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통시적인 시각에서 지금의 다문화 상황과 다문화 소설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20세기 이후 본격화 된 이주라는 큰 틀에서 다문화 소설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이 논문에서는 통합적 연구를 위한 시론적(試論的) 작업으로 한국인의 해외이주가 활발했던 일제 말기의 대표작인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2000년대 다문화 소설 중에 가장 폭넓은 주목을 받은 김려령의 「완득이」를 비교해보았다. 특히 각 작품에 등장하는 중심인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두 작품은 놀라운 유사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유사성은 1939년과 2008년의 시간적 거리와 도쿄와 서울이라는 공간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의 피해자로서 이주민들이 처한 삶의 조건이 유사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두 작품에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하루오가 완득이보다 매우 강하게 조선인 어머니를 부인하는 점, 완득이의 어머니가 정순보다 자유로운 존재라는 점, 南先生이 하루오와 똑같이 민족적 차별에 직면해 있는 것과 달리 동주는 가난하고 소외된 완득이의 반대편에 위치해 있다는 점, 한베가 아들인 하루오는 물론이고 정순 역시도 고통과 어둠 속에 묶어두는 부정적 인물인 것과 달리 도정복은 완득이의 성장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인물이라는 점, 「빛 속으로」는 철저하게 일본인들로부터 배제된 조선인 혹은 혼혈인들만의 이야기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모두 일제 말기 재일조선인들이 겪는 차별과 억압의 정도가 2000년대 한국사회의 이주민들이 겪는 것보다 훨씬 심각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작품에서 이주민의 상처가 응축되어 있는 어머니에 대해서는 섬세한 고찰이 필요하다. 표면적으로 완득이 어머니는 정순에 비해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기본적으로는 고유성을 가진 주체와는 거리가 먼 하위주체에 머물기 때문이다. 이러한 완득이 어머니의 모습은 ‘차이나는 반복’으로 나타난 식민주의를 성찰하도록 이끄는 문제적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해외이주, 국내이주, 다문화, 하위주체, 「빛 속으로」, 「완득이」

참고문헌(63)open

  1. [단행본] 김려령 / 2008 / 완득이 / 창비

  2. [단행본] 김사량 / 2013 / 김사량, 작품과 연구3 / 역락

  3. [단행본] 金史良全集編輯委員會 / 1974 / 金史良全集(전 4권) / 河出書房新社

  4. [학술지] 강진구 / 2011 /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 다문화콘텐츠연구 (11) : 171 ~ 191

  5. [학술지] 강진구 /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자기서사’ 연구 -수기(手記)를 중심으로- / 어문론집 54 : 105 ~ 135

  6. [학술지] 권나영 / 2009 / 제국, 민족, 그리고 소수자 작가 -‘식민지 사소설’과 식민지인 재현 난제 / 한국문학연구 (37) : 213 ~ 253

  7. [학술지] 김미영 / 2010 / 다문화 사회와 소설교육의 한 방법 ―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42) : 79 ~ 104

  8. [학술지] 김보애 / 2016 / 김사량의 소설에 나타나는 ‘빛과 어둠’ - 『빛 속으로』를 중심으로 - / 日本文化學報 (69) : 195 ~ 215

  9. [학술지] 김석희 / 2006 / 김사량 평가사 - ‘민족주의’의 레트릭과 김사량 평가- / 일어일문학연구 57 (2) : 190 ~ 201

  10. [학술지] 김석희 / 2009 / 식민지인의 가책과 폭로의 구조 -김사량「빛 속으로」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71 (2) : 255 ~ 272

  11. [학술지] 김응교 / 2002 / 김사량 「빛 속으로」의 이름·지기미·도시유람 도쿄와 한국인 작가(2) / 민족문학사연구 20 : 382 ~ 406

  12. [학술지] 김주영 / 2011 / 김사량의 『빛 속으로』를 통해 본 균열의 제국 / 세계문학비교연구 (37) : 33 ~ 55

  13. [학술지] 김지영 / 2013 / 제국과 식민지, 일상에서의 혼종/혼혈과 분열증 : - 장혁주 「우수인생」, 김사량 「빛속으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 (41) : 309 ~ 342

  14. [학술지] 김진구 / 2004 / 김사량 소설의 인물의 정체성 문제 / 시학과 언어학 8 : 255 ~ 278

  15. [단행본] 김태환 / 2015 /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 집사재

  16. [단행본] 김현미 / 2014 /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 돌베개

  17. [학술지] 김혜연 / 2010 / 김사량의 「빛 속에」의 근대성 연구 / 배달말 (46) : 193 ~ 217

  18. [학술지] 김혜영 / 2011 / 다문화 시대의 독서 교육-‘완득이’를 중심으로- / 사고와표현 4 (2) : 121 ~ 150

  19. [학술지] 김효정 / 2012 / 장르별 표현방식과 의미구성의 차이-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를중심으로 / 한국말글학 29 : 1 ~ 30

  20. [학술지] 김화선 / 2008 / 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3 : 279 ~ 300

  21. [학술지] 박정애 / 2009 / 2000년대 한국 소설에서 ‘다문화가족’의 성별적 재현 양상 연구 / 여성문학연구 22 (22) : 93 ~ 121

  22. [학술지] 박종명 / 2011 / 식민지 지식청년의 ‘자기윤리’: 김사량의 『빛 속으로』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55) : 227 ~ 237

  23. [학술지] 배옥주 / 2013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공선옥의 「가리봉 연가」를 중심으로 / 젠더와 문화 6 (2) : 149 ~ 175

  24. [학술지] 서성란 / 2013 / 한국현대소설에 형상화된 결혼이주여성 / 한국문예창작 12 (3) : 245 ~ 269

  25. [단행본] 서영인 / 2015 / 식민주의와 타자성의 위치 / 소명출판

  26. [학술지] 송명희 / 2011 / 다문화 소설 속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공선옥의 「가리봉 연가」를 중심으로 - / 한어문교육 25 : 133 ~ 135

  27. [학술지] 송명희 / 2012 / 다문화소설에 재현된 베트남 여성 -서성란의 <파프리카>를 중심으로- / 현대소설연구 (51) : 41 ~ 70

  28. [학술지] 송현호 / 2010 / 다문화 사회의 서사 유형과 서사 전략에 관한 연구 / 현대소설연구 (44) : 171 ~ 200

  29. [학술지] 송현호 / 2015 / <완득이>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 동반자적 교사의 역할과 의미를 중심으로 - / 현대소설연구 (59) : 403 ~ 426

  30. [학술지] 송희복 / 2010 / 한국 다문화 소설의 세 가지 인물 유형 연구 / 배달말 (47) : 309 ~ 334

  31. [학술지] 심영의 / 2013 / 다문화소설의 유목적 주체성 연구 / 아시아여성연구 52 (2) : 147 ~ 174

  32. [학술지] 엄미옥 / 2013 /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 여성문학연구 (29) : 354 ~ 390

  33. [학술지] 연남경 / 2010 / 다문화 소설과 여성의 몸 구현 양상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4 (3) : 155 ~ 174

  34. [학술지] 연남경 / 2012 / 다문화 소설의 탈경계적 주체 연구 ―‘이방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49) : 221 ~ 244

  35. [학술지] 오세란 / 2016 / 『완득이』의 정신분석적 접근 / 어문논총 29 : 165 ~ 188

  36. [학술지] 오윤호 / 2009 / 디아스포라의 플롯 -2000년대 소설에 형상화된 다문화 사회의 외국인 이주자 / 시학과 언어학 (17) : 229 ~ 248

  37. [학술지] 오윤호 / 2010 / 외국인 이주자의 형상화와 우리 안의 타자담론 / 현대문학이론연구 (40) : 241 ~ 262

  38. [학술지] 오태영 / 2013 / 제국-식민지 체제의 생명정치, 비체(卑體)의 표상들 - 김사량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 (61) : 37 ~ 70

  39. [단행본] 오흥진 / 2008 / 어린이책이야기 3 : 125 ~ 134

  40. [학술지] 우한용 / 2009 / 21세기 한국사회의 다양성과 소설적 전망 / 현대소설연구 (40) : 7 ~ 35

  41. [학술지] 윤대석 / 2014 / 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연구 (34) : 201 ~ 229

  42. [단행본] 이경재 / 2015 / 다문화 시대의 한국소설 읽기 / 소명출판

  43. [단행본] 이미림 / 2014 /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 푸른사상

  44. [학술지] 이영아 / 2015 / <완득이>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에서의 ‘차이’ 형상화 연구 / 동아시아문화연구 (62) : 205 ~ 228

  45. [학술지] 이정숙 / 2004 / 김사량과 재일조선인의 문학적 거리 / 국제한인문학연구 1 : 299 ~ 328

  46. [학술지] 이정숙 / 2011 / 다문화 사회와 한국 현대소설 / 한성어문학 30 : 5 ~ 26

  47. [학술지] 이주미 / 2003 / 김사량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양상 / 현대소설연구 19 : 225 ~ 240

  48. [단행본] 이춘매 / 2009 / 김사량문학의 탈식민주의 특성 연구 / 민족출판사

  49. [학술지] 최병우 / 2012 /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의 인간학 / 현대소설연구 (51) : 9 ~ 39

  50. [학술지] 최현식 / 2003 / 혼혈/혼종과 주체의 문제 / 민족문학사연구 23 : 139 ~ 165

  51. [단행본] 추석민 / 2001 / 김사량문학의 연구 / 제이앤씨

  52. [학술지] 허병식 / 2012 / 200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정치 비판 / 다문화와 평화 6 (1) : 63 ~ 84

  53. [학술지] 허정 / 2012 / 『완득이』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 다문화콘텐츠연구 (12) : 95 ~ 138

  54. [학술지] 황영미 / 2011 / 『완득이』의 서술전략과 영화화 연구 / 돈암어문학 24 : 281 ~ 308

  55. [단행본] 柄谷行人 / 2002 / 윤리21 / 사회평론

  56. [단행본] 柄谷行人 / 2006 / 근대문학의 종언 / 도서출판 b

  57. [단행본] 水野直樹 / 2002 / 창씨개명 / 산처럼

  58. [단행본] 尹健次 / 2016 / 자이니치의 정신사 : 남·북·일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 한겨레출판

  59. [단행본] Anderson, Benedict / 2002 / 상상의 공동체 / 나남출판사 : 46 ~ 58

  60. [단행본] Casanova, Pascale / 2007 / 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 Harvard UP

  61. [단행본] Spivak, Gayatri Chakravorty / 2013 /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 그린비

  62. [단행본] Todorov, Tzvetan / 2012 / 민주주의 내부의 적 / 반비

  63. [단행본] Zizek, Slavoj / 2012 / 멈춰라, 생각하라 / 와이즈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