 타자로서 도구화된 ‘나’를 해체하고 새로운 ‘나’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한강의 「몽고반점」의 처제는 동물적 폭력이 난무하는 보편규범에 길들여지기를 거부하고 ‘몽고반점’으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을 강렬히 욕망함으로써 화석화되어 간다. 한편 ‘그’는 처제의 특수규범의 세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등장한다. 주지영의 「사나사나」의 여성 소설가 ‘나’는 도구화된 여성 되기를 거부하고 두 명의 경계선상의 주체를 매개로 해서 ‘옹이 나무’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으로 나아간다. ‘나’는 ‘옹이의 언어’로 ‘옹이의 세계’를 지향하는 소설을 쓰고자 함으로써,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번역)시켜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하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질적으로 전회한다.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이러한 여성 인물 ‘나’의 등장으로, 이 작품은 현 단계 여성 정체성 찾기 소설이 나아갈 한 방향을 강렬하게 제시하게 된다.

키워드

오정희 「옛 우물」, 한강 「몽고반점」, 주지영 「사나사나」, 여성 정체성 찾기, 도구화된 여성, 보편규범, 특수규범, 주체, 타자, 경계선상의 주체, 번역, 공거의 장

참고문헌(22)open

  1. [단행본] 오정희 / 2015 / 옛 우물 / 청아출판사

  2. [단행본] 주지영 / 2019 / 사나사나 / 강

  3. [단행본] 한강 / 2018 / 채식주의자 / 창비

  4. [학술지] 김경수 / 1995 / 여성적 광기와 그 심리적 원천―오정희 초기소설의 재해석 / 작가세계 (여름) : 87 ~ 109

  5. [학술지] 김미정 / 2005 / ‘몸의 공간성’에 대한 고찰 -오정희 소설〈옛우물〉을 중심으로 / 현대소설연구 (25) : 125 ~ 148

  6. [학술지] 나병철 / 2017 / 한강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환상과 에로스의 회생-「내 여자의 열매」와 「몽고반점」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 (61) : 291 ~ 323

  7. [학술지] 방정민 / 2014 / 한강 소설, 「몽고반점」 연구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에로티시즘과의 상관관계 연구 / 용봉인문논총 (45) : 59 ~ 89

  8. [학술지] 심진경 / 2015 / 오정희의 「옛우물」 다시 읽기 / 시학과 언어학 (29) : 155 ~ 175

  9. [단행본] 안서현 / 2019 / 사나사나 / 강

  10. [학술지] 오연희 / 1997 / 오정희 소설의 여성성 연구: <옛 우물>론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 : 269 ~ 285

  11. [단행본] 윤평준 / 1997 /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 교보문고

  12. [단행본] 이광래 / 1989 / 미셸 푸코 / 민음사

  13. [학술지] 이미란 / 2014 /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完) / 현대문학이론연구 (56) : 53 ~ 78

  14. [학술지] 전혜은 / 2011 / 근대적 주체 이후의 행위성: 주디스 버틀러의 행위성 이론 / 영미문학페미니즘 19 (2) : 153 ~ 191

  15. [학술지] 정혜욱 / 2015 / 주디스 버틀러와 문화번역의 과제 / 비평과이론 20 (1) : 141 ~ 174

  16. [학술지] 주지영 / 2020 /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모성,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정화와 재생의 현자-되기 / 구보학보 (24) : 399 ~ 442

  17. [단행본] Butler, Judith / 2008 / 불확실한 삶 / 경성대학교

  18. [단행본] Butler, Judith / 2013 / 윤리적 폭력 비판 / 인간사랑

  19. [단행본] Butler, Judith / 2016 / 지상에 함께 산다는 것 / 시대의창

  20. [단행본] Butler, J. / 2009 /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 / 도서출판b

  21. [단행본] Eagleton, T. / 1986 / 문학이론입문 / 창작사

  22. [단행본] Lacan, J. / 1966 / Écrits (1),(2) / Éditions du Seu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