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영광 불갑천 하구역의 유역환경 특성과 지속가능관리 방안

Watershe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Bulgab Estuary Zone, Yeonggwang, SW Korean Peninsula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21 vol.31, no.1, pp.122 - 137
DOI : 10.35149/jakpg.2021.31.1.009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8 회 열람

본 연구는 지형⋅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불갑천 하구역의 보전과 지속가능관리를 위한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지리공간정보 및 퇴적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불갑천은 1930년대 근대식수리시설이 도입되고 대규모 경지정리가 진행되어 유역환경이 크게 변화하였다. 하지만 불갑천 하구역은 중상류 지역보다 비교적 온전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안지형과 하천지형이 어우러져 지형다양성도 높다. 불갑천은 하구로부터 상류로 약 15.8㎞ 구간이 감조하천이며, 이러한 특징은 퇴적물 입경의 공간분포패턴에서도 확인된다. 퇴적물 입경은 연구지역 내 최하류 구간인 BG1 지점에서 모래가 높은 비율(약 90%)을 보였지만, 중⋅상류 구간에 해당하는 BG2 및 BG3 지점에서는 실트의 비율(약 80%)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퇴적물의 전기전도도, 유기물,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도 각 구간(BG1∼BG3)에서 큰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 구간 내에서도 퇴적물 고화도, 하도인접성, 식생 피복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퇴적물 시료에서 납과 수은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어정확한 중금속 오염실태 파악과 오염원 추적이 필요하다. 불갑천 하구역의 지속가능관리를 위해서는 보와 수문으로단절된 유역 내 하도 체계를 개방 조성해야 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토지이용 양상에 조응하는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We performed geospatial and sediment analysis to document database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Bulgap Estuary which has an important fun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geomorphology and ecology. The watershed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has extremely changed due to modern irrigation facilities and large-scale land consolidation in the late 1930s. However, the estuary not only preserves its initi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upper and middle streams but also has high geodiversity developing various coastal and fluvial landforms. Bulgap river is a partially tidal river with a length of~15.8 km from the estuary, this tidal characteristic is reflec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grain size. As a result of sediment analysis, sand accounts for a high ratio (~90%) in the downstream (BG1), whereas s ilt has a remarkably higher ratio (~80%) than sand in the middle (BG2) and upper (BG3) streams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lso markedly differ between the BG1, BG2, and BG3 in the river section. Even in the same river section,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diment consolidation, channel adjacency, and vegetation cover. In addition,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and mercury (Hg) were detected in most of the sediment samples and need to be identified and traced to the resource of the pollut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Bulgap Estuary, it is necessary to make an open environment of the channel system disconnected by weir and watergate and to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rapid change of land-use.

하구역, 불갑천, 퇴적물 분석, 생물서식처, 지속가능관리
Estuary zone, Bulgabcheon, Sediment analysis, Habitats, Sustainable management

  • 1. [학술지] 강대균 / 2004 / 소하천 하류의 임해충적평야-영광군의 불갑천을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지 / 11 (1) : 41 ~ 1 kci
  • 2. [학술지] 강대석 / 2008 / 낙동강 중·하류 지역의 수변 특성에 관한 연구 / 환경영향평가 / 17 (3) : 189 ~ 3 kci
  • 3. [학술지] 구자웅 / 2001 / 간척지 토양의 제염과정 중 전기전도도 분석 / 한국농공학회지 / 43 (4) : 37 ~ 4
  • 4. [학술지] 권영주 / 2013 / 금강하구의 환경가치 평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19 (5) : 417 ~ 5 kci
  • 5. [학술지] 권혁재 / 1998 / 여주지방의 지형과 토지지용: 복하천과 양화천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 교육논총 / 28 : 83 ~
  • 6. [기타] 국립생태원 / 2020 / 내륙습지 조사지침 / 환경부⋅국립생태원
  • 7. [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 2006 / 2006 하구역 생태계 정밀조사:불갑천⋅와탄천
  • 8. [학술지] 김남신 / 2017 / 금강하구∼장항해변 유부도 일대 표층퇴적물 분석에 의한 해안지형의 변화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7 (1) : 1 ~ 1 kci
  • 9. [학술지] 김성환 / 2015 / 관광자원으로서 낙동강 하구의 가치와 활용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5 (2) : 65 ~ 2 kci
  • 10. [학술지] 김평래 / 2019 / 우리나라 토양수은 농도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고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41 (6) : 346 ~ 6 kci
  • 11. [학술지] 박정재 / 1999 / 갯골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순천만을 사례로- / 지리학논총 / 33 : 45 ~
  • 12. [학위논문] 범선규 / 2002 / 영산강유역의 지형과 토지이용
  • 13. [보고서] 송교욱 / 2005 / 낙동강 하구역의 생태⋅경제학적 가치평가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14. [학술지] 신원정 / 2016 /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영광군 백수읍⋅염산면 일대의 변화 분석 / 지리교육논집 / 60 : 19 ~
  • 15. [학술지] 유승훈 / 2011 / 영산강 하구역의 경제적 가치 평가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 44 (8) : 629 ~ 8 kci
  • 16. [보고서] 이창희 / 2005 /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Ⅱ
  • 17. [학술지] 임동일 / 2007 /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 Ocean and Polar Research / 29 (2) : 135 ~ 2 kci
  • 18. [학술지] 장성국 / 2010 / 순천만 갯벌의 입도조성 및 유기물 분포특성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 13 (3) : 198 ~ 3 kci
  • 19. [학술지] 장현도 / 1991 /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 한국해양학회지 / 26 (1) : 13 ~ 1
  • 20. [기타] 환경부 / 2012 / 수생태계 훼손하구 건강성 개선을 위한시범복원 대상하구 선정 연구
  • 21. [학술지] Barbier, E. B. / 2011 / The value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 Ecological Monographs / 81 (2) : 169 ~ 2
  • 22. [학술지] Birol, E. / 2007 / Using choice experiments to design wetland management programmes: The case of Seven Estuary Wetland, UK /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 50 (3) : 363 ~ 3
  • 23. [단행본] Dyer, K. R. / 1997 / Estuaries: a physical introduction / Wiley
  • 24. [학술지] Gregory, R. / 2001 / Bringing stakeholder values into environmental policy choices: a community-based estuary case study / Ecological Economics / 39 (1) : 37 ~ 1
  • 25. [학술지] Hao, H. / 2017 / Assessing the ecological security of the estuary in view of the ecological services-A case study of the Xiamen Estuary / Ocean & Coastal Management / 137 : 12 ~
  • 26. [단행본] Haslett, S. K. / 2009 / Coastal Systems / Routledge
  • 27. [학술지] Hjort, J. / 2012 / Inclusion of explicit measures of geodiversity improve biodiversity models in a boreal landscape /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 21 (13) : 3487 ~ 13
  • 28. [학술지] Hughes, C. E. / 1998 / Characterisation of the hydrology of an estuarine wetland / Journal of Hydrology / 211 : 34 ~
  • 29. [학술지] Jačková, K. / 2008 / The relationship between geodiversity and habitat richness in Šumava National Park and Křivoklátsko PLA(Czech Republic) : a quantitative analysis approach / Journal of Landscape Ecology / 1 (1) : 23 ~ 1
  • 30. [인터넷자료] 국토지리정보원 / 국토정보플랫폼
  • 31. [인터넷자료] 한국농어촌공사 /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32. [인터넷자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국토지질정보